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팬을 물로보고 리그중계를 일방적으로 취소한만행을 저지른 mbc Sports+는 즉각 사과하고 재발방지약속을 하라!
※사커월드는 연고이전2팀 표현(호칭)에 지역명을 붙여주지 않는것은 기본으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의 u20 대표팀의 월드컵진출사를 봐요면요 특정 스타선수의 플레이에 기대를 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01년의 이동국, 03년의 최성국,정조국 05년의 박주영 09년의 조영철.. 등
그러나 보통은 그 스타선수가 한방을 해줄거라고 믿지만, 과도한 기대로 인해 실망도 많이 하게 되었었죠.
그리고 그 스타선수들로 인해 세계무대에서 더 열심히 뛴 다른 선수들이 명암에 가려지기도 하고..
각설하고 요번 u20을 보면 정말 스타들이 넘치네요.
콜롬비아에서 열리는 u-20월드컵에서 석현준,손흥민,이용재,지동원,남태희가 모두 출전한다면 누가 공을 잡더라도
뭔가 기대감이 들게 만들어줄거 같네요.
이렇게 91,92년생들에게 스타선수들이 넘치지만, 이상하게도 그 이후 선수들에게 괄목할만한 재능이라고
느껴질 만한 선수들이 아직은 안보이는것 같네요. ( 볼프스부르크의 박정빈정도? -94년생이죠)
93년생이하 선수들중에 축구계에서 좀 알아주는 유망주 누가 있을까요?
유소년축구에 관해 고수분께 여쭈어 봅니다.
첫댓글 '아..마라도나예요..마라도나..' 초등리그에서 6학년 선수의 플레이를 본 해설자의 이 멘트로 유명한 선수가 있죠..인천의 이정빈군..
많이 유명하죠..그런데 개인적으로 제가 본 이 또래에서의 최고는 서명원이더군요..
압도적인 기량..이 한마디로 밖에는...마치 청대시절의 박주영급의 영향력을 내뿜더군요..
포츠머스유스에 입단했다가 한국으로 돌아온 미드필더자원입니다..
미드필더인데도 그 파괴력이 경기결과에 큰 영향을 끼칠 정도인데다가, 밸런스와 기술이 워낙 뛰어나서 대표팀에서도 군계일학인 선수더군요...
대표팀내에서도 재능있다고 평가되어지고 있는 다른 선수들보다 한단계 위의 재능을 보여주는 모습이
박주영의 청대시절 모습을 연상케할 정도입니다..
서명원 선수는 아직 중학생 아닌가요. 95 혹은 96년 생인 것으로 아는데..
작년 U-15팀 경기를 보니 단연 돋보이더군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제주가 남패는 아니겠죠??
꼬망님 / 벌점 15만점!!
우리나라 선수라면 바르샤 유스의 백승호가 제일로 손꼽히겠죠
해와파 유스선수들 중...레알에서 뛰던 김우홍인가 하는 선수도...
과거 한국 축구에서 유망주라고 불리던 선수들을 보면 거개가 '개천에서 용 나는' 식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유망주 판단 기준 역시 나이에 걸맞지 않은 뛰어난 하드웨어를 갖춘 선수와 준족을 갖춘 선수로 크게 대별되었지요. 축구 지능이나 테크닉과 같은 경우는 유망주 판단 기준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 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아마도 유망주 가운데 최초로 축구 지능으로 평가받았던 선수를 꼽으라면 이천수 선수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만 아쉽게도 이천수, 최태욱, 박용호로 대변되는 세대는 아시아 무대조차 통과하지 못 했습니다.
이 사실은 당시 축구계에 많은 것을 알려 주었습니다.
한국 축구가 가지고 있던 하드웨어는 여전히 아시아 축구에서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충분한 장점이 있지만 세계 무대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점, 또한 어설픈 기술 축구로는 아시아 무대를 통과하는 것 조차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이었어요.
그 후, 정조국, 최성국, 김정우 세대를 거쳐서 박주영 세대에 이르기까지 협회 내에서도 유소년 선수의 향후 발전 목표를 두고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압니다만 시간이 약이라는 말이 있듯이 협회가 꾸준히 도입한 유소년 프로그램이 정착되고 수준급의 지도자들이 배출되면서 이제는 한국 축구의 유소년들도 어느 정도의 전술 이해능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배출되어 나오는 유소년들을 긍정적으로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이들의 축구 테크닉의 현란함이나 기본기에 있지 않습니다. 바로 잦은 경기를 통한 경기 경험과 공부하는 지도자들의 영향으로 인한 축구 전술 이해 능력이 과거 선배들에 비해 월등하다는 점에 있지요.
따라서 과거처럼 한 두명의 에이스에 의해서 팀이 굴러가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팀 전술에 치중한 경기를 펼치기 때문에 어떠한 강팀을 상대하더라도 자신들의 경기를 유지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과거처럼 특출난 에이스의 탄생보다는 유소년 축구의 전반적인 수준이 높아졌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이승우 선수라고 아시나요~~?
작년 초등리그 때 몇 경기 중계했었는데 정말 물건이더군요.
뭐 역시나 바르셀로나 유스로 이적했습니다.
적어도 우리나라 선수들 같은 나이 중에서 이승우 선수랑 비교할 만한 선수는 없는 거 같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