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EYBEES are sensitive creatures. From time to time a hive simply gives up the ghost and vanishes. Colony collapse disorder, as this phenomenon is known, has been getting worse since 2006. Some beekeepers worry that it may make their trade impossible, and could even have an effect on agriculture—since many crops rely on bees to pollinate them. Climate change, habitat destruction, pesticides and disease have all been suggested as possible causes. Nothing, though, has been proved. But the latest idea, reported inNaturwissenschaften by Jeff Pettis of the Bee Research Laboratory in Beltsville, Maryland, suggests that this may be because more than one factor is involved.
꿀벌은 매우 예민한 창조물이다. 간혹 벌집이 그냥 죽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군집붕괴현상(CCD)으로 알려진 이 현상은 2006년 이후 더욱더 심각해져왔다. 양봉업자중에는 양봉장사를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걱정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농업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우려한다. 많은 작물의 수분을 꿀벌이 주로 담당하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서식지파괴, 살충제, 병충해 등이 원인으로 제기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원인은 판명나지 않았다. 그런데, 매릴랜드 벨츠빌 소재 꿀벌연구소의 제프 페티스는 Naturwissenschaften에 붕괴현상이 복합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
Dr Pettis and his colleagues knew from previous reports that exposure to a pesticide called imidacloprid has a bad effect on honeybees’ ability to learn things and wondered whether it might be causing other, less noticeable, damage. Since one thing common to colonies that go on to collapse seems to be a greater variety and higher load of parasites and pathogens than other colonies, they wondered in particular whether it might be weakening the insects’ immune systems, and thus allowing infections to spread through a hive.
이전의 보고서를 통해 페티스와 연구진은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라는 살충제 노출이 꿀벌의 학습능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나서 크게 눈에 띄지 않는 다른 악영향을 야기하지는 않는지 의문을 가졌다. 집단폐사하는 벌집은 공통적으로 다른 벌집에 비해 기생충과 병원균에 더 많이 감염되어 있어보이기 때문에 이로인해 꿀벌의 면역체계가 약화되고 벌집전체로 감염이 확산되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To find out, they gave 20 hives protein food (a substitute for pollen, which is fed to developing larvae) that had been spiked with imidacloprid. In ten cases the dose was five parts per billion (ppb); in the other ten it was 20 ppb. Previous experiments have shown that neither dose perceptibly harms bees. A further ten hives were given unspiked food as a control. Then, when the young bees emerged a few weeks later, Dr Pettis collected them and fed them with spores of a fungal parasite called Nosema. Twelve days later, he killed them and estimated the extent of their infestation.
이것을 알아내기 위해 이미다클로프리드를 주입한 단백질 먹이(꽃가루 대용)로 20개의 벌집에 실험을 했다. 벌집 10개에는 5ppb, 다른 10개에는 20ppb의 살충제가 투입됐다. 그리고 추가로 10개의 벌집에는 살충제 성분이 없는 먹이를 줬다. 몇 주 뒤 어린 벌이 출현하자 페티스 박사는 이 어린 벌들을 잡아서 노세마(osema)라는 곰팡이균 포자를 먹였다. 12일 뒤 이 벌들을 해부해 감염정도를 파악했다.
Both of the groups that had been exposed to imidacloprid harboured an average of 700,000 parasite spores in each bee. Bees from the control colonies, by contrast, harboured fewer than 200,000 spores in their bodies. The insecticide, in other words, was exposing bees to infestation, and thus to a much greater chance of dying prematurely.
살충제에 노출된 두 그룹은 꿀벌 한마리 당 평균 70만개의 균에 감염되어 있었고, 이에반해 대조군의 꿀벌의 감염정도는 20만개 미만이었다. 다시말해, 살충제가 벌들을 균에 감염되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벌이 일찍 죽은 확률이 커지게 된것이다.
Whether this is actually the reason for colonies collapsing remains to be determined. But it is a plausible hypothesis, and is likely to get beekeepers buzzing with interest.
이것이 꿀벌의 집단폐사의 실제 원인인지는 아직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설득력 있는 가설이고 양봉업자과 큰 관심을 갖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