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보일러 난방수를 교체하면 난방비를 절감하는 초전도 물질을 시공하는 업체에서
근무하면서 난방문제로 격는 어려움에 관하여 많은 분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올려 보겠습니다.
귀농 귀촌 또는 전원생활하시는분들이 도시 생활을 탈피하여 많은 분들이 원하는 현재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막상 귀농 귀촌 및 전원생활을 하다보면
첫번째는 일정한 수입원이 문제이고
두번째는 난방비 문제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첫번째 문제는 은퇴또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 귀농또는 귀촌하여 생활을 하면서
수입원을 창출하고 여가를 선용하기 위하여 많은 일들을 해보지만 경럼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과 실패를 거듭하고 계십니다.
이 부분은 경험부족으로 인한 문제보다는 사전준비부족과 경제 작물또는 계획출하가 어려워
수확후 과잉생산으로도 제값을 받지 못하는등의 어려움에 처하고 있습니다.
저는 배이지재배방법으로 하는 표고 버섯재배를 권하고싶습니다.
표교버섯은 톱밥을 사용하여 만든 배이지에 종균을 접종하여 3-4개월 수확후 또 배지를교체하는 방법으로
재배하며 수익은 50평하우스 기준 3,000만원내외의 수입으로 노력에 비하여 좋은 수익이라 생각합니다.
일반표고가 아닌 백화고 송이표고버섯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두번째문제는 난방비 문제는 많은 분들이 도심을떠나 시골에 가면 난방을 자유롭게 한다 생각하지만
시골에 가시면 더 어렵습니다.
우선 도시가스 공급이 되지 않아서 난방비로 많은 지출을 하게되어 가장 쉽게 화목 보일러,지열 태양열 보일러를
접하게 됩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많은 투자비용에 비하여 결과는 만족하지 못하며 화목 보일러같은 경우에는
부지런하지 않으면 춥게 생활 하게 됩니다.

많은 경험과 기술로 제작된 화목 난로입니다.(러시아 비닐하우수 난방설비) -이루크츠크의 교민 시설하우스
펌글을 인용하여 보겠습니다
화목보일러를 놓고 고생하시는 분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보일러는 스위치를 누르면 보일러가 돌아가고 온수를 틀으면 온수가 나오고,
난방의 온도를 높이면 방이 따듯해 진다. 기름보일러가 그렇고 가스 보일러가 그렇습니다.
기름이나 가스는 한번 주입하면 일정기간 동안 손이 가지 않아도 편하게 방안에서 따듯하게 지냈 수 있다.
문제는 연료비와 환경적인 부분이다.
그렇다면 화목보일러는 높은 연료비용과 환경적인 부분에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지금 보일러 광고 회사들을 보면 아주 편하고, 나무도 적게 들면서 따듯하게 지낼 수 있다고 광고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 시중에 나와 있는 화목 보일러는 약간의 차이는 있기는 하지만 화목보일러 일 뿐이다.
시골에 들어가면 많은 분들이 화목보일러를 설치하였다.
전기장판으로 겨울을 나기에는 너무 힘들고 기름보일러를 돌리자니 기름값이 너무 비싸서 얼어죽지 않을 정도로
지내야 한다.
그래서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이 화목보일러 이다.
그런데 화목보일러를 놓고 많은 분들이 고생을 하고 있다.
추운 겨울날 춥지 않게 자려고 하면 하룻밤 새벽에 2~3번은 밖에 나왔다 들어갔다 해야 된다.
나무가 있어야 따듯한 물이 방안을 돌며 따듯하게 하기 때문이다.
엄청나게 들어가는 나무도 심각한 문제이다.
그리고 이제는 아무리 촌이라 하여도 주변에서 화목보일러용 나무를 쉽게 구할 수 없고
그 가격도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손목굵기 많한 나무는 후루룩 타버리고 만다.
