|
아사달산은 왜 구월산이 되었나
우리가 지은 땅이름 중에는 긴 세월이 흘러오면서 본뜻과는 전혀 다른 의미로 바뀐 것이 매우 많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쓰고 있는 한자 이름을 보고 섣불리 그 뜻을 추정해서는 안 된다.
그러한 예는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문자가 없어서, 고유지명을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했다. 우리 역사의 기록에 나타나는 최초의 우리말 땅이름인 ‘아사달(阿斯達)’도 그런 범주에 속한다.
『삼국유사』의 고조선조에,
“지금부터 2000년 전에 단군왕검이 있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열어 조선이라 불렀으니, 바로 요임금과 같은 시기이다. …… 다시 도읍을 옮기니, 그곳을 궁홀산(弓忽山)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 부르기도 한다.”
란 구절이 있다.
또 단군에 대한 이야기를 적은 이승휴의 제왕운기에도,
“은나라 무정 팔년 을미년에 / 아사달에 입산하여 산신이 되었으니”
란 구절이 있다.
단군 이야기를 기록한 권람(權覽)의 응제시주(應制詩註)에도 “상나라 무정 8년 을미에 아사달산(阿斯達山)에 들어가 신이 되었는데, 지금의 황해도 문화현 구월산(九月山)이 그곳이다. 그 사당이 지금도 있다.”고 하였다.
또 세종실록지리지 황해도 문화조에는,
“이곳의 진산(鎭山) 구월(九月)은 세상에 전해오기를 아사달산이라 한다.”고 되어 있다.
황해도 문화현은 본래 고구려 때는 궐구현(闕口縣)이었다. ‘궐구’란 이름은 단군신앙과 관련하여, 천제가 하늘로 올라갔던 관문이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문화현의 구월산 지맥인 남쪽의 아사달봉에는 단군이 신으로 승천했다는 단군대(檀君臺)가 있으며, 신라 때에는 궐산(闕山)이라 불려졌다. 궐산이란 이름은 단군의 궁궐터가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고 전해 온다.
이상의 여러 문헌 기록과 전설을 참조하면, 아사달(산)은 궁홀산, 금미달, 구월산, 궐산 등으로 불리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들 이름들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 수수께끼를 풀려면 먼저 아사달의 본뜻부터 알아야 한다.
아사달은 우리말을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표기한 것인데, 이 중 ‘斯(사)’ 자는 그 첫소리 ‘ㅅ’이나 그 계열 즉 ‘ㅈ, ㅊ’등을 나타내는 데 쓰인 글자다. 그러니 ‘아사(阿斯)’는 우리말 ‘앗, 앚, 앛’을 표기한 것이다. 이 ‘앗, 앚, 앛’은 ‘작다, 아우, 첫, 다음(次)’의 뜻을 가진 말이다. 이런 뜻은 다 ‘작다’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앗이(아시), 앚이(아지)’는 아우란 뜻이며, 처음 하는 빨래를 아시(앗이)빨래라 한다, 또 ‘소+아지’가 송아지가 되고, ‘말+아지’가 망아지, ‘돝+아지’가 ‘도야지(돼지)’가 된 것도 그런 연유며, ‘앚+어머니’는 작은어머니 곧 아주머니고, 앛ᄋᆞᆫ설(아ᄎᆞᆫ설)이 작은설(까치설)을 의미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손자나 조카, 생질을 ‘아ᄎᆞᆫ아들’이라 한 것도 또한 같다. 벼슬 이름 아찬(阿飡)은 대상(大相 큰 제상)에 대하여 소상(小相) 또는 차상(次相 次는 長보다 작다)이란 뜻이다. ‘앛ᄋᆞᆷ(아침)’은 그날의 처음(처음은 무엇이든 크지 않고 많지 않다)이란 뜻이다. 이 ‘앗’이 일본으로 건너가 아침이란 뜻인 아사 (朝 あさ)가 되었다.
그러면 아사달의 ‘달(達)’은 무슨 뜻일까? 이는 고구려어로 ‘산’ 혹은 ‘땅’이란 뜻이다. ‘달’이 땅임은 현재의 ‘양달, 응달’ 등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니 아사달은 ‘앗달’로 ‘작은 산’ 또는 ‘첫 땅’이란 뜻이다.
