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ish 가정법, as if 가정법, it is time + 가정법 과거>
1. I wish를 이용한 가정법: I wish는 If only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서술어의 시제는 과거나 과거완료를 나타낸다.
1) <I wish + 주어 + 과거>: 주절의 시점과 동일한 시점의 어떤 사실에 대해 반대의 소망을 나타낼 때 쓴다. be 동사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 없이 보통 were로 쓴다.
ex. I wish he were a president. ▶ 말한 시점(현재)에 대통령이 아님: 그가 대통령이라면 좋을텐데.
I wish he were a president. ▶ 말한 시점(과거)에 대통령이 아님: 그가 대통령이라면 좋았을텐데.
2) <I wish + 주어 +과거완료>: 주절의 시점보다 이전 사실에 대하여 반대의 소망을 나타낼 때 쓴다.
ex. I wish he had studied hard in his school days. ▶ 말한 시점(현재) 이전에 공부하지 않음: 그가 학창 시절에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좋을텐데.
I wished he had studied hard in his school days. ▶ 말한 시점(과거) 이전에 공부하지 않음: 그가 학창 시절에 열심히 공부했었더라면 좋았을텐데.
* 과거완료를 사용할 때에는 종속절의 시간 관련 부사(구, 절)에 주의한다.
2. as if를 이용한 가정법
1) <as if[though] + 주어 + 과거>: 주절의 시점과 동일한 시점의 어떤 사실에 대해 반대인 것처럼 표현할 때 쓴다. be 동사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 없이 보통 were로 쓴다.
ex. She talks as if she were a doctor. ▶ 말한 시점(현재)에 의사가 아님: 그녀는 마치 의사처럼 말한다.
She talked as if she were a doctor. ▶ 말한 시점(과거)에 의사가 아님: 그녀는 마치 의사처럼 말했다.
2) <as if[though] +주어 + 과거완료>: 주절의 시점보다 이전 사실에 대해 반대인 것처럼 표현할 때 쓴다.
ex. He talks as if he had been abroad then. ▶ 말한 시점(현재) 이전에 해외에 있지 않음: 그는 그 때 해외에 있었던 것처럼 말한다.
He talked as if he had been abroad then. ▶ 말한 시점(과거) 이전에 해외에 있지 않음: 그는 그 때 해외에 있었던 것처럼 말했다.
* 과거완료를 사용할 때에는 종속절의 시간 관련 부사(구, 절)에 주의한다.
주의: as if는 단순 조건문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원래의 시제를 그대로 표현한다.
ex. She talks as if she is a doctor. ▶ 그녀가 의사인지 아닌지 모름: 그녀는 의사처럼 말하네.
3. It is (high) time + 주어 + 과거 시제: 현재의 당위적 사실을 나타내 '-해야 할 때이다'로 해석한다.
ex. It is time we went to bed now. 이제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시간이다.
= It is time we should go to bed now.
<연습문제>
다음 주어진 것 중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It is time we all (go / went) home.
2. I wish you (will / would) come to see me.
3. Sam told me about the accident as if he (saw / had seen) it by his own eyes.
4. He likes to give me instructions as though he (is / were) my boss.
5. I wish I (will / would) have a chance to visit your country some day.
6. I wish I (have / had) a good memory as you have.
7. I wish I (studied / had studied) harder when I was young.
8. It is high time she (put / puts) her toys away.
9. I'm not a criminal, but you talk as if I (am / were) one.
10. I wish I (accepted / had accepted) the offer then.
Ans.
1. went / 우리 모두 자러 갈 시간이다.
it is time 다음에는 과거시제로 쓴다.
2. would / 네가 나를 보러 오면 좋으련만.
I wish 다음에는 과거나 과거완료 시제가 온다. 조동사의 경우에는 과거형으로 쓴다.
3. had seen / Sam은 마치 자기 눈으로 본 것 처럼 사고에 대해 말했다.
그가 말한 시점 이전에 사고를 목격한 것은 아니다. 말한 시점 이전의 일을 나타내므로 과거완료가 알맞다.
4. were / 그는 사장인 것처럼 내게 지시하는 것을 좋아한다.
사장이 아닌 것이 분명하므로 가정법으로 쓴다. 말한 시점에 사장이 아니므로 과거로 쓴다.
5. would / 언젠가 네 나라를 방문하면 좋으련만.
6. had / 너처럼 기억력이 좋으면 좋을텐데.
7. had studied / 젊었을 때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좋으련만.
말한 시점 이전(젊었을 때)을 나타내므로 과거완료로 표현한다.
8. put / 그녀가 장난감을 치울 때이다.
9. were / 제가 범죄자가 아니지만 당신은 마치 범죄자처럼 말씀하시는군요.
범죄자가 아니므로 가정법으로 쓴다. 말한 시점의 사실을 반대로 표현하므로 과거 시제로 쓴다.
10. had accepted / 그 때 그 제안을 받아들였더라면 좋으련만.
말한 시점 이전(then)의 사실을 표현하므로 과거완료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