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건강용 부직포 시장 중심 -
□ 개요
ㅇ 2015년도 인도의 부직포 생산은 약 7억 달러 규모이며 최근 5년간 13% 증가
ㅇ 구자라트주가 부직포 생산의 허브로 총 생산의 45% 차지하며 마하라슈트라주, 델리/하리야나 지역이 30% 정도 차지
인도의 부직포 생산지역 현황
구자라트 | 마하라슈트라 | 델리·하리야나
| 라자스탄 | 타밀나두 | 웨스트벵갈 | 안드라프라데시 | 기타 |
45% | 15% | 15% | 6% | 6% | 6% | 6% | 1% |
ㅇ 부직포의 50% 이상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터를 방사한 후 열을 가해 접착해 만드는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이며 니들펀치드(Needle-punched)**된 것이 그 다음을 차지
*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 부직포 성형 방법 중 하나로 주로 포장재, 토목건축재, 코팅재 등에 사용
** 니들펀치드(Needle-punched): 펠트 섬유를 바늘에 꿰어 바탕천에 감아 펠트상으로 압축 성형한 것
ㅇ 포장용 42%, 의료·건강용 7%, 자동차용 7%, 토목섬유(Geo-Textile)용 9%, 산업용 7% 등 차지
부직포 사용 현황
구분 | 용도 |
포장용(42%) | 의료용 멸균 포장, 플로피 디스크 라이너, 고성능 봉투, 문규류 |
의료·건강용(7%) | 수술용 마스크, 가운, 기저귀, 생리대, 멸균처리 천 |
자동차용(7%) | 카펫, 절연 처리, 헤드라이너, 문 패널, 뒷 자석 뒤쪽 선반, 좌석 패딩 속 |
토목섬유용(9%) | 폴리에스터 펠트, 필터, 분리기 |
산업용(7%) | 전자공업에서 절연처리 및 보호용 제품 적용, 케이블의 외피 및 필터 |
자료원: Baseline survey of the Technical Textile industry in India
ㅇ 부직포 생산기업이 최근 몇 년간 증가했는데 주로 PP Spun-bond 부직포 분야임. 그 이유는 인도에서 PP(폴리프로필렌)의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이며 소비자들의 소득증가로 인해 위생용품 시장 등 시장규모가 커졌기 때문으로 보임. 현재 인도에서는 약 100개의 부직포 생산기업이 존재하고 있음.
부직포 관련 주요 생산기업 현황
번호 | 회사명 | 상세 내용
|
1 | Supreme Nonwovens | - 생산량: 12,5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bond - 위치: 뭄바이 - 투자형태: Domestic |
2 | Ahlstrom Fibrecomposites | - 생산량: 12,5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bond, Melt Spun - 위치: 문드라 - 투자형태: FDI Finland |
3 | Uniproducts India | - 생산량: 12,150MT/년 - 부직포 타입: Needle Punched - 위치: 노이다 - 투자형태: Domestic |
4 | Global Nonwoven (Jindal Polyfilm과 합병) | - 생산량: 11,700MT/년 - 부직포 타입: - - 위치: 나식 - 투자형태: Domestic |
5 | Ginni Filaments | - 생산량: 10,0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lace - 위치: 노이다 - 투자 형태: Domestic |
6 | Alfa Foam | - 생산량: 7,8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bond, Melt Spun - 위치: 푸네 - 투자형태: Domestic |
7 | Welspun | - 생산량: 5,0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lace - 위치: 뭄바이 - 투자형태: Domestic |
8 | Surya Textech | - 생산량: 4,8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bond - 위치: 찬디가르 - 투자형태: Domestic |
9 | Fiberweb | - 생산량: 3,600MT/년 - 부직포 타입: Spun-bond - 위치: 다만 - 투자형태: - |
10 | Suminoe Teijin Krishna | - 생산량: - - 부직포 타입: - - 위치: 구르가온 - 투자형태: Suminoe Teijin과 합작 투자 |
11 | Fibertex Nonwovens A/S | - 생산량: - - 부직포 타입: - - 위치: 벵갈루루(영업부) - 투자형태: - |
ㅇ 참고로 인도에서 생산되는 부직포의 60%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패키지 및 의료용 제품을 위한 것임.
