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 모른 채 최순실 사과…탄핵 직행한 ‘최악의 악수’ [박근혜 회고록 32]
JTBC 보도 다음 날인 10월 25일 오전 정호성·이재만·안봉근 비서관 3인, 그리고 안종범 정책조정수석, 우병우 민정수석, 김성우 홍보수석 등과 함께 대책을 논의했다. 모두들 더 늦어지기 전에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원장 문제에 대해 사과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렇게 해서 사과문을 발표하기로 결정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이것이 돌이킬 수 없는 악수가 되어버렸다.
나는 그때만 해도 최 원장(과거 유치원 원장을 지내 최 원장으로 호칭)을 사적으로 청와대로 부른 일이나 연설 원고를 몇 차례 보여주고 의견을 구한 것 정도만 문제가 된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정호성 비서관을 통해 원고를 전하고 의견을 구한 것은 사실이니 내가 계속 모른 체 버티면 결국 정 비서관이 다칠 수밖에 없었다. 그건 나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이 문제는 내가 국민 앞에 진솔하게 사과를 한다면 되지 않겠냐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었다. 사과문의 초점도 ‘대통령 취임 후 개인적 인연이 있던 최순실씨로부터 대통령 일부 자료에 대해 의견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게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쳤다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6년 10월 25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각종 연설문과 발언 자료 등이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에게 유출된 것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치고 놀라고 마음 아프게 해드린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중앙포토
그러나 정작 사과문을 받아들이는 정치권과 언론의 분위기는 전혀 달랐다. 내가 미처 파악하지도 못한 각종 의혹에 대해 100% 인정한 것처럼 받아들인 것이다. 최씨가 청와대 비서관들을 자기 집 수족처럼 부렸다든지, 국정에 깊숙하게 개입해 중요한 결정을 했다든지, 나와 공모해 기업들에 돈을 요구했다는 등의 의혹들도 그에 포함됐다. 나는 터무니없다고 여겼지만 사회 분위기는 정반대로 흘러갔다. 여론의 속성을 예견하지 못했던 것이 내 불찰이었다.
어떤 사람들은 10월 25일 대국민 사과로 인해 사실상 나의 탄핵이 결정된 것이라고 말한다. 아닌 게 아니라 그 사과 이후 민심은 순식간에 한쪽으로 기울었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사과를 하더라도 내가 인정할 부분과 내가 모르는 부분은 명확히 선을 그었어야 했다. 또 최 원장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려면 시간이 필요한 만큼 사과를 그렇게 서두를 일도 아니었던 것 같다. 실제로 최 원장이 나 모르게 어떤 일을 했는지 제대로 알게 된 시점은 탄핵 이후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으면서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