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화언(李和彦) : 모헌(慕軒) 이호신(李虎臣). 충의위(忠義衛)를 지냈으며, 거창 양항(梁項)과 함양 상백(上栢) 등에 살았다.->이화언(李和彦) : 李希雍 1553 1613 和彥. 충의위(忠義衛)를 지냈으며, 거창 양항(梁項)과 함양 상백(上栢) 등에 살았다.
*양녕 대군의 증손 이세번(李世蕃)이 을사사화 이후 서울에서 남하면 양항리에 잠시 내려와 살았고, 이세번의 손자 이희옹(李希雍)의 후손들이 양항리와 아주리에 정착하였다.
茅谿先生文集卷之三 / 行錄 / 忠義衛李公行錄 "公諱希雍字和彦。嘉靖癸丑(1553, 명종8)。生于外鄕居昌梁項里。"
灆溪書院尊衛錄 "李希雍 字 和彦 完山人 忠義衛 居昌 梁項 咸陽 上栢"
咸陽鄕案 "幼學 李希雍 字和彦忠義衛完山人讓寧大君諱禔后水東上柏居昌梁項"
......................
전주 이씨 * 李希雍 1553 1613 和彥
양녕 대군의 증손 이세번(李世蕃)이 을사사화 이후 서울에서 남하면 양항리에 잠시 내려와 살았고, 이세번의 손자 이희옹(李希雍)의 후손들이 양항리와 아주리[x지금의 거창군 웅양면 신촌리]에 정착하였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디지털거창문화대전
..................
고대일록 제1권 / 계사(癸巳, 1593) / 가을 9월
○ 9월 9일 경신(庚申)
나는 고모의 장례식에 참석했다가 김대명(金大鳴)ㆍ김선명(金善鳴)ㆍ이화언(李和彦)ㆍ유여현(柳汝見) 등의 친구들을 만나고 오후에 돌아왔다. 돌아오는 길에 가을비를 만나고, 해가 저물어서 갓 만드는 가게에 투숙하여 종형(從兄)ㆍ종제(從弟)와 빈방에서 함께 잤다. 이튿날 돌아왔다.
[주-D004]
이화언(李和彦) : 이희옹(李希擁)의 자(字). 본관은 완산(完山).[주-D005] 유여현(柳汝見) : 유중룡(柳仲龍, 1558~1635).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여현(汝見). 호는 어적산인(漁適散人).
.....................
이화언(李和彦) : 이희옹(李希擁)의 자(字). 본관은 완산(完山).->李希雍 1553 1613 和彥
..................
고대일록 제3권 / 경자(庚子, 1600) / 가을 7월
○ 7월 27일 정묘(丁卯)
날이 새자 길에 올랐다. 길에서 이화언(李和彦)을 만나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황혼에 집에 돌아왔다. 조카의 병이 차도가 있으니, 기쁘기 짝이 없었다.
○ 7월 28일 무진(戊辰)
노 예산(盧禮山)이 군(郡)에 도착해서 나를 부르기에 만나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 7월 29일 기사(己巳)
박공간(朴公幹)이 내한(內翰)에 뽑혀 들어갔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와 같은 기쁨이 어디 있을까.
[주-D001] 희망(姬望) : 어은(漁隱) 강위수(姜渭叟). 위노(渭老)의 동생.[주-D002] 가강(家康) : 원문에는 ‘加强’으로 되어 있으나 ‘家康’의 오기인 듯하다.[주-D003] 수우당의 소식 : 수우당과 관련된 소식으로 봄이 타당할 듯하다.[주-D004]
이화언(李和彦) : 모헌(慕軒) 이호신(李虎臣).
ⓒ 남명학연구원 | 박병련 설석규 신병주 정우락 한명기 (공역) | 2009
.......................
[주-D004] 이화언(李和彦) : 모헌(慕軒) 이호신(李虎臣).->李希雍 1553 1613 和彥
*이희옹은 경남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사람이다. 이호신은 성주군 사람이다. 다음과 같이 명현들이 만사, 제문, 행록을 써준 사람은 동계(1569~1641)의 사돈(아들의 장인)인 거창 사람 이희옹이다.
