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사판(理判事判) - 이야기 고사성어
이판사판이란?
뾰족한 대안이 없음을 비유한 말로 막다른 궁지에 몰려 또는 끝장을 낸다는 말이다.
이판과 사판은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 생성된 말이다.
조선의 건국 이념은 억불숭유(抑佛崇儒)정책이다.
이렇게 된 까닭은 고려말에 불교의 폐해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며, 한편으론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다.
어쨌던 불교는 고려의 망함과 함께 하루 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천민 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할 형편이 되었는데 그 대안의 하나로 사찰을 존속시키는 것과 또다른 하나는 불법의 맥을 잇는 일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에 종사하면서 사찰을 유지 하였다.
또 한편에서는 이와는 달리 속세를 피해 은둔하면서 참선과 독경으로 불법(佛法)을 이은 승려도 많았다.
이를두고 전자는 사판승(事判僧/山林僧). 후자는 이판승(理判僧/工夫僧)이라 하였다. 자연히 양자간에는 특징이 있기 마련인데 일부 사판승에는 교리(敎理)에 어두운 범승(凡僧,평범한 승려)이 있었고 이판승은 공부에만 치중 함으로서 불교의 외형적 성장에는 그다지 큰 기여를 하질 못하였다.
하지만 양자는 서로 보완의 관계에 있었다.
폐사를 막음으로서 사찰의 명맥을 이은 것은 사판승의 공로이고, 부처님의 혜광(慧光)을 전하고 불법을 이은 것은 이판승의 공로다.
결국 조선시대를 지나 오늘날의 현대적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抑佛政策)은 불교에 있어서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 신분의 상태였으며, 성(城)의 출입자체가 금지되어 있었다.
그럼으로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였다. 그럼으로 이판이나 사판은 그 자체로 끝장을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아무것도 모르는 대중은 뾰족한 대안이 없을때, 이판 사판이란 말을 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