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시간 하늘에 무지개는 무지개 언약 (고고학자 윤사무엘 박사)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시간 하늘에 무지개 사진 보기: (도마박물관 자료실 카페) cafe.daum.net/thomas7
윤사무엘 박사는 경북고등학교 졸업, 하바드대학교에서 고대근동학을 전공한 고고학자입니다.
------♡------☆------♤------♧------
<고고학자 윤사무엘 박사의 글>
여러분들의 기도와 관심 속에 지난 주에 터키에 있는 아라랏산에 가서 5일간 머물면서 제1회 국제 노아방주 심포지엄을 가졌습니다.
8개국(터키, 한국, 미국, 이스라엘, 네덜란드, 폴랜드, 홍콩, 조지아)에서 50명의 학자들과 50명의 고고학자들이 모였습니다.
2022년 5월 5-7일 사이에 아라랏 산에서 가진 이번 세미나는 터키 정부의 후원으로 이뤄진 것이 기뻤습니다.
이중 12명이 학술발표를 했는데, 청중들 30%가 무슬림이며, 강사 가운데 한분은 가톨릭 신부로 대학교 교수이며, 조지아에서는 아르메니아
정교회 교수도 계셨습니다.
유대교 신자도 있었고 나머지는 기독교인들입니다.
저는 둘째 날 “아라랏산에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었다 History began at Mount Ararat.”이란 주제로 40분간
발표했습니다.
아라랏 산에서 서쪽으로 실크로드가 진행하여 이스탄불을 거쳐 로마까지 이르고, 동쪽으로 실크로드가 진행하여 중국, 한국의 끝자락인 김해까지
이릅니다.
문명의 역사가 동이족이 이룬 홍산문화가 중심이 되어 수메르에 영향을 끼친 것이 오늘날 서구 문명의 꽃을 피우게 되었는데 그 본향은 아라랏
산과 동이(東夷)문화입니다.
‘이’는 큰 활을 쏘는 사람‘이란 뜻이며 참고로 터키는 중국에서 서이족(西夷族)이라 불렀습니다.
동이족과 서이족의 문명이 오늘날 히브리주의, 헬라주의에 영향을 미쳤다는 새로운 학설을 발표했고 미국과 이스라엘에서 오신 분들이 이에 동의를
하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그동안 영미 고고학자들이 터키 고고학에 대해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는데 노아의 방주가 묻혀있는 아라랏산 발굴에 지난 10년간 지속하게 관심을
가진 결과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 대거 참여 하여 터키 정부에서도 적극성을 보이기 시작한 것이 큰 수확이었습니다.
저를 이어 강연하신 김승학박사님(Exo-Ark선교회 이사장, [떨기나무] 저자)은 진짜 시내산이 시내반도의 케터린 수도원 뒤의 돌산이 아니라
오늘날 사우디 아라비아에 있는 미디안 광야의 라오즈산(Jabal al-Lawz “아몬드 나무” 뜻)임을 강연하셨습니다.
이미 미국과 터키와 이스라엘에서 온 학자들은 김박사님의 주장을 익히 알고 계셨고, 성경고고학계에서는 김박사님이 유명인사이십니다.
한국 국내에서는 아직도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학자들이 대부분인데, 이제 사우디 아라비아가 시내산과 호렙산(바로 이웃의 쌍둥이 봉우리)을
완전 개방했기에 반드시 방문한 후 시내반도의 가짜 시내산에 대한 재평가를 촉구합니다.
히브리 대학교에서도 시내반도의 돌산이 더 이상 시내산이 아니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올해 8월에는 LA에서도 “사우디 시내산 학술세미나”가 8월 13일(토) 오전 9시~오후 4:30에 Sheraton Cerritos
Hotel에서, 8월 22일(월) 오전 9시~오후 4:30에는 Oxford Palace Hotel에서 세마포 호도스(대표: Ken An선교사)
주관으로 가집니다.
진짜 시내산 대한 세미나가 열릴 것입니다(갈 4:25에서 사도 바울도 시내산은 아라비아에 있다고 함.) 김승학 박사님과 제가 주 강사로
참여합니다. [윤사무엘 목사 “출애굽에 대한 역사적, 지리적 고찰과 사우디 시내산”]
지난 주일(2022년 5월 8일) 아라랏산에서 주일예배 드리면서 “무지개 언약 Covenant of Rainbow”(창 9:8-17)을
설교했는데, 지난 화요일(5월 10일) 낮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날 하늘에 무지개가 비췄다고 합니다.
무지개의 언약이 한반도에도 일어나기를 기도드립니다.
(위의 글: 2022. 5. 15. 윤사무엘 박사, 사도행전 11장 강해에서 발췌)
------♤------♧------◇------♡------
<추가 기록>
예수님의 12제자 중 한 사람인 사도 도마가 한국에 왔었던 역사적 사실은, 한반도의 무지개 언약이라 해석 할 수 있습니다.
1988년부터 지금까지 1,000여 회 이상 "사도 도마 성지순례"가 대한민국에서 있었습니다. blog.naver.com/story4006
대구세계문화엑스포 이사장 조국현
010 4391 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