1 挽李和彦 希雍 挽詞 鄭逑 寒岡集
2 輓李和彦 希雍 挽詞 張顯光 旅軒集
3 輓李希雍 挽詞 鄭蘊 桐溪集
4 祭李希雍文 祭文 鄭蘊 桐溪集
5 挽李和彦 希雍○癸丑 挽詞 文緯 茅谿集
6 祭李和彦文 癸丑 祭文 文緯 茅谿集
7 忠義衛李公行錄 行錄 文緯 茅谿集
8 挽李 希雍 挽詞 李𥳕 東湖集
9 輓李和彦 希雍 挽詞 鄭時修 琴川集
....................
고대일록(孤臺日錄) 부록 / 인명록(人名錄)
이화언(李和彦) : 모헌(慕軒) 이호신(李虎臣). 충의위(忠義衛)를 지냈으며, 거창 양항(梁項)과 함양 상백(上栢) 등에 살았다.
......................
이화언(李和彦) : 모헌(慕軒) 이호신(李虎臣). 충의위(忠義衛)를 지냈으며, 거창 양항(梁項)과 함양 상백(上栢) 등에 살았다.->이화언(李和彦) : 李希雍 1553 1613 和彥. 충의위(忠義衛)를 지냈으며, 거창 양항(梁項)과 함양 상백(上栢) 등에 살았다.
*양녕 대군의 증손 이세번(李世蕃)이 을사사화 이후 서울에서 남하면 양항리에 잠시 내려와 살았고, 이세번의 손자 이희옹(李希雍)의 후손들이 양항리와 아주리에 정착하였다.
茅谿先生文集卷之三 / 行錄 / 忠義衛李公行錄 "公諱希雍字和彦。嘉靖癸丑(1553, 명종8)。生于外鄕居昌梁項里。"
灆溪書院尊衛錄 "李希雍 字 和彦 完山 人 忠義衛 居昌 梁項 咸陽 上栢"
...................
한강집(寒岡集) 정구(鄭逑)생년1543년(중종 38)몰년1620년(광해군 12)자도가(道可)호한강(寒岡), 사양병수(泗陽病叟)본관청주(淸州)시호문목(文穆)특기사항이황(李滉)과 조식(曺植)의 문인
寒岡先生續集卷之七 / 詩 / 挽李和彦 希雍
持身謹厚處心寬。今世如君盖亦難。
孝悌至誠宗黨服。眞愿天質友朋嘆。
居家隨分咸成趣。接物推恩各盡懽。
四十年來情義密。衰秋病淚獨汍瀾。
...................
여헌집(旅軒集) 장현광(張顯光)생년1554년(명종 9)몰년1637년(인조 15)자덕회(德晦)호여헌(旅軒)본관인동(仁同)시호문강(文康)
旅軒先生續集卷之一 / 詩○七言四韻 / 輓李和彦 希雍
一見知爲順德人。顔貌辭氣露天眞。
口恒善語心誠好。躬尙敦風性近仁。
福在終身無怨惡。病非居世任竆貧。
衰痾老暑難攀紼。爲寫荒詞寄穸窀。
......................
