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 쉬운 성경 잠언 26장 1 - 12절
1 여름에 오는 눈이나 추수 때의 비처럼, 어리석은 자에게 영예는 적절하지 않다.
2 근거 없는 저주는 참새가 퍼덕거리고, 제비가 쏜살같이 날아가는 것처럼 상대방에게 미치지 못한다.
3 말에게는 채찍을, 나귀에게는 재갈을, 어리석은 자의 등에는 몽둥이를 휘둘러야 한다.
4 어리석은 자의 어리석음을 따라 대답하지 마라. 그렇지 않으면 너도 그와 같이 될 것이다.
5 어리석은 자에게는 그의 어리석음에 따라 대답하여라. 스스로 지혜로운 체할까 두렵다.
6 어리석은 자를 시켜 편지를 전하는 것은 자기 발을 자르고, 극약을 마시는 것과 같다.
7 어리석은 자들이 잠언을 말하는 것은 다리 저는 사람의 다리와 같다.
8 어리석은 자에게 영예를 주는 것은 마치 물매에 돌을 매다는 것과 같다.
9 어리석은 자들이 잠언을 말하는 것은 술 취한 자가 가시나무를 휘두르는 격이다.
10 미련한 자를 품꾼으로 부리는 자는 활을 마구 쏘는 궁수와 같다.
11 개가 그 토한 것을 다시 먹듯, 어리석은 자는 자기 미련을 되풀이한다.
12 스스로 지혜로운 체하는 사람을 보았는가? 차라리 그보다는 미련한 자에게 희망이 있다.
<묵 상>
본문은 솔로몬의 제2 잠언 중에 일부입니다. 1-12절까지에는 미련한 사람들의 행태에 대해서 증거하고 있습니다.
1. 어리석은 사람의 행태(1-12절)
"여름에 오는 눈이나 추수 때의 비처럼, 어리석은 자에게 영예는 적절하지 않다."(1절) 어리석은 사람의 지위나, 명예가 적절하지 않음을 이상기후가 주는 해악으로 설명합니다. 여기서 '어리석은 자'는 지능이 낮거나, 배움이 짧은 사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고, 하나님과 상관없이 사는 사람을 뜻합니다. 팔레스타인에서는 10-11월에 이른 비가 내리고 3-4월에 늦은 비가 내립니다. 즉 겨울이 우기이고, 여름이 건기입니다. 7-8월은 가장 무더운 건기의 때입니다. 이때에 포도나, 무화과와 같은 과일들이 집중해서 성숙해지는 시기입니다. 이런 무더운 때에 눈이 오는 것은 있을 수도 없는 일이지만, 실제로 눈이 오게 되면, 농작물이 냉해를 입어 치명적인 피해를 당하게 됩니다. 반대로 추수할 때에 날씨가 쾌청해야 수확한 농작물이 잘 마르게 될 것입니다. 그때에 비가 오는 것은 수확하는데 차질을 빚게 할 뿐만 아니라, 수확한 농작물이 잘 마르지 않고 썩게 됩니다. 어리석은 사람이 영예를 얻는 것은 이상기후로 농작물을 썩게 만들거나, 여물지 않는 것처럼 사회를 썩게 만들 것이라는 교훈입니다.
"어리석은 자에게 영예를 주는 것은 마치 물매에 돌을 매다는 것과 같다."(8절) 여기서 ‘물매’는 돌을 날리기 위해서, 돌을 올려놓고 돌리는 도구입니다. 그런데 미련한 사람은 돌을 물매에 올려놓지 않고, 매달았다고 합니다. 물매에 돌을 매고서 돌려 날리면, 그 물매는 자신에게 날아와 자신에게 큰 상처를 줍니다. 어리석은 사람의 손에 영예를 주는 것은 결국 자신과 다른 사람을 해치는 흉기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은 자의 어리석음을 따라 대답하지 마라. 그렇지 않으면 너도 그와 같이 될 것이다. 어리석은 자에게는 그의 어리석음에 따라 대답하여라. 스스로 지혜로운 체할까 두렵다."(4-5절) 4절의 의미는 어리석은 사람이 어리석은 것을 말할 때, 그것이 옳다고 맞장구 쳐주면, 두 사람은 똑같은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5절의 의미는 어리석은 사람이 말도 되지 않는 것으로 공격해 오면, 똑부러지게, 올바르게 대답해 주라는 것입니다. 그래야 당사자가 지혜 있는 사람이라고 착각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두 말씀 모두 어리석은 자를 대할 때에 상황에 맞고 적절하게 대하라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은 자를 시켜 편지를 전하는 것은 자기 발을 자르고, 극약을 마시는 것과 같다."(6절) 어리석은 자에게 중요한 임무를 맡기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당시의 통신수단은 ‘인편(人便)’이 거의 전부였습니다. 그래서 사람을 보내어 소식을 전할 때는 총명한 사람을 보내곤 했습니다. 그런데 그때 미련한 사람을 보낸다는 것은 일을 실패하고, 손해를 보겠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여기서 '발을 자르다'는 '그 누구와도 소통할 수 없게 되다'는 의미입니다. '극약을 마시다'는 '해를 받다', '폭력을 마시다', '독을 마시다'는 뜻입니다.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게 생각되었으면, 자기 발을 자르고, 독약을 마시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결코 미련한 사람에게 중요한 것을 맡기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은 자들이 잠언을 말하는 것은 다리 저는 사람의 다리와 같다."(7절) '다리 저는 사람의 다리'는 다리가 있으나 힘을 쓸 수 없는 다리를 말합니다. 그러니 다리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거추장스러울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자에게도 입이 있으나 없는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그 입에서 잠언을 말하나, 그 말은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은 자의 말은 하나마나한 소리가 되고 맙니다.
