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탑스] 삼성전자는 웨어러블 로봇 양산 사업자로 왜 인탑스를 선택했을까?
2. 스마트폰 케이스 제조업체인 인탑스는 베어로보틱스에 서빙 로봇을 독점 공급
3. 인탑스, 주당 610원 현금 배당 결정
4. [브랜드평판] 핸드셋 상장기업 2023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영풍, 2위 인탑스, 3위 드림텍
4. [브랜드평판] 핸드셋 상장기업 2023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영풍, 2위 인탑스, 3위 드림텍
사진제공=한국기업평판연구소. [단박에 - CBC뉴스 | CBCNEW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BC뉴스]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2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위 영풍 2위 인탑스 3위 드림텍 순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1월 17일부터 2023년 2월 17일까지의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7,389,38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3,383,862개와 비교하면 9.23% 증가했다고 한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2월 빅데이터 분석 30위 순위는 영풍, 인탑스, 드림텍, 엠씨넥스, 이엠텍, 캠시스, 버킷스튜디오, 나무가, 파트론, 이랜텍, KH바텍, 하이비젼시스템, 시노펙스, 유티아이, 하인크코리아, 코아시아, 상신이디피, 아모텍, 노바텍, 슈피겐코리아, 엘컴텍, 덕우전자, 아이엠, 알에프텍, 앤디포스, 와이솔, 아모센스, 세경하이테크, 이즈미디어, 코아시아옵틱스 순이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영풍 브랜드는 참여지수 98,050 미디어지수 180,933 소통지수 549,455 커뮤니티지수 423,889 시장지수 2,218,717 사회공헌지수 73,51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544,559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3,753,126과 비교해보면 5.56% 하락했다.
2위, 인탑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63,534 미디어지수 254,491 소통지수 251,950 커뮤니티지수 390,279 시장지수 964,213 사회공헌지수 78,77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03,237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747,360과 비교해보면 26.09% 상승했다.
3위, 드림텍 브랜드는 참여지수 141,426 미디어지수 129,732 소통지수 135,855 커뮤니티지수 115,998 시장지수 1,296,140 사회공헌지수 37,04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56,199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713,286과 비교해보면 8.34% 상승했다.
4위, 엠씨넥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175,653 미디어지수 178,589 소통지수 200,803 커뮤니티지수 147,991 시장지수 1,058,330 사회공헌지수 60,76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22,128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657,047과 비교해보면 9.96% 상승했다.
5위, 이엠텍 브랜드는 참여지수 135,230 미디어지수 119,959 소통지수 248,202 커뮤니티지수 476,358 시장지수 728,340 사회공헌지수 64,88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72,975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838,132와 비교해보면 3.54%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브랜드평판 2023년 2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영풍 ( 대표 박영민, 배상윤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43,383,862개와 비교하면 9.23%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0.54% 상승, 브랜드이슈 15.94% 상승, 브랜드소통 6.87% 상승, 브랜드확산 12.29% 상승, 브랜드시장 8.14% 상승, 브랜드공헌 1.22%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2023년 2월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은 2023년 1월 17일부터 2023년 2월 17일까지의 61개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했다. 61개 핸드셋 상장기업 브랜드는 영풍, 인탑스, 드림텍, 엠씨넥스, 이엠텍, 캠시스, 버킷스튜디오, 나무가, 파트론, 이랜텍, KH바텍, 하이비젼시스템, 시노펙스, 유티아이, 하인크코리아, 코아시아, 상신이디피, 아모텍, 노바텍, 슈피겐코리아, 엘컴텍, 덕우전자, 아이엠, 알에프텍, 앤디포스, 와이솔, 아모센스, 세경하이테크, 이즈미디어, 코아시아옵틱스, 에스맥, 파인테크닉스, 디케이티, 와이제이엠게임즈, 이엠앤아이, 씨유테크, 에스코넥, 우주일렉트로, 멜파스, 해성옵틱스, 엔피디, 유아이엘, 재영솔루텍, 와이팜, 블루콤, 서원인텍, 바이오로그디바이스, 디스플레이텍, 한일진공, 에이치앤비디자인, 에스에이티, 장원테크, 유테크, 하이소닉, 크루셜텍, 액트로, 성우전자, 이미지스, 케스피온, 엑스큐어, 지나인제약 이다.
CBC뉴스ㅣCBCNEWS 권오성 기자 kos@cbci.co.kr
3. 인탑스, 주당 610원 현금 배당 결정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인탑스(049070)는 주당 610원 결산 현금 배당 결정을 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시가배당율은 2.1%, 배당금 총액은 98억6569만원이다.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2. 스마트폰 케이스 제조업체인 인탑스는 베어로보틱스에 서빙 로봇을 독점 공급
유안타증권은 로봇 관련주로 인탑스와 로보티즈를 추천했다. 스마트폰 케이스 제조업체인 인탑스는 베어로보틱스에 서빙 로봇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이 증권사는 내년 인탑스의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36.8% 증가한 165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4.0배에 불과하다.
