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바이저 공부 모임
*모집 마감
‘비전vision’은 보이는 겁니다. 내다보이는 앞날의 모습입니다.
우리 기관이 이렇게 일하여 나아가면, 그 끝에 ‘보이는 것’입니다.
열심히 일하며 나아가다보면 그 끝에 가서 무언가를 만날 겁니다.
그게 무엇인지를 묻는 게 비전vision,이상에 관한 질문입니다. 여행에 빗대면, 비전은 목적지goal입니다.
‘슈퍼super’는 높은 곳에서, 어떤 것보다 한 차원 높은 곳에 자리하는 걸 말합니다.
후배 사회사업가가 나무를 본다면, 선배 사회사업가는 숲을 봅니다.
마치, 드론의 눈으로 숲 속에 있는 후배에게 안내합니다.
좌우 두루 살펴보는 뜻도 있습니다.
후배 사회사업가가 앞만 본다면, 선배 사회사업가는 둘레를 살핍니다. 그 일과 다른 일의 연관을 짚어줍니다.
그렇게 위아래 좌우 살피며 이야기합니다.
그대로 나아가면 이상에 이른다고, 힘을 내자고, 함께 가자고 지지하고 격려하고 응원합니다.
슈퍼비전supervision : 후배 실천을(후배 질문을) 이상에 빗대어 해석하고 제안하며 안내하는 일입니다.
높은 차원에서(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며 설명하고 응원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이르고자 하는 ‘이상vision’의 자리에서 그 일을 바라보며 위치를 이해하고, 나아갈 길을 헤아리는 일입니다.
후배 사회사업가에게 슈퍼비전 하려면 우리 기관 혹은 우리 팀의 이상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말합니다.
이상에 앞서 우리 정체성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기준이 있어야 평가할 수 있듯, 이상이 있어야 (다다르려는 곳이 어디인지 알아야)
이를 향해 나아가는 길을 안내할 수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알아야 한계를 알고 역할에 집중합니다.
좋은 슈퍼바이저는 분명한 이상을 안내하고, 그 이상에 빗대어 후배의 실천을 설명해주는 사람입니다.
슈퍼비전은 후배 사회사업가에게 지도와 나침판을 주고, 지도 위 지금 후배의 위치를 짚어주는 일입니다.
지도- 큰 그림을 알고, 나침반 – 방향을 알며, 위치 – 내가 선 자리를 알고 있다면 든든합니다.
분명 언젠가 목표(이상)에 다다를 겁니다.
길을 나섰는데 지도와 나침반이 없고 지금 위치도 알 수 없다면 두려운 게 당연합니다.
그런 후배에게 서둘러 출발하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런 선배는 무능하고, 이를 따르는 후배는 위험합니다.
좋은 슈퍼바이저가 되기 위해 (장애인, 종합) 복지관 사회사업 현장의 이상을 공부하고,
슈퍼비전 개념과 방법과 사례를 연구하는 학습 모임을 아래와 같이 시작합니다.
공부 내용
매 월 모임 전까지 과제로 제공하는 원고를 읽고 글을 씁니다.
자기 말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든 공부를 마치면, 그동안 쓴 글을 엮어
공저로 '슈퍼바이저 공부노트'를 출판합니다.
미래를 이끌어갈 사회사업가는 텍스트를 읽고 쓰는 능력이 필수입니다.
여기에 발표력을 더합니다. 이 모두를 8강으로 훈련합니다.
사회사업 애정하는 바르고 정직한 좋은 사회사업가 선후배와 인연이 만들어지고,
함께 공부하는 동료 선후배 슈퍼바이저들과 우정이 자랄 겁니다.
사회사업 인생에 큰 힘이 될 겁니다.
커리큘럼 (교육과정)
1회 : 3월 21일
사회사업 개념, 사회사업 슈퍼비전
*사전 과제 : '사회사업가인 나' 써 오기, 동료들에게 낭독하기.
2회 : 4월 11일
강점
3강 : 5월 23일
욕구
4강 : 6월 20일
관계론
5회 : 7월 18일
집단사회사업 (주민모임, 주민소모임, 조민조직화, 이웃동아리)
6회 : 8월 22일
개별사회사업, 사례관리론
7회 : 9월 19일
사회사업 기록 ('사회사업실천기술'로써 기록 recoding)
8회 : 10월 24일
수료 및 출판기념회
*상황에 따라 일정과 공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부 내용에 따라 사례발표를 위한 사회사업 선배를 초청할 수 있습니다.
*각 주제 공부마다 읽어야 하는 원고가 있습니다. 원고를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글을 써 옵니다.
○ 인원
지선주, 군포시장애인복지관 부장
윤선미, 성남시한마음복지관(장애인복지관) 팀장
문혜진, 미추홀장애인복지관 팀장
장경호, 대전 대덕종합사회복지관 팀장
김은진, 군포송부종합사회복지관 과장
박선미, 안산시장애인복지관 팀장
○ 참가비
40만 원
*사정이 있어 기관 정식 연수로 오지 못하는 경우 연락주십시오. 상의합시다.
*학습 교재비, 연수비, 식사비 모두 이 비용으로 충당합니다. 출판비도 구슬꿰는실에서 감당합니다.
○ 공부 장소
모든 공부는 책방,구슬꿰는실(종로구 충신동, 동대문역)에서 모여 공부합니다.
○ 시간
오전 10시 시작, 오후 5시 해산.
○ 신청 자격
- 당사자를 끝까지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게 돕고, 둘레 사람과 어울리게 돕고 싶은 슈퍼바이저
- 사회사업 공부 좋아하고, 공부하여 깨달은 만큼 당사자의 강점이 보일 거라 믿는 슈퍼바이저
- 사람은 서로 기대어 살아가며 도움 받기도 하고 주기도 해야 한다며, 그렇게 도우려 애쓰는 슈퍼바이저
- 사회복지사다운 품성과 태도, 언어와 복장, 읽기와 쓰기. 이를 다듬고 몸과 마음에 스며들기 원하는 슈퍼바이저
○ 참가자 부탁
- 전체 일정을 빠짐없이 참가합니다.
(사정이 있다면 미리 상의하여 공부 날짜를 조정합니다. 이마저 어려우면 보강 계획을 세웁니다. 반드시 8강을 이수합니다.)
- 시작 시각과 마치는 시각을 잘 지킵니다.
- 공부 시간에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배움에 집중합니다.
- 연수 내내 되도록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공부한 내용 복습합니다.
- 모일 때마다 개인컵(텀블러)을 준비해 주세요. 되도록 1회용품 사용을 자제합니다.
○ 준비물
- 텀블러 * 되도록 1회용품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 문의
- sea@welfare.or.kr
- 함께 공부하는 슈퍼바이저께 연수 공문을 보내드립니다.
*영수증, 수료증 발급 가능합니다. 수료증은 사회사업 학습 48시간 수료증으로 발급합니다.
(6시간 X 8회 = 48사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