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새면 질그릇 깨지는 콩가루 정권에 민생이 거덜난다. 100년 정당 표방하며 친정집 깨더니 뛰쳐나온 그들끼리 피터지는 싸움질에 진력이 난다. ‘하야(下野)’한다는 대통령의 어깃장에 긴가민가했더니 서두르는 사저공사가 단순한 엄포만은 아닌 것 같다. 만에하나 대통령이 도중하차하면 그 많은 혼란을 어떻게 수습할지 상상만해도 아찔한 형국이다. 생각하면 넌덜머리나는 지난 4년이다. 벌써부터 도둑도 이르는 레임덕을 조상 사용해 당·청이 발가벗고 싸우고, 한가족인 여당에서 내편·네편으로 갈리는 이상한 짓거리에 신물이 난다. 정치는 실종되고 경제는 거덜나고 거리는 데모대에 점령당하는 혼돈의 연속이었다. 가진자를 괴롭혀 못가진자에 분배한다면서 가진자와 못가진자 모두를 망치는 그런 정치는 안된다. 수출기업 몰사시키는 폭락환율로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하는 어거지 치적으로는 안된다. 굴복이 꼭 나쁜것만은 아니다. 잘한 것은 생색내고 실패한 것은 진솔하게 굴복하는 그런 정치가 보고싶다.
他山之石 일본섬유산업 다시 본질문제로 들어가 국민소득 4만달러에 경제전반이 호황기로 반전된 일본의 섬유산업현황이 눈길을 끈다. 일본의 섬유제조업체수는 아직도 6만1833개(2003년 일본공업통계)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만7343개보다 아직도 훨씬 많은 숫자다. 또 종업원수도 51만3950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29만5000명보다 훨씬 많다. 매출액규모는 5888억엔, 부가가치액 2조4067억엔을 홋가하고 있다. 한국의 생산액 39조원과 부가가치 16조원보다 많은 규모다. 물론 일본 섬유산업 역시 전후 부흥기와 고도 성장기까지 일본 경제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으나 경제 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로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축소돼왔다. 실제 지난 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동안 통계를 봐도 연평균 6.9%의 사업체수 감소를 나타냈다. 종업원수도 매년 8.6%나 감소했고 매출액 부가가치액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2004년부터 원기를 회복하기 시작해 감소 일변도의 섬유수출이 전년대비 3.5%증가했으며 계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2004년 기준 섬유제품수입도 전년대비 4.4%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으로부터 2조1860억엔, 이탈리아 1568억엔, 베트남 738억엔인데 비해 한국산은 660억엔에 불과했고,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558억엔이었다.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한국보다 서비스산업과 첨단산업이 훨씬 앞선 일본이 아직도 한국의 3배에 달하는 섬유제조업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2000년대 초입부터 더욱 급전직하로 붕괴되고 있는 우리 섬유산업의 현주소를 감안할 때 우리가 어디로 가야한다는 대전제를 제시하고 있다. 사실 70년대 이후 일본의 섬유산업은 후꾸이를 중심으로 한 합섬직물 산지를 중심으로 급속히 쇠락했다. 그 주된 요인이 한국의 추격이었고 다음에는 세계의 공장 중국때문이었다. 그같이 쇠퇴기를 맞은 일본섬유산업이 부활한 것은 정부와 업계가 치밀한 전략과 협조를 통해 불황을 타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레이를 비롯한 세계 굴지의 화섬기업의 선도로 이른바 도레이클러스터를 구축해 수직이 아닌 수평의 연인관계에서 차별화 협업체제를 성공시켰기 때문이다. 후꾸이를 중심으로 도레이클러스터에 합류한 직물·염색업체가 100개에 달하고 여기에 의류·패션업체까지 추가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참여업체 모두가 성공적인 경영안정에 만족하고 있다. 원사부터 차별화 특화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소재로 한 제직·염색·가공의 고기능섬유와 고급직물을 생산해 고가로 팔고 있다. 일본뿐 아니라 전세계 고급합섬직물 소재의 대부분을 일본산이 석권하고 있다. 마케팅전략도 차별화해 중국 봉제단지와 계약해 전체 물량의 3분의1은 중국생산 해외 완제품 수출용으로, 3분의1은 중국 고급내수용으로, 3분의 1은 일본 내수용으로 들여와 대량소비하는 앞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도레이뿐 아니라 다른 화섬업체들도 이같이 업·미들·다운스트림간 클러스터를 구축해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부도 67년부터 94년까지 시행해오던 섬유공업구조개선 임시조치법에 이어 94년 이후 마켓형 구조개선사업과 2003년의 섬유비전 제시와 함께 내년 6월 발표할 신섬유비전 등으로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업계와 정부·학계·연구소가 똘똘뭉쳐 신섬유비전을 실현해 꺼져가던 섬유산업을 부활시키고 있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일본이 이같이 섬유산업을 부활시켜 다시 재도약의 기치를 높이 들고 있는데 반해 과연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깊이 생각할 시점이다. 2000년대 들어 더욱 가파르게 붕괴되는 국내 섬유산업을 회생시키기 위해 정부와 업계·학계·연구소·단체가 무슨 역할을 했는지 반성해야 한다.
衆口 金으로 쟁취하자 급기야 시난고난한 섬유산업을 회생시키기 위해 섬유산업연합회가 거액의 비용을 감수하며 의욕적으로 마련한 섬유·패션산업 구조혁신전략마저 자칫 무위로 사장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많은 사람이 한 목소리로 외칠 때 쇠도 녹일수있다는 중구삭금(衆口 金)의 각오로 100만인 서명운동까지는 성공적으로 마쳤으나 이를위한 궁극의 목적인 섬유특별법제정이 첫 단계부터 벽에 부딪혔다. 산자부가 이해할 수 없는 WTO규정을 내세워 변묻은 새발떨듯 입에 거품을 물고 섬유특별법을 반대한데다 국회산자위 법안심의위원들도 법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이들 법안심의위원들마저 소극적인 업계태도에 실망해 계류란 이름으로 보류시킨 것이다. 한마디로 섬유업계의 전략부재가 낳은 필연적인 실패라고 단정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계류된 섬유특별법을 내년 2월 국회에서나마 관철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현재의 섬유업계 전략과 무성의가 개선되지 않으면 이 또한 기대할 수 없다. 천신만고 끝에 국회산자위에 상정된 섬유특별법 제정을 위한 적극적인 업계의지가 아직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포기할 수는 없다. 섬유·패션산업 부활을 위한 필연적인 논리이자 현실적인 대안인 섬유특별법 제정을 위해 섬유인들이 대동단결해야 한다. 그 전면에 섬유업계 지도자들이 총출동해 산자부장관과 국회는 물론 청와대를 설득하고 호소하는 결단을 내려야한다. 말로만 생색내는 무능한 단체장이나 지도자는 아예 배제시키고 소명의식 강한 지도자들이 총궐기하는 각오로 뛰어야 한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다. <本紙 발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