1. [인탑스] 삼성전자는 웨어러블 로봇 양산 사업자로 왜 인탑스를 선택했을까?
cart ・ 2022. 9. 24. 11:14
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젬스 힙' 12월 출시 유력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보행보조 로봇 '젬스 힙'(GEMS Hip)의 출시가 오는 12월이 유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삼성전자 내부에선 젬스의 디자인을 두고 여전히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져, 상황에 따라선 내년 출시
n.news.naver.com
인탑스가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을 양산한다는 기사이다.
삼성전자는 웨어러블 로봇 양산 사업자로 왜 인탑스를 선택했을까?
"주요 부품은 국내 기업으로부터 협력을 받아 조달하며, 최종 조립 생산은 정보통신 기기·부품, 의료기기, 로봇 관련 제조 기업 인탑스가 맡았다. 인탑스가 협력업체들로부터 부품을 조달 받아 생산 조립·애프터 서비스 등의 종합 서비스를 하는 구조다. 부품 협력업체는 젬스 힙 초도 물량 납품을 위한 기술 개발을 완료했으며, 삼성전자의 의사결정에 맞춰 납품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2년 9월 19일 아이뉴스21)
웨어러블 로봇은 신체에 밀착해서 착용한다.
특히, 삼성 젬스 힙은 허리 관절에 착용한다.
외형 특성상, 디자인에 굴곡이 많다.
웨어러블 로봇은 움직임이 많이 발생하고, 충격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내구성이다.
마모도를 줄여야하며, 충격을 방지를 해야한다.
웨어러블 로봇은 전자제품이기 때문에, 전자회로를 탑재할 PCB가 필요하다.
1990년대 초까지는 모든 전자제품에는 PCB를 사용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자제품이 점차 소형화 되면서,
PCB는 부피가 크고, 휘지 않는 강성이어서, 소형 모바일 제품에 사용하기는 부적절하게되었다.
현재, 모바일 제품 생산에는 연성회로 기판인 FPCB를 사용한다.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전자 부품 간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유연성이 있는 판이다.
FPCB. 출처 : 비에이치 홈페이지
웨어러블 로봇도 FPCB를 사용해야한다.
FPCB가 유연성이 있다고 해도, 경성 PCB에 비해서, 유연성이 있을 뿐, 여전히 유연성에 한계가 있다.
FPCB를 사용할 경우, 유연성 한계 때문에, 기구 디자인에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
FPCB는 움직이는 환경에서 내구성이 취약하다.
웨어러블 로봇에 FPCB를 사용하면 내구성이 약해질 것이다.
유연한 기구 디자인도 제약이 있을 것이다.
FPCB는 생산 공정 중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서, 불량률이 비교적 높다.
FPCB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도 크며, 생산 공정에 오버헤드가 있다.
공정상, FPCB를 이용한 조립 공정에 수작업이 들어가므로,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서,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
FPCB의 한계를 넘기위해서, In-mold electronic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n-mold electronic은 차세대 smart surface 기술이다.
기술적으로는 완성이 되었지만,
아직은 상업적으로 확산되지 않는 기술이다.
향후 미래에는, 모바일 제품의 surface 는 In-mold electronic 이 기본이 될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In-mold electronic 은 플라스틱 케이스에 전자 부품을 mold 한다.
FPCB 를 사용하지 않고, FPCB역할을 플라스틱 케이스가 하는 것이다.
2022년 4월 27일에 삼성전자와 인탑스가 공동 특허 출원한
In-mold electronic 특허가 공개되었다.
"도전성 부재가 도금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인탑스 단독의 in-mold electronic 특허도 있다.
"다중 IME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전자회로 도금 공법을 이용한 IME 구조 및 그 제조방법"
자동차 터치패널에 in-mold electronic 적용 가능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김근하 사장님의 답변이다.
"자동차 터치패널에 in-mold electronic 을 적용하는 것은,
인탑스와 현대차가 연구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자동차 부품에 신기술이 적용되는 것은 시계열이 길다.
현대차 부품에 신기술이 적용되려면, 5년 정도의 연구 개발 시간이 걸린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inmold electronic 적용 가능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한 김근하 사장님 답변이다.
"In-mold electronic 은 새로운 공법이여서,
삼성전자가 대량 양산을 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조심스러운 단계이다.
가능성을 떠나서, 아직까지는 삼성전자에게 제안한 것은 없다.
현재는 교세라 스마트폰에만 집중하고 있다."
인탑스, 日교세라에 신공법 적용한 스마트폰 케이스 50만대 공급
[서울경제] 스마트폰 케이스 제조업체 인탑스(049070) 가 새로운 공법을 적용한 스마트폰 케이스 50만대를 일본 교세라에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몰드 상호 연결 장치(MID)로 불리는 새 공법은 스마트폰의 각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