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관리자의 할 일에 대해 사모카박사는 다음과 같이 많은 항목을 제시하고있다.
작은 농장에서는 이 모든 일을 사장이 직접해야 하고, 조금 큰 농장에서도 단순작업은 사장이 지시하는 작업자가 하게 된다. 항목으로 보면 20항목 정도가 되지만 실제로 할 일은 서너배가 된다.
1인 혹은 몇 명의 인원으로 이 모든 항목을 해내기란 쉽지 않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만 하거나 생략하면서 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순치라던가, 입식 시 생존율을 가늠할 수 있는 스트레스 테스트라던가, 상재질병원인 비브리오 및 세균개체수 모니터링, 입식 초기의 알칼리도 측정(특히 실내, 저밀도 농장), 흘린사료제거, 매일 농장일지 작성, 청소, 기타 장비 유지보수 등인데 특히 장비를 고장나기 전에 유지 보수하는 것 등은 실제로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에도 많은 농장들이 등한 시 하고 있다.
·일반 농장 관리
· 새우 순치 및 입식
· 수질 및 비브리오 모니터링(실험실)
· 수질 유지 - 준비, 흐름, 산소공급, 알칼리도, pH 및 고형물 제어, 병원성 및 비병원성 박테리아 개체수 모니터링 및 제어
· 사료 관리 - 사료 공급, 먹지 않은 사료 회수, 흘린 사료 제거, 사료 보관 접근 및 재고파악
· 새우 모니터링 및 평가 -- 성장, 사료 섭취, 생존
· 새우 건강 모니터링
· 수확 및 수확 후 처리
· 시스템 준비
· 배출수 관리(물 및 고형물)
· 장비 유지 보수 - 펌프, 송풍기, 발전기, 차량, 전기, 센서, 경보
· 건설 및 수리
· 생물보안
· 산업 보건 및 안전
· 장비 및 소모품 구매
· 영업 및 마케팅
· 연구 및 개발
· 보안 및 포식자 제어
· 사무업무, 1일 농장기록
· 청소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