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찬(杜撰)
오류가 많거나 전거가 분명치 않은 작품을 일컫는 말이다.
杜 : 막을 두
撰 : 지을 찬
전거가 불확실하거나 격식에 맞지 않는 시문을 가리키는 말이다. 저술에 전거나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 틀린 곳이 많은 작품을 말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시상(詩想)이 떠오르기에 지필(紙筆)을 꺼내어 시(詩)를 한 수 지었는데, 운율(韻律)이 맞지 않는 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격(格)에 잘 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송(宋)나라 왕무(王楙)의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두묵(杜黙)이 시(詩)를 짓는데 율(律)에 맞지 않는 것이 많아, 그 때문에 일이 격(格)에 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한다’는 내용이 있다(杜默爲詩多不合律故言事不合格者爲杜撰).
송대(宋代)에 구양수(毆陽修) 등과 시작(詩作) 활동을 하던 두묵(杜黙)이란 사람의 시(詩)가 율(律)과 격(格)에 맞지 않는 것이 많아,그 후로 무엇이든 격(格)에 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했다는 말이다.
그러면서 왕무(王楙)는 다음과 같이 부연(附椽)하고 있다. ‘두(杜)라는 자(字)는 두전(杜田),두원(杜園)의 예(例)에서 처럼 고래(古來)로 나쁘다든가 덜 좋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집(家)에서 빚은 맛없는 술(酒)을 두주(杜酒)라고 하는데, 임시 대용품(代用品)이나 엉터리라는 의미(意味)가 들어있다.’ 왕무(王楙) 자신도 두찬(杜撰)이란 말 자체의 전거(典據)에 확신을 가지지 못한 때문이다.
통속편(通俗篇)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교(道敎)는 중국 고대의 신선설(神仙設)과, 노자(老子)의 도(道)를 흉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한말(韓末)에 불교가 전해 들어와서 부터, 이와 같은 충돌 이로 정연하게 쓰여진 불전(佛典)에 대항키 위하여 그와 비슷한 경전(經典)을 만들고 유교로 윤색하여, 불교의 대장경(大藏經)에 대하여 도장(道藏)이라고 이름 지었다.
송(宋)나라의 석문형(釋文鎣)이 북송(北宋)의 잡사(雜事)에 대하여 쓴 상산야록(湘山夜綠)에는 도장(道藏)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논(論)하고 있다. ‘도장(道藏) 오천여권은 도덕경(道德經) 2권만이 진본이고, 나머지는 전부 촉(蜀, 사천성)의 학자 두광정(杜光廷)이 저술한 위작(僞作)이다. 그 때부터 하찮은 위작(僞作)을 두찬(杜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한 성문숙공(盛文肅公)이 절신도비(節神道碑)를 만들어 그 비문(碑文)을 찬(撰)하였다. “어떤 사람이 어느 분을 찬양합니까?”라고 물으니까, 성(盛)이 당황하여, “두(杜)의 찬(撰)이다”라고 대답하였기 때문에, 만좌(滿座)의 사람들이 한바탕 웃었다. 문숙(文肅)은 두묵(杜黙)보다 이전 사람이기 때문에 두찬(杜撰)이라는 말은 상당히 오래 된 것 같다.
또 명(明)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畵) 청등산인로사(靑藤山人路史)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두(杜)라는 글자의 본시 음(音)은 토(土)와 같은데, 후(後)에 토(土) 대신 두(杜)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전체적(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두(杜)이다.’ 찬(撰)이라 함은 저작(著作)하는 것을 의미(意味)한다.
위의 글들에서 보다시피, 두찬(杜撰)이란 격(格)에 맞지 않거나 오류가 많고 남의 저작을 베낀 시작(詩作)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그 말 자체의 전거(典據)는 확실하지 않다. 오늘날 이 말의 사용이 적절한 것인가를 놓고 논의가 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두찬(杜撰)이라 함은 근거가 없고 거짓이 많은 것을 말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는 특히 틀린 곳이 많은 저작(著作)을 말하게 되었다.