ㅇ 인도에서 폴리프로필렌의 50% 이상이 구자라트주에서 생산(연간 200만 톤)
- PP Fiber와 Filament의 주요 생산기업은 Jindal Polyester, Reliance, Parasrampuria Industries 등임.
ㅇ 최근 3년간 주요 수입국인 중국, 미국, 일본으로부터의 수입량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중국의 경우 2016년 기준 부직포 시장점유율 30.87%를 차지. 인도의 부직포 시장의 성장 전망은 긍정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임.
부직포 수입 현황
순위 | 국가 | 수입액(백만 달러) | 점유율(%) | 증감률(%)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1 | 중국 | 42.5 | 57.7 | 62.7 | 27.2 | 29.88 | 30.87 | 8.6 |
2 | 미국 | 20.1 | 24.9 | 33.4 | 12.86 | 12.91 | 16.45 | 33.96 |
3 | 일본 | 10.7 | 11.8 | 16.5 | 6.81 | 6.13 | 8.13 | 39.55 |
5 | 한국 | 13.0 | 12.2 | 10.6 | 8.34 | 6.33 | 5.25 | -12.84 |
| 총계
| 16.4 | 193.1 | 203.0 | 100.00 | 100.00 | 100.00 | 5.14 |
자료원: 인도 상공부
□ 의료·건강용 부직포 시장 동향
ㅇ 부직포가 사용되는 위생용 제품으로는 귀저기, 생리대, 청소용품 등이며 건강용 제품으로는 외과용 소모품과 인체에 삽입하는 제품으로 구분함.
ㅇ 이 분야의 시장은 5억 달러 규모(2012년 기준), 2017년까지 약 8억 달러 규모로 성장 예상
의료·건강용 부직포 수출입 현황
제품 | 단위 | 2012~2013 | 2013~2014(P) | 2015~2016(P) |
생산 | 수입 | 수출 | 수요 | 총계 | 수출 | 수요 | 수출 | 수요 |
Baby Diaper | 백만 달러 | 0.46 | 9 | - | 9.46 | 9.46 | - | 11 | - | 14.5 |
MT | 207 | 3,930 | - | 4,137 | 4,137 | - | 4,758 | - | 6,292 |
Incontinence Diaper | 백만 달러 | 0.15 | 1.53 | - | 1.68 | 1.68 | - | 2 | - | 2.9 |
MT | 37 | 698 | - | 735 | 735 | - | 882 | - | 1,270 |
Sanitary Napkin | 백만 달러 | 0.47 | 9.15 | - | 9.62 | 9.62 | - | 11 | - | 14.6 |
MT | 209 | 3,966 | - | 4,174 | 4,174 | - | 4,800 | - | 6,349 |
Wipes | 백만 달러 | 14.5 | 1 | 0.16 | 15.34 | 15.66 | 0.18 | 17 | 0.2 | 20.5 |
MT | 1,060 | 526 | 326 | 1,260 | 1,586 | 358.6 | 1386 | 434 | 1,677 |
자료원: Baseline survey of the Technical Textile industry in India
ㅇ 기저귀 시장은 소수의 대기업들이 과점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 13억8000만 개 정도가 소비됨. 아울러 대부분 인도 내에서 생산된 제품들임.
ㅇ 주요 브랜드로는 Huggies(Kimberley), Pampers(P&G), Mamy Poko(Unicharm)들로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
유아용 기저귀 주요 공급기업
번호 | 회사명 | 위치 | 투자형태 |
1 | P&G Home Products India | 뭄바이 | FDI |
2 | Kimberley-Clark Lever Ltd | 푸네 | FDI |
3 | Unicharm India Pvt. Ltd | 구르가온 | FDI |
ㅇ 성인용 기저귀 시장도 최근 2년간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
- 2012~2013년 약 7400만 개에서 2015~2016년 약 1억1000만 개 규모 시장으로 성장
성인용 기저귀 주요 공급기업
번호 | 회사명 | 위치 | 투자형태 |
1 | Nobel Hygiene Pvt. Ltd | 뭄바이 | Domestic |
2 | Kimberley-Clark Lever Ltd | 푸네 | FDI |
3 | Walmark Meditech Pvt. Ltd | 나그푸르 | Domestic |
ㅇ 생리대(Sanitary Napkins) 시장은 2012년도 기준 약 44억 개가 소비됐으며 2015년도에는 66억8000만 개가 소비된 것으로 추정
ㅇ 여성인구대비 생리대 소비규모는 낮은 편인데 특히 농촌지역에서의 사용률이 매우 낮음.