"어리석은 자들이 잠언을 말하는 것은 술 취한 자가 가시나무를 휘두르는 격이다."(9절) 술에 취한 사람은 손에 가시나무를 들고서도 자신이 무엇을 들고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그가 휘두르는 가시나무에 다른 사람들이 다쳐도 알지 못하고, 자신이 다쳐도 모릅니다. 아침에 술에서 깨면, 자기 몸에 난 상처가 왜 생기게 되었는지 알지 못합니다. 어리석은 사람이 하는 말이 그만큼 폭력적이라는 것입니다.
"미련한 자를 품꾼으로 부리는 자는 활을 마구 쏘는 궁수와 같다."(10절) 여기서 '활을 마구 쏘는 궁수'는 '뛰어난 장인', '뛰어난 예술가'를 의미합니다. 뛰어난 장인일수록, 아무나 제자로 삼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르칠 만한 사람이 아니면 가르치지 말고, 재주가 덕을 넘어서지 못하게 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장인이 온갖 것을 만드는 손재주가 있을지라도 미련한 자를 고용해서 부리는 것은 지나가는 사람 아무나 데려다가 제자로 삼는 것과 같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손재주가 전혀 없는 사람을 제자로 삼는 것만큼이나 미련한 자를 뽑아 품꾼으로 부리는 것은 어리석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개가 그 토한 것을 다시 먹듯, 어리석은 자는 자기 미련을 되풀이한다."(11절) 여기서 '개'는 집에서 키우는 반려견이 아닙니다. 야생 들개를 뜻합니다. 아무튼 개는 먹을 만하다고 생각되면 무엇이든 주워 먹습니다. 개의 본능입니다. 토한 것도 핥아먹습니다. 이런 상황을 머릿속에서 그리기만 해도 역겨움이 느껴집니다. 어리석은 사람의 행동이 그러하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만큼 어리석은 자의 되풀이되는 미련함이 역겹다는 것입니다.
"스스로 지혜로운 체하는 사람을 보았는가? 차라리 그보다는 미련한 자에게 희망이 있다."(12절) 미련하면서도 자신을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미련한 사람의 최상급입니다. 미련한데 본인이 미련한 줄 모르고, 지혜로운 체합니다. 그보다 그냥 미련한 자에게 오히려 희망이 있다는 말입니다. 총체적 난국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사람이 지도자가 되면 백성이 참 어렵고 힘듭니다. 미련한 사람이 지도자가 되어 잘난 척까지 하면 백성이 시험에 들고, 훈련을 받게 됩니다. 최악은 미련한 사람이 지도자가 되어 잘난 척할 뿐만 아니라, 고집, 소신까지 있으면 백성이 절망감을 느낍니다. 이런 사람이 자기 스스로 지혜가 있다고 여기는 사람입니다. 말 그대로 무식한 사람이 소신까지 있으면 그는 괴물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오늘의 기도>
참으로 지혜로우신 아버지 하나님! 어리석은 사람의 미련한 생각과 행동을 본받지 않게 하옵소서. 어리석은 자의 행동하는 모습을 보고, 교훈을 삼게 하옵소서. 자신이 미련함에도 지혜로운 줄 아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게 하옵소서. 나의 삶이 언제나 배움에 열려 있게 하옵소서. 일상생활에서 게으름이라는 불청객이 찾아올 때에 더욱 하나님을 신뢰하며, 부지런함과 성실을 먹을거리로 삼게 하옵소서. 무엇보다도 나의 언어생활을 붙들어 주셔서, 사람들을 세우고, 위로해 주는 말, 격려하고, 지지하는 말을 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