모계집(茅谿集) 문위(文緯)생년1554년(명종 9)몰년1631년(인조 9)자순보(順甫), 순부(純夫)호모계(茅谿)본관남평(南平)특기사항오건(吳健), 정구(鄭逑)의 문인. 오장(吳長), 윤경남(尹景男), 조응인(曺應仁) 등과 교유
茅谿先生文集卷之三 / 行錄 / 忠義衛李公行錄
李希雍 | 1553 | 1613 | 和彥 |
公諱希雍字和彦。嘉靖癸丑(1553, 명종8)。生于外鄕居昌梁項里。性仁慈敦厚。樂善好義。事父母順而敬。遇親戚睦而篤。兒時甞遭捶楚於親庭。恭受無慍色。人奇之。年十五丁外艱。悲慟哭泣。見者莫不隕淚。歠粥不以匙。米精不食。器白不食。大夫人念其柴毁。以至虞哭而使食䟽食。時無所受學。僅能識字。而不妄出入。以至終喪。喪祭之禮。苟有所聞。必籍而行之。鄰里咸異之。旣免喪。出與士大夫能文學者遊。必先以日用常行之事質之。見人之善。亦必慕而敬之。一時儕輩。或笑其凈定省。未甞少怠。其有不安。憂形於色。未甞離側。大夫人或欲有與於人。必優致其物。以悅其意。癸巳冬。大夫人以癘疾寢病。衣不解帶。晝夜不怠。藥餌粥飮。必先甞而後進。及丁憂。鄰親以癘故不能護喪。自能記其平日所聞學。沐襲飯斂之禮。一遵古制。無有遺憾。旣殯人皆勸小避保身以終孝。而尙不動念。已而因染其疾。絶而復甦者屢矣。而悲號哭踊。無異常人。自初終至終制。一依家禮。足不出廬外。口不及家事。哀毁並至。情文備盡。當時遭値亂離。雖士大夫好禮之家。鮮不受變。而終始執禮。至今鄕里稱之。每日晨起。省謁家廟。出入必告。朔望必薦酌而參謁。時物必薦廟而後甞。廟內必親自凈掃。常令齊㓗。一切祭用器皿。盡心精備。少有麁窳。卽改之無所欠闕。四時大祭。嚴飭內外家衆。極其精㓗。小不如意。終日不樂。凡羽毛鱗介殼核之類。將可以供祭祀者。必皆躬親收藏以待用。凡遇忌辰。無不盡誠。而至於考妣則哀痛如初終時。至於國恤。必素食數月。其遇國忌。亦必行素。雖病中不廢。待兄娣極其恭愛。其於昏嫁。亦必問其所無而賙之。至於臧獲。無不任其所願而許之。李參奉弘亮。娣夫也。癸巳因亂來寓。以癘疾終於家。治喪極其情禮。李氏娣又歿於家。祔葬於先隴之下。四時亦必親祭。至於接朋友。一以誠信相與。一藝一行。莫不樂取而定交。見其善行則悅服而嚮慕。不啻在己。聞其善言則佩記而樂道。若自口出。衣服牛馬。共之而無憾。其遇情朋。吐出心膈。亹亹不已。終朝達夕。任誠無怠。故文學雖不及於諸賢。所得於觀感者多矣。每於春暖秋凉。與朋友游佳山水。意之所到。談笑竟日。飄飄然有出塵之想。朴而不華。質而無文。時人俗子。莫有測其襟期者矣。敎子常以謹勤忠孝。待人常以寬和悃愊。任眞無僞。靡有畦畛。飢寒禍厄。必加惻念而救恤之。聞所知之喪。必爲之行素。至於虫鳥之樂育。花木之發榮。莫不愛護而遂其生焉。鄕人以其行誼擧于官。使之轉聞者三矣。常患風濕。寢疾數年。而藥不見效。已知不救。而發諸言辭之間者。不以死生遽爲之動念。疾革。朋友親戚來診。則怡然閒語。無異平時。數刻許而終。萬曆癸丑四月十三日也。
追錄
居家不治産業。常自恬然。不以得失爲欣戚。其視不義之富貴。深爲人賤惡之。凡親舊之喪。未久而或有宴樂於其近處。則必爲之禁止而不參也。過路若遇親朋先墓。則必爲之下馬。而至於㫌閭。亦必式焉。不以親踈不以暮夜或廢也。
.......................
一時儕輩。或笑其凈定省。未甞少怠。-> 一時儕輩或笑其迃而不改其操事大夫人幾三十年出告反面晨昏定省未嘗少怠
......................
文緯 | 1554 | 1631 | 丹城 | 順甫, 純夫 | 茅谿, 茅溪 |
...................