ㅇ 주요기업으로는 P&G, Kimberley, Johnson&Johnson, Gufic 등이 있으며 기타 Royal Hygiene Care, Actifit India, Dima Products&Kaul Impex, Jayashree Industries 등이 있음.
생리대 주요 공급기업
번호 | 회사명 | 위치 | 투자형태 |
1 | P&G Hygiene and Health Care India | 뭄바이 | FDI |
2 | Kimberley-Clark Lever Ltd | 푸네 | FDI |
3 | Johnson & Johnson Limited | 뭄바이 | FDI |
4 | Gufic Biosciences Ltd | 뭄바이 | Domestic |
□ 뭄바이 주요 부직포 및 섬유 관련 전시회
1) The Non-Woven International Exhibition & Conference
기간 | 2017년 6월 8~10일 |
홈페이지 | tradeshows.tradeindia.com/nonwoventechasia (매년 개최되나 개최지는 수요에 따라 변경, 2018년은 델리에서 개최 예정) |
주요 특징 | 2017년 4번째를 맞이하는 부직포 전시회로 원재료업체부터 제조업체, 정부기관 등 부직포와 연관된 폭넓은 바이어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음 |
2) TECNHOTEX
기간 | 2017년 4월 12~14일 |
홈페이지 | technotexindia.in(매년 개최) |
주요 특징 | 인도 경제인연합(FICCI) 주관으로 6번째를 맞는 섬유 전시회로 인도를 산업용 섬유와 제조업 허브로 만들자는 취지로 개최되고 있고 섬유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을 만나볼 수 있음 |
□ 시사점
ㅇ 1950년경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크게 사용되기 시작한 부직포는 의료용에서부터 공업용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시장 전망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음.
ㅇ 한국산 제품의 인도 수출 비중은 높지 않은데 그 이유는 중국·인도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바이어 인터뷰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음.
- 인도 주요 수입업체 중 하나인 Kodel Uniquoters의 Mr Sanjay Kodel에 따르면 대부분의 부직포 수입이 중국을 통해 이뤄지는데 가격적인 면에서 인도 현지 제조업체와 비교하더라도 매우 경쟁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히면서 인도의 경우 부직포를 수입할 뿐 아니라 인도 내 수많은 현지 제조업체들이 있기 때문에 인도는 부직포 품목에 있어 가장 규모가 큰 수출국 중 하나라고 강조함. 한국 제품의 수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격만 맞는다면 수입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함.
- 기저귀 및 위생용 냅킨을 위한 부직포를 수입하는 업체인 Jupiter Textils의 Mr. Devendra 역시 한국제품의 품질에 대해서는 인정을 하면서도 중국 및 인도 제품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달라지지 않는 한 수입하기 힘들 것으로 말함. 다만, 부직포 제조기계는 일반적으로 한국이나 독일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고 했음.
ㅇ 실제로 바이어들은 한국산 부직포 가격이 높다고 말하면서 그 원인으로 높은 수입관세를 지적하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파악됨.
ㅇ HS Code 기준 5603.1100 기준의 경우, 한국은 CEPA 적용 시 총수입관세는 17.39%인데 비해 중국은 29.44%임. 관세는 오히려 한국산 제품이 유리하기 때문에 CEPA적용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 부직포를 주로 수입하는 Impetus impex의 Mr.Sanjeev씨에 따르면 중국산의 경우 가격 경쟁력으로 인도 기업도 뚫기 어려운 유통시장을 장악해가고 있음. 반면, 한국산 제품은 그러지 못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강구했으면 좋겠다고 조언함
ㅇ 인도 부직포 시장은 향후에도 더욱 큰 성장이 예상되므로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해서 CEPA 적용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최대한 보완하는 한편, 관련 전시회 참가를 통해 꾸준한 접근이 중요함.
자료원: Baseline Survey of the Technical Textile Industry in India written by ministry of Textile 및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