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브랜드 성공 발판된 두 기업
경쟁력 있는 중소 제품들 키워
물류망 갖춘 플랫폼 통해 해외로
코로나19 펜더믹 이후 제기한 K뷰티 산업의 지형도는 확 바뀌었다.
제품은 대형 브랜드에서 인디 브랜드 중심으로, 중국에 집중되던 수출은 미국 일본 유럽 등으로 다변화했다.
이 같은 변화를 주도한 두 개의 플랫폼 업체가 있다.
CJ 올리브영과 실리콘투다.
세계 최강의 화장품 제조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 코스맥스, 한국콜마와 더불어
1300여 개 유통망을 갖춘 올리브영이 있었기에 중소 인디 브랜드가 성장할 수 있었다.
이들 제품의 수출 통로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이 실리콘투다.
오릴브영은 인디 브랜드 중심의 K뷰티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상품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 브랜드를 입점시켜 국내 시장에서 성장발판을 제공했다.
올리브영의 작년 매출은 3조8612억원으로 2020년 1조8739억원에서 불과 3년 새 두 배로 급증했다.
올해 매출은 4조원대 중반을 기록할것이란 전망이다.
K뷰티 흐름이 확산하자 올리브영은 최근 헤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역직구몰인 '올리브영 글로벌몰'을 강화하고, '바이오힐보' 등 자체 브랜드의 해외 유통채널 입점도 추진하고 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세계 150여 개국에 K뷰티 상품을 배송해준다.
취급하는 상품만 2만여 종에 이른다.
지난해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매출은 전년대비 80% 증가했다.
실리콘투는 국내 430여 개 화장품 브랜드 제품을 180여 개국에 판매하는 중간 유통사다.
국내 인디 브랜드 화장품을 다품종 소량으로 직매입해 자사 플랫폼인 '스타일코리안닷컴'을 통해
e커머스 역직구 고객과 기업 고객에 판매한다.
실리콘투는 수출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중소 화장품업체에 매력적인 플랫폼이다.
제품 브랜드에만 집중하고 통관과 물류 .영업망 등 해외 시장개척에 필요한 일은 모두 실리콘투에 맡기면 되기 떄문이다.
미국 시장에서 실리콘투는 아마존, 아이허브 등을 주요 바이어로 확보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조선미녀 ''스킨천사' 등 K뷰티 브랜드가 미국에서 히트를 치자 실리콘투 매출도 큰 폭으로 늘었다.
실리콘투 매출은 2020년 994억원에서 지난해 3492억원으로 3년 새 3.5배로 증가했다.
증권업계에선 올해 매출이 7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전망에 힘입어 실리콘투 주가는 올해 상반기에만 500% 이상 올랐다. 전설리 기자
'일본판 올리브영' 앳코스메 운영
아이스타일 스기와라 부회장
K뷰티가 단기간 급성장한 배경에는 제조업자개발생산(ODM) 강국이라는 한국 화장품산업의 특성과
밸류 체인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스기와라 개이 일본 아이스타일 부회장(55)은 지난달24일 일본 도쿄 롯폰가에서 기자와 만나
'K뷰티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건 상품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원료는 물론 내용물, 용기에 이르기까지 화장품 제반 사업이 발달한 곳이 한국'이라며
'이 같은 생태계가 갖춰져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적은 비용으로 수많은 새로운 브랜드 탄생이 가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쿠션.틴트 탄생시킨 트렌드 세터
그 뒤엔 뛰어난 제조 경쟁력'
한국 화장품에 대해 스기와라 부회장은 '트랜드에 매우 민감한 트렌드 세터'라고 했다.
'K뷰티는 비비크림, 틴트, 마스크팩, 쿠션 파운데이션 등 새로운 카테고리를 탄생시켰다'며
'미국과 일본, 유럽의 주요 브랜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아이스타일은 '일본 최대 온.오프라인 뷰티 플랫폼인 '앳코스메(@cosme)'를 운영하는 모기업이다.
앳코스메는 일본내에서 30여 곳의 뷰티 전문 매장을 운영한다.
스기와라 부회장은 1999년 요시마쓰 데쓰로 회장과 함께 세계 최초 뷰티 전문 리뷰 플랫폼인 아이스타일을 창업했다.
아이스타일은 지난 해 한국 뷰티 플랫폼인 글로우픽을 인수했다.
스기와라 부회장은 '앞으로 글로우픽을 통해 K뷰티의 일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도쿄=오형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