茅谿先生文集(모계선생문집)文緯(1554 ~ 1631)茅谿先生文集卷之三行錄忠義衛李公行錄公諱希雍字和彦嘉靖癸丑生于外鄕居昌梁項里 性仁慈敦厚樂善好義...
忠義衛李公行錄
225 面
公諱希雍字和彦嘉靖癸丑生于外鄕居昌梁項里 性仁慈敦厚樂善好義事父母順而敬遇親戚睦而 篤兒時嘗遭捶楚於親庭恭受無慍色人奇之年十 五丁外艱悲慟哭泣見者莫不隕淚歠粥不以匙米 精不食器白不食大夫人念其柴毁以至虞哭而使 食疏食時無所受學僅能識字而不妄出入以至終 喪喪祭之禮苟有所聞必籍而行之鄰里咸異之旣 免喪出與士大夫能文學者遊必先以日用常行之 事質之見人之善亦必慕而敬之一時儕輩或笑其迃而不改其操事大夫人幾三十年出告反面晨昏定省未嘗少怠其有不安憂形於色未嘗離側大夫 人或欲有與於人必優致其物以悅其意癸巳冬大 夫人以癘疾寢病衣不解帶晝夜不怠藥餌粥飮必 先嘗而後進及丁憂鄰親以癘故不能護喪自能記 其平日所聞學沐襲飯斂之禮一遵古制無有遺憾 旣殯人皆勸小避保身以終孝而尙不動念已而因 染其疾絶而復甦者屢矣而悲號哭踊無異常人自 初終至終制一依家禮足不出廬外口不及家事哀 毁竝至情文備盡當時遭値亂離雖士大夫好禮之 家鮮不受變而終始執禮至今鄕里稱之每日晨起
227 面
省謁家廟出入必告朔望必薦酌而參謁時物必薦 廟而後嘗廟內必親自淨掃常令齊潔一切祭用器 皿盡心精備少有鹿窳卽改之無所欠闕四時大祭 嚴飭內外家衆極其精潔小不如意終日不樂凡羽 毛鱗介殼核之類將可以供祭祀者必皆躬親收藏 以待用凡遇忌辰無不盡誠而至於考妣則哀痛如 初終時至於國恤必素食數月其遇國忌亦必 行素雖病中不廢待兄娣極其恭愛其於昏嫁亦必 問其所無而賙之至於臧獲無不任其所願而許之 李參奉弘亮娣夫也癸巳因亂來寓以癘疾終於家
228 面
治喪極其情禮李氏娣又歿於家袝葬於先隴之下 四時亦必親祭至於接朋友一以誠信相與一藝一 行莫不樂取而定交見其善行則悅服而嚮慕不啻 在已聞其善言則佩記而樂道若自口出衣服牛馬 共之而無憾其遇情朋吐出心膈亹亹不已終朝達 夕任誠無怠故文學雖不及於諸賢所得於觀感者 多矣每於春暖秋凉與朋友游佳山水意之所到談 笑竟日飄飄然有出塵之想朴而不華質而無文時 人俗子莫有測其襟期者矣敎子常以謹勤忠孝待 人常以寬和悃愊任眞無僞靡有畦畛飢寒禍厄必
229 面
加惻念而救恤之聞所知之喪必爲之行素至於蟲 鳥之樂育花木之發榮莫不愛護而遂其生焉鄕人 以其行誼擧于官使之轉聞者三矣常患風濕寢疾 數年而藥不見效已知不救而發諸言辭之間者不 以死生遽爲之動念疾革朋友親戚來診則怡然閒 語無異平時數刻許而終萬曆癸丑四月十三日也
...................
