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상15:1
사람에게서 희망을 찾기란 얼마나 힘겨운지 모릅니다. 잘 하는 인간은 많지만
스스로 잘 할 수 있는 인간은 없어요. 그러니 우리가 하나님을 찾는 매 순간이
하나님의 은혜일 밖에. 하나님의 긍휼을 베푸시고자 하는 의지가 언약을 이어
줍니다. 남북 분열 후에 하나님의 은혜는 어떻게 임하는가?
You don't know how hard it is to find hope in a person.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good, but there are no people who can do well on their own. So every
moment we find God is only God's grace. The will to give God's mercy continues
the covenant. How does God's grace work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
조선을 창업한 태조 이 성계는 죽을 똥 살 똥 나라를 세워 7년을 통치했을 뿐이고,
둘째 정종(방과)은 겨우 2년 동안 허수아비 왕으로 앉아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치적이 없습니다. 본문은 르호보암에 이어 왕이 된 아비얌의 이야기로, 그는 북
왕국 여로보암왕의 말기에 즉위하여 3년간 유다를 통치하고 요절했습니다.
Taejo Lee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only ruled for seven years by
establishing a potty country, and the second Jeongjong (Banggwa) sat as a
scarecrow king for only two years, so he had no special achievements. The
text tells the story of Abiyam, who became king after Rehoboam, who was
crowned at the end of King Jeroboam of the Northern Kingdom and ruled
Judah for three years and died young.
-
하지만 그 짧은 기간 동안에도 그는 하나님을 따르지 않아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말았습니다. 유다나 이스라엘 왕의 즉위 연대를 이스라엘이나 유다 왕의
연대에 빗대어 계산하는 방법을 대조연대 표기법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대조
연대기를 명시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어서입니다.
But even in that short period of time, he was negatively evaluated for not
following Go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ge of the throne of Judah or
the king of Israel by comparing it to the age of Israel or the king of Judah is
called the Contrast Solidarity notation.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specifying the chronology of contrast.
-
하나는,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B. C. 나 A. D. 등 객관적인 시대구분 방법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는, 이스라엘이 비록 북 왕국과 남 왕국으로 나뉘었지만
둘은 똑 같이 하나님의 백성들이라는 것을 잊지 말라는 의미에서입니다. 아비얌은
예루살렘에서 삼 년 동안 다스렸습니다(2).
One is that there was no objective way to distinguish between the times, like
B. C. or A. D. at the time. The other is to remember that Israel is divided into the
Northern and Southern kingdoms, but they are both God's people. Abiyam ruled
in Jerusalem for three years (2).
-
유다의 제 2대 왕으로 등극한 아비얌은 역대하에 따르면 르호보함의 장자가
아니라 장자로 삼은 아들입니다. 즉, 다윗이 장자를 채쳐 놓고 밧세바의 아들인
솔로몬을 왕으로 삼은 것과 같습니다. 그 이유는 아비얌의 모친 마아가가
르호보암이 총애하는 왕비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의 통치기간은 3년으로
무척 짧았습니다.
Abiyam, who was crowned the second king of Judah, was not the eldest son
of Rehoboham, according to the legend. In other words, David made Solomon
king, son of Batsheba. The reason is that Maaga, Abiyam's mother, was the
favorite queen of Rehoboam. But his reign was very short, three years.
-
그것도 햇수로 3년이므로 실제 그의 재위기간은 더 짧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를 성경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갑자기 사망했기 때문으로 봅니다.
정상적으로 장례가 거행되어 다윗 성에 안치된 것을 보아서입니다.
정종 임금도 장남 진안대군이나 국본이었던 방석이가 죽어서 왕이 되었습니다.
It's also three years in the number of years, so his actual reign can be seen as
shorter. I don't know the Bible, but I think it's because he died suddenly. It is
because the funeral was normally held and laid at David Castle. King Jeongjong
also became king after his eldest son, Prince Jinan, or Bangseok, the crown
prince, died.
-
다윗을 말할 때 헷 사람 우리아의 일을 열왕기 기자는 빼놓지 않고 소개합니다.
그 이유는 역사적 기록에 어떤 사람의 업적을 언급할 때 선한 일과 악한 일 모두를
이야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열왕기의 기록목적 중의 하나는 왜 북 왕국 이스라엘과
남 왕국 유다가 멸망했는지, 그리고 하나님의 성전인 예루살렘 성전이 어째서 불탔는
지를 밝히는 것입니다.
