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 상황을 제시하고 다수를 구하기 위해 소수를 희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게 하는 문제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두 가지 트롤리 문제
1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 기차가 달리고 있다.
레일 위에는 5명의 인부가 일을 하고 있
는데, 트롤리가 이대로 달린다면 5명은 반드시 죽게 될 것이다.
한 가지 방법은 레일변환
기로 트롤리의 방향을 바꾸는 것뿐이다. 그런데 다른 레일 위에는 1명의 인부가 있다.
당
신은 트롤리의 방향을 바꿀 것인가?
→ 이 문제는 영국의 윤리 철학자인 필리파 푸트(Philippa R. Foot)가 제안한 것으로, 응답
자의 89%가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미국의 심리학자 조슈아 그린(Joshua Greene)은 fMRI(기능성 자기공명영상)로 응답자의
뇌 활동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 합리적, 이성적인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전전두엽 부위가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당신은 육교 위에서 트롤리가 달리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는
5명의 인부를 향해 달리고 있다.
무거운 것을 떨어뜨려 트롤리를 멈춰야 하는데, 육교에
는 뚱뚱한 사람 한 명이 있을 뿐이다.
당신은 몸무게가 적어 육교에서 떨어져도 트롤리를 멈출 수 없고, 뚱뚱한 사람을 떠밀 경
우 확실히 트롤리를 멈출 수 있다.
그렇다면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떨어뜨려야 하는
가?
→ 이 문제는 미국 도덕 철학자인 주디스 톰슨(Judith J. Thomson)이 문제 ①에 이어 추가
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응답자들의 78%가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밀
어서는 안 된다고 응답했다.
문제 ①과 마찬가지로 조슈아 그린(Joshua Greene)이 fMRI로 응답자의 뇌 활동도를 조사
한 결과, 이번에는 편도체(amygdala)를 포함한 정서와 관계된 뇌 부위가 활성화된 것으로
두 가지 트롤리 문제에서 발견된 딜레마
두 가지의 트롤리 문제는 모두 ‘소수를 희생해서 다수를 구할 것인가’를 묻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두 가지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판단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뜻 비슷
해 보이는 문제에 왜 많은 응답자들은 다르게 반응하는 것일까?
1
첫 번째 트롤리 문제에서는 5명의 인부를 죽게 내버려 두지 않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지지
만, 두 번째 트롤리 문제에서는 1명의 뚱뚱한 사람을 죽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2
첫 번째 트롤리 문제에서는 5명의 생명을 위협하는 트롤리를 1명에게 나눌 수 있는 것처
럼 보이지만, 두 번째 트롤리 문제에서는 뚱뚱한 사람을 권리를 침해하여 5명의 생명을 구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왜 트롤리 딜레마가 생기는지에 관한 명확한 이유는 없다.
다만 위의 두 딜레마 상황에서 활성
화된 뇌 부위가 상이한 점을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제기된다.
즉,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결정을 할 때는 옳고 그름의 판단과는 별개로 뇌의 이성적 판단
중추와 정서적 판단 중추 중 활성화된 쪽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