茅谿先生文集卷之一 / 挽詞 / 挽李和彦 希雍○癸丑
광해군 | 5 | 1613 | 계축 | 萬曆 | 41 | 60 | 이희옹을 곡하다. 李希雍 1553 1613 和彥 ○夏哭李和彦。先生撰其行錄。葬時有挽詩祭文。 |
광해군 | 6 | 1614 | 갑인 | 萬曆 | 42 | 61 | 雲峯 縣監으로 있던 윤경남을 곡하다. |
迢迢戊辰歲。與君初相識。四十六年間。知君莫我熟。古貌任眞卛。古心惟悃愊。語古寧矯餙。禮古無邊幅。義古鄕鄰推。行古友朋服。雲雨多變態。古人獨自若。古人忽作古。長夜何時闢。霜風凋碧樹。丈夫淚沾臆。
...................
茅谿先生文集卷之三 / 祭文 / 祭李和彦文 癸丑
嗚呼。公之亡也。我旣錄其行而哭之矣。今其葬也。又烏得以無言也耶。公之孝順。出於天賦。而其眞誠惻怛。實𪆽白烏黑之性然也。非有矯揉修餙之致。是其積之於中而發之外。自我知己者見之。莫不悅服而觀善。至於先生長者。莫不許其進而引之。方將高蹴大造。以成就志業。而茫茫老天。遽不我借。此其哭公者一也。許以金蘭。瀉以肺腑。恩義並臻。弟兄相好。白首邱園。婆娑共畢。是其晩歲契約。而今其亡矣。則後死一身。踽踽無伴。此其哭公者二也。庭樹秋老。黃葉滿階。長號失聲。心膓欲裂。一酌以辭。萬古心情。
...................
茅谿先生文集年譜 / 茅谿先生年譜
선조 | 22 | 1589 | 기축 | 萬曆 | 17 | 36 | 8월, 遯坪에서 崔永慶을 뵙다. |
선조 | 23 | 1590 | 경인 | 萬曆 | 18 | 37 | 正月讀中庸。○李和彦希雍,尹瀯湖景男來訪。○李馬巖,文嶧陽來訪。 |
十八年庚寅 先生三十七歲 正月讀中庸。先生所工性理大全,心經,中庸,延平問答,朱子行狀,上蔡語錄,大學行義,理學錄,儒先錄等書。而後集,韓文綱鑑,雜文。無不汎覽矣。
○李和彦希雍,尹瀯湖景男來訪。
○李馬巖,文嶧陽來訪。○二月寒岡先生臨訪。○與朴龍潭而章。會話於李馬巖大一所。○四月會曺陶村應仁,李馬巖。遊見巖山。○七月與河暮軒,文嶧陽。遊尤谷齋。卽嶧陽所築也 ○往高陽。訪金松庵。○訪朴鶴巖于廬所。○九月赴陜川校。會議疏伸崔守愚。汝立逆獄。曠年鍛鍊。守愚亦爲群小構誣被逮。先生興吳思湖長,李松菴魯,朴篁巖齊仁,李茅村瀞,河暮軒,李雪壑諸賢。再會陜校。將以疏伸理。聞其已放。各罷歸。 ○十月聞崔守愚訃。守愚伸理得釋。旋又逮繫。瘦死獄中。先生悼痛不已。 ○十一月往陜川。訪周士賓國新。○十二月聞河覺齋沆訃。
......................
漁適先生文集(어적선생문집) 柳仲龍(1558 ~ 1635) 漁適先生文集卷之一 / 詩 / 輓李和彦 希雍
挾冊尊師競後先 苕溪遊釣共蹁躚
梅花絶句君居右 槐樹淸談我在邊
莫逆一生爲伯仲 報羅今白隔凡仙
親朋痛哭還堪慰 三鳳嘵嘵帀几筵
几杖[jǐ zhàng]
耳順兀非夭 多男亦可詑
獨憐蘭萎谷 偏惜玉埋華
忍見三秋月 全抛九日花
新阡無白馬 東閣淚橫斜
..........................
秋潭集(추담집) 尹銑(1559 ~ 1639) 秋潭先生文集卷之一 詩 挽李和彦 希雍
可惜斯人逝 生平稟質好 好恐誤
曾同流落苦 更抱別離愁
鄕國失知己 風塵餘白頭
遙將數行淚 揮灑禁城秋
..........................