When talking about David, the reporter of the Ten Kings always introduces the work
of Uriah, the Hittite. The reason is that when you mention a person's achievements
in the historical record, you have to talk about both good and bad. One of the
purposes of the recordings of the Ten Kings is to reveal why Israel in the North and
Judah in the South were destroyed and why the Temple of Jerusalem, the temple
of God, was burned.
-
따라서 독자로 하여금 그 원인을 찾도록 하기 위해 엄격히 객관적으로 기술했던 것입니다.
어떤 것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될 만한 사물을 가리켜 시금석이라고 합니다.
열왕기 기자는 유대와 이스라엘 모든 왕의 시금석을 다윗에게 견주어 비교하고 있습니다.
다윗만큼 하나님 앞에 기준이 되는 왕도 없기 때문일 것 입니다.
So it was described strictly objectively to get the reader to find the cause.
An object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valuating something is called a touchstone.
The Ten Kings are comparing the touchstones of all the kings of Judea and Israel to David.
This is probably because no king is more standard before God than David.
-
그러나 그것은 최소한의 표준이라고 봅니다. 최대한의 모델이 될 수 없는 것은 헷 사람
우리아만 하더라도 다윗보단 월등히 낫기 때문입니다. 그는 전쟁터에서 왕에게 불리어
격려를 받고 집으로 보내졌던 사람입니다. 하지만 그는 아내에게 가지 않았습니다.
부하들과 동료들은 싸움터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 가는데 자기만 편히 쉴 수 없어서
그랬습니다. 그거 하나만 보더라도 다윗보다는 한결 난 것 같습니다.
But I think it's a minimal standard. We can't be the best model because we, the
Hitt people, are far better than David. He was called by the king on the battlefield
and was encouraged and sent home. But he didn't go to his wife. His men and
colleagues were bleeding to death on the battlefield, but he couldn't rest alone.
Just looking at that, I think he's better than David.
-
다윗은 그 때 우리아의 아내랑 바람을 피워놓고서는 그것을 위장하기 위해 그를
불러 들였었지요. 우리아의 의리는 그것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다윗이 그 다음날도
똑같이 집으로 보냈는데, 그는 똑같이 집으로 가지 않았던 것입니다. 할 수 없이
다윗은 그를 죽이려고 모의를 했습니다. 그거 하나만 보더라도 다윗은 최대한의
표준이 될 수 없습니다.
David then had an affair with my son's wife and called him in to disguise it.
Our child's loyalty didn't stop there. David sent home the same way the next day,
and he didn't go home the same way. Inevitably, David plotted to kill him. That
alone doesn't make David the standard of maximum.
-
그 뿐만 아닙니다. 교회사에는 다윗 이상으로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고,
말씀을 어기지 않으려고 몸부림치며 살았던 사람들이 참으로 많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경건의 길을 가려고 일부러 고행도 자처했으며, 현대인들이 이해할 수 없는
극단의 금욕생활도 마다하지 않았고, 어떤 이는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대로 갖고
있던 모든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눠주고 수도원으로 들어간 사람도
있었습니다.
Not only that. This is because there are so many people in church history who
lived honestly in the eyes of Jehovah more than David and struggled not to violate
the word. They deliberately claimed to suffer on purpose to go on the path of
reverence, and they didn't mind the extreme asceticism that modern people
couldn't understand, and some sold all the property they had as the Lord taught
them, distributed it to the poor, and entered the monastery.
-
심지어 초대교회의 신학자이며 문인인 오리겐 같은 이는 ‘천국을 위하여 스스로 된
고자도 있도다.’는 말씀을 문자적으로 그대로 해석하여 스스로 거세하는 무리수를
두기도 했습니다. 히브리어 구약성경을 라틴어로 최초로 번역한 제롬 같은 사람도
무모할 정도로 청빈한 수도생활을 했습니다.
Even people like Aurigen, the theologian and writer of the first church, literally
interpreted the words, "Some are self-made for heaven," and castrated themselves.
Even people like Jerome, who first translated the Hebrew Old Testament into Latin,
had a reckless and clean capital life.
-
그만큼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벗어나지 않으려고 혼신의 힘을 다했던 것입니다.
그 모두 하나님 앞에서 온전하기 위하여 다윗보다는 한결 자기부정을 실천했던 사람들
입니다. 우리 예수님이 오심으로 구약 시대가 끝나고 지금은 신약시대입니다. 이제
다윗의 표준이 끝나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들이 표준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이 세상에 사는 성도들은 하나님을 따르기 위한 기준치의 최소가 될 수 없다고
봅니다.
