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하우스 시공가를 결정을 짓는 두 요소는 자재비와 인건비입니다.
자재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역시 파이프입니다.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는 25mm, 32mm, 48mm가 사용되는데
25mm 파이프는 파이프 철판 두께가 1.2T와 1.5T가 있고
32mm 파이프는 1,5T입니다.
48mm 파이프는 1.7T와 2.0T가 있는데 대부분 1.7T로된 파이프를 사용합니다.
파이프 다음으로 비중이 큰 것은 비닐(PE필름)입니다.
비닐은 일반 비닐과 장수 비닐로 구분되고
다시 비닐의 두께에 따라서 가격의 폭이 상당이 많이 벌어집니다.
기타 부자재들은 동일한 것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시공에있어서 자재비를 결정하는 주요소는 파이프의 규격과 비닐의 두께입니다.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50평 비닐하우스에서도 자재비 가격만해도 수십만원씩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자재비는 지역마다 가격차가 있고 또 구입처가 도매업체인지 영세업체인지에 따라서도 가격이 다릅니다.
들어가는 자재비는 어느 파이프를 사용하고 파이프 간격을 어떻게 할 것이냐에 의해 결정됩니다.
비닐하우스 구조에 있어서 파이프는 서까래(둥글게 밴딩된것)과 가로대로 나뉩니다. 파이프는 당연히 간격이 좁고 많이 사용할 경우 튼튼하지만 너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이프 규격마다 눈의 하중을 이겨내는 적설심, 바람을 이겨내는 풍압심이 다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가장 많이 쓰이는 25mmX1.2T 파이프의 경우 50cm 간격으로 시공했을 경우 적설심은 21,4mm
풍압심은 26.0 m/sec입니다.
같은 파이프로 50센티 간격으로 시공할 경우 적설심은 17.8mm 풍압심은 23.8m/sec입니다.
32mmX1.5T 파이프의 경우는 50cm 간격으로 시공했을 때 적설심은 35.6mm 풍압심은 33.6m/sec 이고
60센티 간격으로 시공할 경우 적설심은 29.7mm 풍압심은 30.7m/sec 입니다.
인건비는 제가 아는 바에 의하면 지역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아주 비싼 지역은 전문시공 기술자 인건비가 25만원이나 하는 곳도 있으나 극히 일부지역이고
대부분 15만원 전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우스를 시공할 때에는 자재를 직접 구입하여 직접 시공하는 방법과 완전히 외주작업으로 맡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 경우는 외주 작업을 추천합니다. 일단 전문시공인들이 작업을 하게 되면 파이프의 간격, 수평등이
반듯하게 되지만 자가 시공한 분들의 하우스를 보면 대부분 엉성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같은 일을 하더라도 전문업자가 하면 공사기간도 상당히 단축되고 차후에 하자 발생이 적습니다.
또한 자재구입에 있어서 개인이 구매하는 것과 업자가 구입하는 가격은 일반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욕심이 과하지 않은 업자를 만난다면 자재구입비에서 발생하는 차액에 약간을 더 감안하시면 만족스런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농사용으로 짓는 하우스는 대부분 폭 5M를 기본으로 하고 다음으로 7M로 많이 짓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지형적인 조건이나 사용하시는 분의 요구사항에 따라 6M, 8M 등으로 짓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