서울특별시 광진구와 경기도 구리시에 걸쳐 있는 아차산도 이런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높이가 287m로 그리 높지 않은 산으로, 현재 아차산의 한자 표기는 '阿嵯山, '峨嵯山', '阿且山' 등으로 혼용되어 쓰인다.
그러면 아사달에 대한 본 이야기로 돌아가자.
아사달이 궐산으로 불린 것은 위에서 이미 살펴보았다.
즉 아사달산이 있는 황해도 문화현은 본래 고구려 때는 궐구현(闕口縣)이었는데, 궐구란 이름은 단군신앙과 관련하여, 천제가 하늘로 올라갔던 대궐의 입구가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또 문화현의 구월산 지맥인 남쪽의 아사달봉에는 단군이 신으로 승천했다는 단군대(檀君臺)가 있어서, 신라 때에는 궐산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그럼 ‘앗달’ 즉 아사달(산)은 궁홀산, 금미달, 구월산, 궐산 등과 어떤 의미의 관계가 있을까?
‘앗달’이 구월산으로 불린 것은 ‘앗달’이 ‘아홉달’의 줄어진 음이기 때문이다. 아홉달이 아옵달>압달>앗달로 음이 줄어져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경상도에서는 ‘다섯’ 달을 ‘닷 달’로 ‘여섯 달’을 ‘엿 달’로 소리내어 쓴다. 그래서 ‘앗달’ 즉 아홉달을 한자인 구월산(九月山)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궐산이란 이름도 구월산을 줄여 발음한 것이다. ‘구월’이 ‘궐’로 줄어진 것이다. 단군이 거주하던 대궐(大闕)이 있다 하여 생긴 이름이라는 것은 민간에서 떠도는 이야기일 뿐이다.
궁홀산(弓忽山)도 마찬가지다. ‘궁홀산’을 빨리 발음하면 ‘구올산’이 되고, 이것이 ‘구월산’이 되는 것이다.
그러면 금미달은 어디서 연유한 이름일까?
금미달(今彌達) 역시 순수한 우리말을 한자를 빌려 표기한 것이다. 금미달의 ‘미(彌)’ 자는 바로 앞의 글자 ‘금(今)’ 자의 끝소리가 ‘ㅁ’으로 끝난다는 것을 ‘미’의 첫소리인 ‘ㅁ’을 취해 쓴 글자다. 이와 같은 향찰 표기를 말음첨기(末音添記)라 한다. 신라 향가 모죽지랑가에 보이는 ‘去隱春’이 ‘간봄’을 나타낸 것도 그러한 예다. ‘은(隱)’ 자는 ‘간[去]’의 끝소리가 ‘ㄴ’으로 끝난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은’ 자의 끝소리 ‘ㄴ’을 취해 쓴 글자다.
그러면 금미 즉 ‘금’은 무슨 뜻인가? ‘금’은 단군왕검(檀君王儉)의 ‘검’과 같은 것으로 ‘신’이란 뜻이다. 신의 뜻인 ‘ᄀᆞᆷ’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ᄀᆞᆷ’은 ‘검, 금, 곰, 고마, 즘’ 등으로 분화되었다. ‘달’은 산의 뜻이다.
그러므로 금미달은 ‘금산’ 즉 ‘신의 산’이란 뜻이다. 곧 환웅천왕, 단군 같은 신적인 존재가 사는 산이라는 의미다. 즉 아사달은 신이 사는 산이라는 뜻이다.
아사달산은 원래 ‘작은 산’, ‘첫째가는 산’이었는데, 시대를 내려오면서 그러한 원래의 뜻은 잃어버리고, ‘구월의 산’이 되어버렸다. 우리말로 된 앗달산이란 이름 또한 잃어버리고, 엉뚱하게도 한자로 된 구월산으로 변신한 것이다.
공동경비구역이 있는 판문점(板門店)의 원래 이름은 널문리였다. 원래 이곳에 ‘널빤지[板]로 된 문(門)을 단 점방[店]’이 있던 곳이라 하여 판문점이란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말 널문리를 한자로 바꾼 후에 갖다 붙인 이야기다. 우리 땅이름 연구자인 배우리는 ‘널문’이 원래 ‘널물’인데 이는 ‘너른 물’의 뜻이라고 하였다.
