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정부, 원화결제 방안 등 피해액 최소화 고심
중공업·건설업 당분간 신규사업 참여 어려워
8일 정부가 이란과의 경제교류를 대폭 차단하는 내용의 제재안을 발표했다. 이제 관건은 이란의 반응이다. 수차례 '가만있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내온 이란 쪽이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일파만파 번져갈 수 있다.
■ 멜라트 지점 영업정지 고육책…정부 원화결제 등 대책 마련 부심 정부 발표를 보면, 미국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는 모양새를 갖추면서도 이란과 관계악화에서 오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두마리 토끼 잡기' 고민이 읽힌다. 유엔 결의안에 명시된 기관·개인만 '금융제재대상자'가 될 수 있는 현행 외환거래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까지 멜라트은행 지점 등 102개 기관·24명 개인을 금융제재대상자로 지정했다. 또 기존에 없던 '대이란 금융거래 사전허가제'까지 신설했다. 멜라트은행 지점은 영업정지 2개월의 징계를 통보하는 동시에 금융제재대상자에도 포함시켜 버렸다. 영업정지가 풀린다고 해도 정상 영업을 하기가 어려울 만큼의 강력한 제재다.
하지만 이란과 교역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고심의 흔적도 엿보였다. 일단 미국이 요구해온 멜라트은행 지점의 폐쇄와 자산동결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멜라트 지점을 검사했지만 인가취소를 할만한 중대한 불법행위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자산동결 역시 우리나라 현행법상 어디에도 관련 규정이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 국내은행에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원화결제 계좌를 개설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도 이란과 교역을 최대한 살려나가려는 의도로 보인다. 재정부 관계자는 "원화결제 계좌를 개설하면 좀더 안정적으로 우리 기업들이 이란과 교역을 계속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 공은 이란으로… 최악 경우 교역피해 100억달러 이상 이제 공은 이란으로 넘어갔다. 정부는 이란 당국에 제재내용을 최근에서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어떤 반응을 보일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가 없다. 지켜보자"고만 말했다.
일단 정부는 아킬레스건이라고 할 수 있는 원유수입(한해 60억달러 규모) 부분에 대해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란 정부가 재정의 상당부분을 원유수입에 의지하고 있고, 유럽과 일본 등 다른 제재국가들과도 원유거래는 유지하고 있다는 점 등이 정부가 낙관하는 근거다.
하지만 한해 40억달러에 이르는 대이란 상품수출과 10억~20억달러 규모의 건설·플랜트 수주 등에 대해서는 정부도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란이 수입을 금지하는 등 무역보복의 가능성이 없느냐는 질문에 "이란도 실리를 중시하는 국가이니 그렇게까지 나오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악의 경우 이란과의 수출입이 전면 중단되면, 직간접 피해액이 1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우려된다. 중공업과 건설업계에선 이란에서 신규 사업이나 대형 프로젝트 수주는 당분간 물건너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배경브리핑에 나선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번 대책의 목적은 유엔 결의안 이행, 그리고 그에 따른 우리 경제의 피해 최소화, 이 두가지"라고 수차례 강조했지만, 두번째 목적이 제대로 달성될지는 불투명한 셈이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