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만세운동 6.10 민주화 운동

| 1926년 6월 10일 조선의 마지막 국왕인 융희(隆熙) 순종 황제의 인산일(因山日 출상일)을 기하여 일어난 독립운동. 병인(丙寅)만세운동이라고도 한다 여전히 우리민족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욕망이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민족운동이었다. |

6.10.만세운동(병인만세운동)

병인(丙寅)만세운동이라고도 한다. 주동자는 연희전문의 이병립(李炳立),
박하균(朴河鈞), 경성대학의 이천진(李天鎭), 천도교의 박내원(朴來源),
권동진(權東鎭), 양재식(楊在植), 손재기(孫在基), 박내홍(朴來弘), 백명천(白明天),
YMCA의 박두종(朴斗鍾), 중앙고보의 이선호(李先鎬), 이광호(李光鎬), 이황희(李晃熙),
사회주의 측의 권오설(權五卨), 김단야(金丹冶), 이지탁(李智鐸), 박민영(朴民英),
인쇄직공으로 민창식(閔昌植), 이용재(李用宰), 김항준(金恒俊) 등이었다.
권오설은 자금을 조달하였고, 박내원은 전단지 살포와 연락을 담당하였다.
양재식, 이용재, 백명천 등은 안국동 감고당(感古堂) 민창식의 집에서
10만매의 전단지를 인쇄하였고, 태극기도 준비하였다. 전단의 내용은 우리의 교육은
우리들 손에 맡겨라, 일본 제국주의를 타파하라, 토지는 농민에게 돌리라,
8시간 노동제를 채택하라는 내용을 담았다. 그리고 3·1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시민들이 많이 모일 수 있는 황제 국장일을 거사일로 택하였다.
조선 황제의 국장일을 맞아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는 과거 3·1운동의 일을 거울삼아
매우 민감하게 경비에 대비하였다. 조선총독부 산하 전경찰과 일본군 5000여명이
경비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이날 오전 8시 30분경 황제의 상여가 종로 단성사 앞을
통과할 때 중앙고보생이 전단을 뿌리며 만세를 부르기 시작하였다.
이에 모든 민중이 호응하여 관수교, 황금정 3정목(3가), 훈련원, 동대문 동묘(東廟),
청량리에 이르는 상여통과 예상 연도에서 독립만세를 불렀다. 만세운동은
그 후 전국으로 전파 확산되어, 순창, 군산(이상 전라북도), 정주(定州 평안북도),
홍성, 공주(이상 충청남도)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6·10 만세운동’으로 서울에서 이병립, 박하균 등 200여명이 체포되었고,
전국적으로는 1000여 명이 동모자 또는 관련자로 체포, 투옥되었다.
이 만세운동은 3·1 독립운동만큼 전국적이지는 못했으나, 여전히 우리민족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욕망이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민족운동이었다.
(네이버 백과사전)

6.10.민주화 운동

|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군사정권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해 일어난 범국민적 민주화운동이다. 대통령 직선제 헌법 개정을 포함한 민주체제 요구.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한열열사,6.29선언.... 정부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6월 10일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했습니다
|

6.10 민주화 운동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군사정권의
장기집권을 저지하기 위해 일어난 범국민적 민주화운동이다.
전두환 정권의 집권이후 계속된 민주화 운동은 대통령 직선제 헌법 개정을 포함한
민주체제 요구로 이어졌으나 전두환 정권은 이에 강경 탄압으로 일관했다.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군이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돼 조사받던 중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이에대한 거리시위가 전국적으로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정권은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무시한 채 개헌논의를 유보하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고,
김영삼이 주도한 통일민주당의 창당을 방해하는 등 정치적 반대세력과
민주화를 열망하는 세력에 탄압을 가중시키며
군사정권의 장기집권 의도를 힘으로 밀고나갔다.
이에 학계·문화계·종교계 각계각층이 일어나 군사정권 유지를 위한 호헌조치
반대성명 등 민주시국선언이 잇따르면서 민주화투쟁 열기는 고조되었다.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은폐·축소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고, 6월 9일 연세대생이었던
이한열이 시위과정에서 머리에 박힌 최루탄 파편으로 사경을 헤매게 되자,
산발적으로 전개되던 민주화 투쟁은 야당과 재야민주세력이 총결집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으로 이어져 비폭력투쟁 민주헌법 쟁취를 선언,
전국민적 민주화 투쟁의 구심체가 되었다.
6월 10일 김영삼·김대중·박형규·김성수·김승훈·금영균·계훈제·이돈명·송월주·
고은·인명진·오충일 등이 주도한 국민운동본부는
박종철고문살인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개최하여
민주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같은 날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대표위원이 집권당 대통령후보로 선출되자
전두환정권 간선제 호헌방침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은 급격히 확산,분출되었다.
15일까지 전개된 명동성당농성투쟁, 18일 최루탄추방대회,
26일 민주헌법쟁취대행진에 이르기까지 20여일간
전국에서 연인원 5백여만 명이 참여하여 직선제개헌 민주화촉구를 위한
거리집회·시위·농성 등이 계속되었다. 특히 26일 시위에는 전국 33개 도시와
4개 군·읍 지역에서 100여만 명이 참가, 6월항쟁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국민저항운동이 대규모로 확산되어가자 전두환 정권은
시국수습을 위한 조치를 강구하지 않을수 없게 되었으며,
마침내 29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위원의 이른바 '6·29선언'이라는 직선제개헌
시국수습특별선언이 발표되었다.
여·야합의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개헌과 평화적 정부이양의 실현,
자유로운 출마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대통령선거법 개정,
김대중의 사면·복권 등을 주요 골자로 한 선언으로 혼미를 거듭했던
정국은 수습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했다.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