이곳에 회담장을 만들면서 우리는 우리 고유 지명인 ‘널문리’로 하자고 하였으나, 회담에 참여한 중국 때문에 이를 한자어로 바꿔 판문점(板門店)으로 적었다 한다. 민족의 비운 때문에 우리말 지명 하나를 잃게 되었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 고유어 지명을 한자로 바꾸면서, 우리말이 지닌 귀중한 참의미를 잃어버렸다. 알맹이는 빠뜨리고 엉뚱한 껍데기만 갖게 된 것이다.
이런 현상은 지금도 벌어지고 있다.
독도는 동해 바다 멀리 떨어진 외딴곳에 홀로[獨] 있는 섬[島]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독도는 성종 때는 삼봉도(三峰島), 정조 때는 가지도(可支島)로 불리다가, 19세기 말 이후 돌섬, 독섬, 석도(石島), 독도(獨島)로 불려졌다. 독도의 ‘독’은 ‘돌[石]’이란 뜻이다.
다시 말하면 ‘독’은 ‘돌’의 옛말이다. 전라도와 경상도에서는 지금도 돌을 독이라고 쓰는 이가 많다. 제주도에서는 지금도 돌을 ‘독’으로 쓰고 있다. ‘독’이 ‘돌’의 뜻으로 붙은 지명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독도는 우리말 독섬(돌섬)을 한자로 음을 따서 표기한 것이다. 독도는 외로이 홀로 있는 섬이 아니라, ‘돌로 된 섬’이란 뜻이다. 지금도 울릉도 사람들은 독섬으로 부르고 있는 이가 많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한자말인 독도(獨島)로 적고 있어서 본래의 바른 의미를 잃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독도가 우리 땅임은 그 이름에서도 확연히 증명된다. 실제 독도는 말 그대로 돌로 된 섬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이 섬을 다께시마(竹島)라 한다. 대나무 섬이란 뜻이다. 그런데 독도에서 대나무는 눈을 씻고 찾아 봐도 없다. 이것만 봐도 그들이 얼마나 허황되게 가짜이름을 붙이고, 음흉한 거짓 주장을 늘어놓고 있는지를 알고도 남는다.
달구벌은 대구의 옛 이름임은 모두가 아는 바다. 달구벌은 문헌에 달벌(達伐), 말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등으로 적혀 있다. 그러나 달구벌의 말뜻을 바르게 아는 사람은 좀 드물다.
말 뿌리인 ‘달(達)’을 들, 원(圓), 주(周) 등 곧 넓은 공간의 뜻으로 풀이하는 이가 많아서 대개 그렇게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달구벌은 ‘달’과 ‘벌’이 말 뿌리가 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면 ‘벌’의 뜻부터 살펴보자. ‘伐, 火’는 다 같이 ‘벌’을 표기한 것이다. ‘伐(벌)’은 음을 빌린 것이고 ‘火(화)’는 뜻을 빌려 적은 것이다. ‘불’의 옛말이 ‘블’이었기 때문이다. 이 ‘벌’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벌판의 ‘벌[原]’이다. ‘벌이 넓다’ 할 때의 그 벌이다. 신라 서울 ‘서라벌’이나 ‘서벌’의 ‘벌’도 같은 뜻이다.
그럼 ‘달’은 무슨 뜻일까? 종래의 주장처럼 원, 주 등 곧 넓은 공간의 뜻일까? 이는 설득력이 없다. 왜냐하면 ‘달’ 뒤에 이어지는 ‘구’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달’은 ‘닭[鷄]’의 뜻이다. 닭을 경상도에서는 아직도 ‘달’이라고 한다. 닭을 단독으로 발음할 때는 그 끝소리 ‘ㄱ’을 묵음화하는 것이다. 닭을 뜻하는 일본어 ‘도리(とり)도 신라 말 ‘달’이 건너가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으로 ‘구(句)’에 대해 살펴본다. ‘구’는 닭의 끝소리 ‘ㄱ’에 관형격 조사 ‘우’가 결합된 말이다. ‘우’는 표준어의 관형격 조사 ‘-의’에 해당하는 경상도 말의 조사다. 경상도 말에서 ‘닭’이란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달’이라 하지만, 뒤에 명사가 이어질 때는 관형격 조사 ‘우’를 붙여 표현하는데, 이때 묵음화되었던 ‘ㄱ’이 나타난다. 즉 ‘닭의 똥’, ‘닭의 통’, ‘닭의 대가리’를 가리킬 때는 ‘달구똥’, ‘달구통’, ‘달구 대가리’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다. ‘ㄱ’과 ‘우’가 합해져 ‘구’가 되는 것이다. 경상도 말에서 ‘남의 집’을 ‘남우집’이라 하는 것도 그와 같다. 또 대구 지방에서는 맨드라미를 ‘달구비실’이라 하는데 그 꽃 모양이 ‘닭의 볏’과 비슷한 데서 온 이름이다. 그러니 ‘달구’는 ‘닭의’란 뜻이다.
