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세존의근거 #중도의의식 #팔정도 #사성제 #삼전십이행상수행
모든 불교의 뿌리는 초전법륜이다.
팔만사천경이 논문이라면, 초전법륜은 초록에 해당된다.
그렇기에 팔만사천경은 초전법륜경의 주석이라 할 수 있다.
근본이 무엇인지 모르고, 주석에 사로잡혀 있으면 안 된다.
근본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 팔만사천경 : 부처님과 부처님 1대 제자들이 설하신 내용을 경전으로 만든 것
초전법륜경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눈이 생겼다. 눈이 열렸다."라고 설하신다.
청정한 법의 눈이 생기고, 열리기 위해 이 법을 설하신 것이다.(담백하고, 정통성 있는 여실지 훈련법)
※ 법의 눈 = 여실지 = 있는 그대로를 꿰뚫어 보는 눈
○ 고행 ☞ 스스로를 괴롭히는 것에 빠져 고통스러워 하는 것
○ 쾌락의 삶 ☞ 여러가지 애욕에 빠져 즐기는 것
사띠 명상에서 예를 들었던 '긴장 ↔ 이완'을 생각해보면 된다.
긴장과 이완에서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
긴장의 부작용과 이완의 부작용에서 벗어나는 것.
'초전법륜이 없으면 법의 눈이 없는 것이다.'
해탈지견 - 본인이 해탈했다라는 것을 아는 눈이 있는 것
부처님의 첫 설법이 실패했다는 것을 있는 그대로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
부처님께서는 초전법륜을 굴리시면서 본인이 일생동안 설하게 될 완벽한 체계를 만드셨다.
그렇게 완성된 체계를 잘 받아들이겠다고 생각한 제자들이 오비구들이다.
오비구들은 정견없이 1전(1바퀴)을 굴린 분들이었고,
그 중 꼰다냐 존자는 세간을 꿰뚫어보는 눈이 생겼고, 출세간의 지혜가 생겼다.
※ 사성제를 듣고, 알았다고 해서 깨달았다고 하지는 않는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그리고 수희찬탄합니다_()_
청정조 법우님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출세간과 세간의 지혜를 간단히 요약해 주시니
스님 법문을 듣는 것 같아요.
항상 열심히 하시는 법우님께 감사드립니다.
_()_
법우님 감사합니다~ 눈에 쏙쏙 이해가 잘 됩니다_()_
감사합니다.
청정조법우님, 수희찬탄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술하고 몸살이 심해서 비대면 신청하고 참석하지 못했는데 정리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법우님_()_
좋은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