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전국예술문화노동조합 출범
울산 시립예술단 등 19개 노조 참여 '문화행정 공공성.독립성 확보 노력'
전국예술문화노동조합. 내달 17일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에서 민주노총 공공연맹 산하 전국예술문화노조추진위(위원장 이용진)가 그 면모를 드러낸다. 국·공립예술단의 노조화는 '예술과 노동의 함수관계'라는 숙제를 시민사회에 던질 전망이다.
울산시립예술단 마산시립예술단 창원시립예술단 등 영남의 공립예술단을 비롯하여 세종문화회관 서울예술단 경기도립예술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등 19개 노조가 전국예술문화노동조합에 참여한다. '공권력에 좌지우지되던 문화행정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출범의 변이다.
예술인노동조합은 지난 1999년 9월 세종문화회관노조를 시작으로 2001년 5월 국·공립단체로는 전북도립국악원노조가 처음 탄생했고 이후 울산 마산 창원 청주 인천 광주 서울 경기 전주 등지에서 잇따라 조합의 기치를 올렸다.
문제는 '예술 행위를 노동으로 볼 수 있는가'라는 대목이다. 그동안 예술은 땀내 나는 생산적 노동과는 차원을 달리한다는 지적이 우세했다. 더욱이 국·공립예술단은 국가나 지자체의 보호와 지원을 받는,이른바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기에 발언의 진폭이 제한됐다. 그뿐만 아니라 일반 문화예술인과 비교한다면 울타리가 든든한 셈인데,노조까지 결성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자신들만의 권익을 도모하는 것은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 왔다.
이용진 추진위원장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기에 문화예술의 공공성 확보가 관건'이라고 강조하고 '수지타산만 맞추는 예술단의 민영화 움직임에 반대하며 재정자립도보다는 예술단의 설립취지에 맞는 공연예술을 얼마만큼 해 왔느냐가 평가의 잣대가 되어야 한다는 데 전국 공연예술인들의 뜻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조합원의 이익과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수권,이들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단원들의 역량을 높이고 예술적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해마다 열리는 예술단원에 대한 오디션. 하지만 단원들에 대한 관의 통제로 마치 전가의 보도로 휘둘렸고,그만큼 단원들의 반발도 심각했다. 재계약을 통한 통제와 '언제 잘릴지 모르는 계약직 공무원'이라는 단원들의 자조가 섞여들었다.
부산도 무풍지대는 아니다. 부산시립무용단도 한때 노조를 추진했지만,부산시에서 단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자 노조화 움직임이 한풀 꺾였다. 부산시립교향악단도 지휘자 곽승씨의 거취와 오디션 문제를 둘러싸고 내홍을 겪고 있다. 부산시립예술단도 언제든 노조를 추진할 수 있는 분위기다. 문제는 세금으로 운영되는 예술단의 노조화에 시민들이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것이다. 임성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