달구벌의 ‘구’도 바로 이러한 ‘구’다. 그리고 조사 ‘우’를 생략하고 그냥 말할 때는 ‘달벌’이라 하는 것이다. 줄여서 달벌(達伐), 달불(達弗)이라 기록한 것은 그것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니 달구벌은 ‘닭의 벌’이란 뜻이다. 대구가 위치한 벌[原]에 ‘닭[鷄]’을 붙여 이름 지은 것이다.
그러니 달구벌의 달(達)은 들, 원, 주 등 곧 넓은 공간의 뜻이라고 하는 주장은 달구벌의 참뜻과는 어긋난 것이다.
지금 속칭이라 불리는 우리말 고유 지명은 한자 이름으로 된 행정명에 의해 점점 그 참모습을 잃고 있다. 이를테면 ‘쪽골’은 남곡(藍谷)으로, ‘이르실’은 조곡(早谷)으로, ‘서릿골’은 반곡(盤谷) 등과 같이 우리말로 된 속칭은 한자어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순수한 우리말 지명이 오랜 역사 속에서 아무렇게나 한자화한 까닭으로, 본래 가졌던 땅이름의 뜻이 왜곡된 것이 수없이 많다. 우리말 땅이름의 뿌리를 잃어가고 있다.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말 땅이름은 국어학의 소중한 대상을 넘어 귀중한 우리 문화자산이다. 그 동안 이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조사, 수집한 학자나 기관이 있긴 하나, 그 넓이나 깊이에서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방방곡곡에 묻혀 잠자는우리말 땅이름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하루라도 빨리 국가가 나서서 거국적인 조사와 연구를 벌여 그것을 기록하고, 그에 곁들인 뜻을 바로잡았으면 한다.
그리고 우리말로 된 이 속칭을 앞으로 되살려 썼으면 좋겠다. 읍과 면을 통합하여 시로 통합한 어느 곳에 가보니, 마을 이름이 한자어로 아무데1리, 아무데2리, 아무데3리 식으로 같은 이름을 번호 매기듯이 단순 나열한 곳이 있었다. 너무 메마른 이름이다. 아무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안이한 생각으로 붙인 이름이란 생각마저 들었다. 이곳에도 각 마을마다 전해오는 속칭이 있었다. 우리말 이름으로 된 그 속칭을 살려서 마을 이름으로 삼았으면 얼마나 좋을까.
첫댓글 어원에 대한 좋은 말씀 잘 읽었습니다. 저의 농막이 있는 동네는 예로부터 '돌마래미'인데, 일제 때 일본인들이 '저음리'라고 바꾸어 버렸습니다. 직름도 '저음길 292-1'처럼 쓰고 있습니다. 한자로는 '猪音'이라고 쓰는데, '산돼지 울음 소리가 많이 들린다고 해서 이렇게 지었다고 합니다.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돌이 아주 많은 곳이라서 '돌많음'이란 뜻으로 '돌마래미'로 불리워졌다고 저는 믿습니다.
대구시 동구 불로동 위의 동네가 봉무동입니다. 예로부터 '독지바우'로 불렸습니다. 왕건이 견훤에게 쫒겨 달아나다가 잠시 큰 바위에 앉아 쉰 곳이라고 합니다. 홀로 앉았던 바위라는 뜻으로요. 저는 아닐 것 같습니다.
문경시 영순면에 '달지리'라는 곳이 있습니다. 옛날 산자락 아래 작은 연못이 있었습니다. 달은 '산'이고 연못은 '池'라고 해서 지금 '달지리'라고 브르고 있는데, 상당히 오류가 있는 듯합니다. 지나갈 때마다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