秋潭先生文集(추담선생문집) 鄭頠(1599 ~ 1657) 秋潭先生文集卷之一 詩 挽李和彦希雍
......................
동호집(東湖集) 이서(李𥳕)생년1566년(명종 21)몰년1651년(효종 2)자이직(以直)호동호(東湖), 동호야로(東湖野老)본관광주(光州)특기사항정구(鄭逑)의 문인
東湖先生文集卷之一 / 詩 / 挽李 希雍
矯名外飾滔滔是。純善如公實寡倫。
不露廉稜和更確。無華悃愊率而眞。
家庭素著友于學。鄕黨咸推長者人。
仁壽從來理難究。六旬於世已成陳。
...................
이천봉 (李天封 , 1567 ~ 1634) 白川先生文集 지음
이화언 희옹에게 한 만사[挽李和彦希雍]-166
挽李和彦希雍 / 李天封(1567~1634)
養素衡門六十春 頎然風度秀而淳
家敦孝友人無間 性好仁賢更寡倫
慷慨訥言堪立懦 精明論議可驚人
遠鄕抱病違臨穴 敬寫哀辭淚濕巾
.....................
동계집(桐溪集) 정온(鄭蘊)생년1569년(선조 2)몰년1641년(인조 19)자휘원(輝遠)호동계(桐溪), 고고자(鼓鼓子)본관초계(草溪)특기사항조목(趙穆), 정구(鄭逑)의 문인. 남인(南人)의 중진(重鎭)
桐溪先生續集卷之一 / 詩○七言律詩 / 輓李希雍
愷悌吾君子。眞淳一古人。飾身敦禮義。賁趾任沈淪。孝友庭無間。遊從德有隣。如何仁不壽。薤露忽今晨。
...................
桐溪先生續集卷之二 / 祭文 / 祭李希雍文
嗚呼哀哉。行修而備。入孝出悌。肥家之方。祭敬喪哀。奉先之節。推誠接物。削去畦畛。凡愛親仁。樂道人善。身安義命。慕絶利榮。以余觀公。未學未信。將期仁壽。公則有之。一疾沈綿。云胡不淑。鄕無善士。巷無居人。若予鈍愚。早被知許。通家相好。情若天倫。薄宦年來。會合亦闊。當公病革。余客于京。千里承凶。數聲嗚咽。日月流邁。已卜新岡。術忌之拘。又未執紼。兩負生死。深愧幽明。今宵屋樑。最是寒月。如何勿慟。一別千秋。不昧者存。庶歆情酌。
...................
龍洲先生遺稿卷之十九 / 神道碑 / 桐溪鄭先生神道碑銘 幷序
丁酉。賜諡文簡公。夫人尹氏。坡平著姓。忠義衛某之女。性貞毅淑明。御婢使治家第皆有法。當公之謫濟也。宅不翦而業不鏟。資三子往來海外以時。賢可知也。與公同年生。先公一年卒。辛巳。葬于居昌治北主谷同先生竁。辛卯。遷寢合葬。卽居昌龍山先妣墓前午向原。
丈夫子三人。長曰昌詩。仕爲水曹正郞。出爲縣監者四。俱有治績。
曰昌訓,昌謨。咸有才行。不幸相繼早歿。側室子曰昌謹。司果。
正郞娶忠義衛李希雍女。生一男一女。男岐壽。方爲省峴察訪。女適崔瑞翁。
昌訓前娶柳永貞女。生一女二男。女李薇。男岐憲,岐章。後娶愼諯女。生一男幼。
昌謨娶大君師傅朴羾衢女。生一男二女。男岐胤。女長適曹夏賢蚤歿。次適尹亨龜。
昌謹娶都事李𥳕庶女。生四女幼。
察訪娶牧使羅緯素女。生四女一男。長適姜徽萬。餘幼。
岐胤娶掌令許穆女。生三男。
....................