그러면 나무를 넣는 속도가 빨라야 하고 그많큼 수고로움이 많이 있다.
화목보일러를 설치하려고 하는 분들게 권하고 싶은 것은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 보고 판단했으면 하는 생각이다.
한겨울 추운날 밤에 여러번 들락날락 할 자신이 있는지.... 화목 조달 방법은 있는지....
화목보일러의 비용은 180만원~200,300만원 이상을 가고 있다.
(화목 난로의 이중보온 연통설치비요 300만원때)-추가비용..
현재 학여울역 건축박람회에서 상담 받아보세요.
그래서 그정도 비용이면 조금 보태서 잠자는 작은방 하나정도에 구들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그리고 겨울에는 좀 춥게 지내는 것이다.
그리고 구들을 설치하고자 할 때도 나무가 가장 적게 들어가면서
가장 따듯한 방식 의 구들을 권하고 싶다.
그것이 함실 아궁이 이다.
함실 아궁을 잘 만들면 솥이 밖으로 걸려있는 기존의 아궁이에 비해
나무의 소모량이 3/1정도도 들지 않으며 방은 더 따듯하고 식는 속도도 줄일 수 있다.
우리는 잠자는 방은 함실 아궁이로 하였으며 거실은 화목 보일러 이다.
거실에서 활동하는 시간에 보일러를 돌리고 저녁시간 때가 되면 화목투여를 중단한다.
그리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보일러에 불을 붙인다.
계속적으로 화목을 넣는다면 불이 꺼지지 않겠지만 엄청난 나무가 소모되며
밤새 고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침에 불을 다시 붙이는 것이 번거롭기는 하지만 그래도 그 방식이 훨씬 경제적이다.
이제는 적응이 돼서 불을 다시 살리는데는 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기존에 있었던 기름보일러와 화목보일러를 연결하였다.
그래서 급하게 따듯한 물이 필요할 때는 기름보일러를 돌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까지 펌글입니다)
먼저 도시 아파트에서 보일러에 관한 지식과 편리함으로 모든 걸 모르고 생활하다
전원이나 귀농하여 난방비를 절감 한다는 목적으로 화목 보일러를 설치하여
많은 분들이 생각하지 못한 부분으로 고생을 하고 계십니다.
1.잦은 화목 투입으로 시간 조절이 어렵습니다.
2.전기,가스 보일러와 달리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굴뚝청소,목초액제거등등...)
(생나무를 화목으로 사용할 경우 보일러를 유지 관리하는 번거로움등등..)
3.처음에는 건강하게 생활해 보겠다는 다짐으로 나무를 자르고 장작을 만드는일...
(잘못하여 허리를 다치신분은 바로 기름 보일러로 교체하셨습니다)
4.화목의 구입시기에 따라 가격상승으로 고생에 비하여 절감율 미미또는 기름보일러보다 비싼 화목 구입비
그리고 화목을 구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5.투자비 대비 효율이 좋은 편이 아닙니다.
6.화목 보일러를 사용하시려면 무엇보다도 부지런하지 않으면 힘들고 춥습니다.
지열 태양열을 사용하시는분들이 아직은 많지 않아서 사용후기를 듣기 어려웠으며
지열 태양열모두 투자비 대비 효율이 만족하지 못하고 태양열은 날씨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겨울은 눈이 내리고 흐린 날이 많아서 만족하시련지요.?
전원생활을 힘들이지 않고 낭만적으로 하실 계획이시라면 보일러 난방수를 초전도 물질로 교체주입하시면
난방비를 최대 30-60%까지 절감하여 난방비용 부담을 덜고 편하게 생활 하실 수 있습니다.
첫번째 두번째 문제로 고민이시라면 연락 주십시요.
자세한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첫댓글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내년쯤해서 집을지으려고 터를 마련해 놓았는데 난방에 그런 문제가 있다는것을 미처생각지 못했군요. 앞으로 많은 지식을 수집해야 겠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