▶️ 杜(막을 두)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土(토)로 이루어졌다. 나무의 이름이다. 또 음(音)이 遮(차; 가로막다)와 통하므로 그 뜻을 빌어 막다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그래서 杜(두)는 ①막다, 닫다 ②팥배나무(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막을 옹(壅), 막을 거(拒), 막을 저(抵), 막을 저(沮), 막을 방(防), 막을 장(障), 거리낄 애(碍), 금할 금(禁), 막을 어(禦), 막을 고(錮), 가로막을 알(閼)이다. 용례로는 밖으로 나다니지 않으려고 집이나 방의 문을 닫아 막음을 두문(杜門), 막히고 끊어짐을 두절(杜絶), 폐단을 막음 또는 폐단이 다시 생기지 않도록 함을 두폐(杜弊), 톨스토이를 한자식으로 쓰는 말을 두옹(杜翁), 양하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을 두약(杜若), 노간주나무를 두송(杜松), 중국 남부 지방에서 나는 교목의 한 가지를 두중(杜仲), 팥배나무를 두정(杜楟), 두충과에 딸린 큰키나무를 두충(杜冲), 저술에 전거나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두찬(杜撰), 집 안에만 들어 앉아 있고 나다니지 아니함을 두문불출(杜門不出), 사사로운 것을 막고 공적인 것을 강화함을 두사강공(杜私強公),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으로 곧 좋지 못한 일의 조짐이 보였을 때 즉시 그 해로운 것을 제거해야 더 큰 해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두점방맹(杜漸防萌), 어떤 일이 번지기 전에 미리 막음을 방미두점(防微杜漸) 등에 쓰인다.
▶️ 撰(지을 찬, 가릴 선)은 형성문자로 譔(가르칠 선, 지을 찬), 選(가릴 선, 셀 산, 유손할 손, 돈 이름 솰), 䉵(지을 찬/반찬 찬) 등은 동자이다. '선'의 본음(本音)은 '산'이다.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巽(선)으로 이루어지며, 글자를 벌이어 '쓰다'의 뜻으로, 또 음(音)을 빌어 '가리다(≒選)'의 뜻에 쓰인다. 그래서 撰(지을 찬, 가릴 선)은 (1)'지을 찬'의 경우는 ①짓다, 시문(詩文)을 짓다 ②잡다, 손에 쥐다 ③엮다, 편찬하다(編纂--: 여러 가지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들다) ④만들다 ⑤갖추다 등의 뜻이 있고 (2)'가릴 선'의 경우는 ⓐ가리다(≒選) ⓑ선택하다(選擇--) ⓒ세다 ⓓ헤아리다 ⓔ일(천지변화의 법칙) ⓕ법칙(法則), 규칙(規則), 규정(規定) ⓖ화폐(貨幣)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유의어 로는 作(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 문서 질), 製(지을 제), 述(펼 술), 造(지을 조) 등이다. 용례로는 책이나 문서 따위를 저술하고 편집함을 찬수(撰修), 논석 등의 첫머리에 지은이의 이름을 쓰는 것을 찬호(撰號), 임금께 글을 지어 바침을 찬진(撰進), 시문을 지음을 찬문(撰文), 책이나 글 따위를 지은 사람을 찬인(撰人), 책이나 글 따위를 지은 사람을 찬자(撰者), 학문이나 문예 등에 관한 책이나 글을 씀을 찬술(撰述), 시가나 문장 등을 가려 모음 또는 가려 모은 책을 찬집(撰集), 시문을 지어서 골라 정함을 찬정(撰定), 찬술하고 기록함을 찬록(撰錄), 여러 가지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듦을 찬찬(撰纂), 글을 베끼어 씀을 찬사(撰寫), 시가나 문장을 지어서 씀을 찬서(撰書), 시가나 문장을 지어 냄을 찬출(撰出), 임금의 말씀이나 명령의 내용을 신하가 대신 짓던 일을 대찬(代撰), 허물을 숨기고 꾸밈을 장찬(粧撰), 서책을 편집하여 펴냄을 수찬(修撰), 임금의 말씀이나 명령의 내용을 신하가 대신 짓던 일을 제찬(制撰), 임금이 몸소 시가나 글을 짓는 일 또는 칙명에 따라 책을 엮음 또는 그 책을 칙찬(勅撰), 개인의 저작 또는 개인이 뽑아 모음 또는 뽑아 모은 그것을 사찬(私撰), 책을 다시 고쳐 지음을 개찬(改撰), 임금이 신하에게 책을 찬술하도록 명령함을 명찬(命撰), 정부에서 편찬함 또는 그 책을 관찬(官撰), 가집이나 책 따위를 삼가 찬술함을 근찬(謹撰), 새로 책을 찬수함 또는 그 책을 신찬(新撰), 자기가 손수 편찬함을 자찬(自撰), 정확한 근거가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꾸며서 그럴듯하게 글을 지음 또는 그러한 글을 백찬(白撰), 전거나 출처가 확실하지 못한 저술 또는 틀린 곳이 많은 작품을 일컫는 말을 두찬(杜撰), 사실인 것처럼 꾸며 대면서 끝까지 버팀을 이르는 말을 장찬저뢰(粧撰抵賴), 주관에 의하여 함부로 결단하고 없는 사실을 그럴 듯하게 마구 지어 냄을 이르는 말을 무단백찬(武斷白撰)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