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 김광수 저
생명의 기원, 과학과 논리로 밝히다
책소개
생명의 기원, 드디어 과학과 논리로 밝혀졌다.
고대 이래로 신비의 영역으로 인류의 오랜 숙제인 ‘생명의 기원’ 문제가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발견으로 학문적으로 밝혀졌다.
저자의 30여 년의 진화론 도전으로 이루어 낸 ‘생명시스템 불변성’의 발견은 뉴턴의 중력 발견에 비견되는 쾌거로 생물학, 과학 그리고 인류의 사상과 학문에 큰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이 이 책에서 논증됨에 따라 생물의 정의가 바뀌고, 생물 종과 형질의 불변성은 확인되며, 다윈 진화론은 붕괴되고, 만물은 변한다는 사상은 퇴조하는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이다. 그리고 창조론은 과학과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며, 인류의 세계관과 가치관은 새롭게 정립될 것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 김광수
30여 년 동안 진화와 생명을 공부하여 최초로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을 발견했으며, 이를 논리적으로 증명했다. 이에 근거해 다윈 진화론의 근본적 오류를 지적하고, 나아가 인류의 오랜 숙제인 ‘생명의 기원’을 밝히며 ‘생명 설계론’을 정립했다.
〈약력 및 업적〉
ㆍ 진화론, 과학, 철학 공부 30년
ㆍ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발견 및 증명
ㆍ 생명의 기원, 과학과 논리로 밝힘
ㆍ ‘생명 설계론’ 창시 정립
ㆍ 보험사, 증권사 근무 및 학원 경영
ㆍ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중퇴
ㆍ 1945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남
〈저서〉
ㆍ 《8282 한자사전》 창안 편저, 1998년, 어문각 - 대한민국 발명특허 획득
ㆍ 《수학이 쉬워지는 계산급수》 시리즈 15권, 2008년, 키출판사
ㆍ 《결혼하면 좋은 점 51가지, 나쁜 점 49가지》, 2012년, 개미출판사
ㆍ 《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 2024년, 바른북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프롤로그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지금 여기 존재하는가?
머리말 생명의 기원을 밝히며…
제1장 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
1-1 자연규칙은 불변한다
1-2 생명시스템은 자연규칙 프로그램이다
1-3 생명시스템은 불변한다
1-4 생물 종은 불변한다
1-5 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
제2장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증명
2-1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증명
2-2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이 학문과 사상에 미치는 영향
제3장 생명시스템이란
3-1 다윈이 보지 못한 생명시스템
3-2 생명시스템이란
3-3 생명시스템의 종류
3-4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사례
〈사례 1〉 광합성 ‘캘빈회로’의 불변성
〈사례 2〉 세포호흡 ‘TCA 회로’의 불변성
〈사례 3〉 DNA 복제 시스템의 불변성
〈사례 4〉 사람 위 소화 시스템의 불변성
제4장 우연으로 가능한가?
4-1 달걀의 타원은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4-1-1 타원이란
4-1-2 타원을 그려보면
4-1-3 껍질의 역할
4-1-4 타원의 형성
4-1-5 불변적 타원은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없다
4-2 다이아몬드는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4-2-1 논리적 접근
4-2-2 다이아몬드의 물성
4-2-3 다이아몬드의 구조
4-2-4 생성 과정과 조건
4-2-5 다이아몬드가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없는 이유
4-3 물은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4-3-1 물과 생명체
4-3-2 물분자의 구조와 극성
4-3-3 수소결합
4-3-4 기화와 증발
4-3-5 불변하는 물의 성질
4-3-6 물이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없는 이유
4-4 원자는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4-4-1 원자의 발견
4-4-2 원자의 생성
4-4-3 원자 이전의 기본 입자 - 쿼크
4-4-4 원자의 구조
4-4-5 원자의 불변성
4-4-6 원자가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없는 이유
제5장 다윈 진화론의 붕괴
5-1 붕괴 위기
5-2 불가능한 선행조건
5-3 다윈 진화론
5-4 돌연변이는 구원투수가 아니다
5-5 다윈 진화론의 오류
제6장 생명 설계론의 이론과 내용
6-1 생명시스템의 정의
6-2 생물의 정의
6-3 자연규칙의 불변성
6-4 생명규칙의 불변성
6-5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6-6 불변적 순서는 규칙이다
6-7 생물 종은 불변한다
6-8 새로운 종은 자기의 생명시스템에서 출현한다
6-9 다양성의 방향은 예정되어 있다
6-10 우연은 불변성을 만들 수 없다
6-11 생명은 태초에 설계되었다
제7장 자연규칙은 불변한다 ...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펼쳐보기
책 속으로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증명되다(본문 2장)
■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이 학문과 사상에 미치는 영향
1. 생명의 기원이 밝혀진다
2. 생물 종과 형질의 불변성을 알려준다
3. 생물의 정의가 가능해진다
4. 다윈 진화론은 붕괴된다
5. ‘만물은 변한다’는 사상은 퇴조한다
다윈 진화론 붕괴(본문 5장)
다윈 진화론은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발견으로
근본적 오류가 밝혀지며 붕괴의 위기에 있다.