That's how much they did their best not to deviate from God's words of God. All of
them are those who practiced self-denial more than David in order to remain intact
before God. Our Jesus came to an end in the Old Testament due to misjudgment,
and now it is the New Testament. Now David's standard has ended and the people
of Jesus Christ have become the standard. At least the saints who live in this world
do not see the minimum of the standard for following God.
-
최대한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 시대의 시금석이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
주님께서 그렇게 사셨으니 그를 따르는 제자들도 그렇게 살아야 할 것입니다. 교회
개혁의 선구자 존 후스는 화형을 당하면서도 주님처럼 그들을 구원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했다고 합니다. 제발 이제 우리의 표준도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입니다.
It's going to have to be the maximum. The touchstone of this era should be like
that because our Lord has lived like that, so will the disciples who follow him. John
Huss, the pioneer of church reform, is said to have prayed to God to save them like
the Lord even when he was burned at the stake. Please our standards will now
need to be upgraded too.
-
다윗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주님과 그 제자들을 모델로 하여야 할 것입니다.
주님께서 ‘나를 믿는 자는 내가 하는 일을 그도 할 것이요 또한 그보다 큰일도 하리니’
라고 말씀했기 때문입니다. 성도의 목표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입니다. 그분을 따르다
보면 그분처럼 될 수 있고 신의 성품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Instead of being David, he should model the Lord and his disciples.
The Lord said, "Those who believe in me, he will do what I do." It's also because
he said, 'I'll do more than that.' The goal of the saint is only Jesus Christ. If you
follow him, you can become like him and participate in the character of God.
-
부모의 불신앙을 본받아, 다윗의 충성을 기억하며, 싸움질에만 열중하여, 언약의
유지를 보장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남은 생애를 무엇을 위해 불 싸지를 것인가?
Following the disbelief of his parents, remembering David's allegiance, and
devoting himself to fighting. What guarantees the maintenance of the covenant?
What am I going to burn for the rest of my life?
-
유아 왕 아비얌(1-8)
a.아비얌의 통치 도입부:1-2
b.아비얌의 통치와 평가:3-6
c.아비얌의 통치 종결부:7-8
-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 왕(1a)
열여덟째 해에(1b)
아비얌이 유다 왕이 되고(1c)
예루살렘에서 삼 년 동안 다스리니라(2a)
-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마아가요(2b)
아비 살롬의 딸이더라(2c)
아비얌이(3a)
그의 아버지가 이미 행한 모든 죄를 행하고(3b)
-
그의 마음이 그의 조상 다윗의 마음과 같지 아니하여(3c)
그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 온전하지 못하였으나(3d)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서(4a)
다윗을 위하여(4b)
-
예루살렘에서 그에게 등불을 주시되(4c)
그의 아들을 세워 뒤를 잇게 하사(4d)
예루살렘을 견고하게 하셨으니(4e)
이는 다윗이(5a)
-
헷 사람 우리아의 일 외에는(5b)
평생에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고(5c)
자기에게 명령하신 모든 일을(5d)
어기지 아니하였음이라(5e)
-
르호보암과 여로보암 사이에(6a)
사는 날 동안 전쟁이 있었더니(6b)
아비얌과 여로보암 사이에도(7a)
전쟁이 있으니라(7b)
-
아비얌의 남은 사적과 그 행한 모든 일은(7c)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7d)
아비얌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니(8a)
다윗 성에 장사되고(8b)
그 아들 아사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8c)
-
대를 이은 악행_ the evil deeds of generations
기억되는 다윗의 충성_ David's Allegiance remembered
대를 이은 전쟁_ a war of generations
-
북쪽 여로보암 왕 8년에 아비얌을 유다 왕으로 세우셨는데
그 역시 다윗을 본받지 않고 악행을 거듭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유지시킨 것은 주의 긍휼임을 똑똑히 보았나이다. 주여, 남북을
대치상황가운데 두신 하나님의 뜻을 생각한다면 냉전만이 능사가 아닌
줄을 깨달아 다시 한 번 북쪽의 동포들에게 화해의 손을 내밀게 하시고
강대국을 기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평가에 시선을 집중하게 하옵소서.
In the eighth year of King Jeroboam in the north, Abiyam was named
king of Judah, and he did not follow David and continued to do evil.
Nevertheless, it was clearly seen that it was the state's favor that kept
the country afloat. Lord, if you think of the will of God, who has put the
two Koreas in a confrontation, realize that the Cold War is not the only
thing to do, and once again let your compatriots in the north reach out
for reconciliation and focus their attention on God's evaluation rather
than leaning on a great power.
2023.10.11.wed.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