자연선택이 일어나려면 ‘변이 발생’이 선행해야 하는데,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으로 생물은 본질적으로 불변하므로
그 선행조건은 실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윈 진화론은 불가능한 전제 위에 건설된 허구적 이론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인터뷰> 출간 후기
1. <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를 출간한 소감을 듣고 싶습니다.
40대에 처음 다윈 진화론에 도전했을 때의 느낌은 히말라야의 고산준봉을 바라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진화론에 초보인 내가 언제 그많은 공부를 하고, 또 오류를 찾아낼 수 있을까......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나 이제 다윈 진화론의 근본적 오류를 찾아냈을 뿐만 아니라, 한 차원 더 나아가 인류의 오랜 숙제인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 이 책을 집필할 수 있었음은 나의 능력을 초월한 영감의 도움입니다...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2. 이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젊었을 때, 인생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정말 잘 사는 것인가, 하는 고민을 하던 중 다윈 진화론을 만났습니다. 다윈 진화론은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나에게 깊은 의문을 남겼습니다. 정말 다윈의 말처럼 "모든 생물은 우연히 만들어졌으며, 우리 인간도 창조된 것이 아니라 어쩌다 우연히 생겨난 그런 존재인가? 이 의문을 해결하지 않고는 내 인생에 대한 올바른 해답을 찾기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모든 생물이 우연히 만들어졌다'는 다윈의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려웠습니다. 지금 내가 지식이 부족하고, 공부가 부족하고, 사색이 부족할 뿐이지 언젠가는 기필코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꼭 밝혀보겠다는 생각이 이 책을 집필하게 된 동기입니다.
3. 책을 집필하면서 겪은 에피소드 또는 즐거웠거나 어려웠던 점을 이야기해 주세요.
이 책이 나오기까지 30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어려웠던 점은 40대에 집필을 결심했지만 본격 도전은 계속 미뤄졌습니다. 가족 생계에 대한 책임, 직장의 치열한 일선 영업 현실, 좀 더 빨리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 욕심은 무리한 투자와 사업 실패로 상당한 부채를 안게 되어 또 발목이 잡혔습니다. 가까스로 60이 휠씬 지나서야 본격 도전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노후 준비는 밀쳐 놓고, 아내의 고생을 지켜보며, 생계 위협을 견디며 오직 목표를 향해 나아갔습니다. 무모한 도전이라는 시선,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 하고 약해지려는 마음을 뛰어넘어야 했습니다.
진리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자부심, 잘못된 진화론을 바로잡는 일이 인류의 학문과 사상에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 하는 믿음이 없었다면 지탱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4. 책 내용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나 애착이 가는 구절이 있나요?
이 책이 태어날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는 ‘생명시스템의 불변성’ 발견입니다. 이 발견이 없었다면 다윈 진화의 결정적 오류를 지적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5년 전 아무리 해도 다윈 진화의 ‘우연’을 깨뜨릴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하고 포기하려다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생명시스템, 생명시스템, 생명시스템 … 불변성,불변성, 불변성 … 며칠을 몰두하며 집중하던 중 불현듯 '생명시스템은 규칙체계'라는 생각이스쳤습니다. 그리고 생명활동에서 물질의 이동은 필수적이고, 물질의 이동은 물리규칙이 작동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때 불현듯 “물리규칙은 불변한다”는 생각이 섬광처럼 머릿속으로 들어온 순간 나는 두 팔은 번쩍 들며 환호성을 외쳤습니다. 드디어 찾고 또 찾던 생명현상에서 불변성의 실마리를 찾은 것입니다. 나는 흥분한 가슴을 쓸어내리며 ‘생명시스템 불변성’의논리적 맥락을 다시 정리했습니다. 여기에 생명활동의 내용은 물리규칙이 알 수 없으므로 물리 규칙과 동시에 생명규칙이 작동해야 하며... “생명시스템은 물리규칙과 생명규칙이 동시 작동하는 자연규칙 프로그램”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이렇게 ‘생명시스템의 불변성’은 발견되었습니다.
5. 이 책을 접할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누구나 ‘정말 잘 살아 보고싶다’고 생각합니다. 그대는 정말 잘 사는 방법을 찾았나요?
이 답은 찾으려고 평생을 수도하며 보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마 쉽게 찾은 답은 정답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정답은 돈보다 중요하고, 건강보다 중요하고, 목숨보다 중요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