북저집(北渚集) 김류(金瑬)생년1571년(선조 4)몰년1648년(인조 26)자관옥(冠玉)호북저(北渚)본관순천(順天)봉호승평부원군(昇平府院君)시호문충(文忠)특기사항인조반정(仁祖反正)의 주역
北渚先生集卷之八 / 碑銘 / 有明朝鮮國贈嘉善大夫吏曹參判八溪鄭公神道碑銘 幷序
公娶將仕郞姜謹友之女。麗朝國子博士啓庸之後也。籍晉州。夫人。婦而事君子亡違德。母而能敎以義方。死生禍福。不加喜戚焉。此守道君子之所難也。其亡讓公父文伯之母之婦若母也。亦可傳也。後公三十五年而卒。固已食副學公祿八年所矣。春秋九十三。別葬于居昌加祚縣之龍山子坐午向之原。男三人。長曰䋖。娶忠順衛朴士忠女。生二男。昌世,昌後。皆早夭。昌世娶裴樹立女。生二女。昌後娶劉後甲女。生一男。早夭。次副提學蘊。娶忠義衛尹劼女。生三男。昌詩,昌訓,昌謨。昌詩雲峯縣監。娶忠義衛李希雍女。生一男一女。皆幼。昌訓娶司果柳永貞女。生二男一女。皆幼。昌謨娶察訪朴羾衢女。生一男一女。皆幼。次曰絔。宗廟署副奉事。娶參議張智賢女。無子。以昌訓後。女適幼學愼詠。生子女皆夭。以副提學貴。推恩三世。贈公吏曹參判。崇禎癸酉。禮曹以孝行上聞。命旌其閭。已又一鄕。久而愈益敬慕。立祠而祭之。
國朝人物考四十 / 士子 / 鄭惟明 碑銘[金瑬]
公娶將仕郞姜謹友之女, 麗朝國子博士啓庸之後也, 籍晉州。 夫人, 婦而事君子亡違德, 母而能敎以義方。 死生禍福, 不加喜戚焉, 此守道君子之所難也。 其亡讓公父文伯之母之婦若母也, 亦可傳也。 後公三十五年而卒, 固已食副學公祿八年所矣, 秋春九十三。 別葬于居昌加祚縣之龍山子坐午向之原。 男三人。 長曰䋖, 娶忠順衛朴士忠女, 生二男: 昌世, 昌後, 皆早夭。 昌世娶裵樹立女, 生二女。 昌後娶劉後甲女, 生一男, 早夭。 次副提學蘊, 娶忠義衛尹劼女, 生三男: 昌詩, 昌訓, 昌謨。 昌詩, 雲峯縣監, 娶忠義衛李希雍女, 生一男一女, 皆幼。 昌訓娶司果柳永貞女, 生二男一女, 皆幼。 昌謨娶察訪朴羾衢女, 生一男一女, 皆幼。 次曰絔, 宗廟署副奉事, 娶參議張智賢女, 無子, 以昌訓後。 女適幼學愼詠,
...................
금천집(琴川集) 정시수(鄭時修)생년1601년(선조 34)몰년1647년(인조 25)자경수(敬叟)호금천(琴川)본관동래(東萊)특기사항문위(文緯), 정온(鄭蘊), 조경(趙絅)의 문인. 허립(許岦), 정필달(鄭必達), 서숙(徐䎘) 등과 교유
琴川集卷之一 / 詩 / 輓李和彦 希雍
親舊年來殆逝盡。送公何事轉忡忡。依麻附驥多薰益。知已同心自竹葱。遵禮居憂誠旣篤。操心處正德兼隆。接人接物和而款。無黨無私順且公。着力文房工隱做。專心姻睦澤均蒙。皇天忽斷滄溟楫。霹靂終摧碧嶺松。一世永期同進退。九泉那料隔音容。人生草露迎暉盡。世事浮漚轉首空。漁適風光無共賞。五加雲榻與誰同。村氓驚愕悲無極。鄕黨哀號淚不竆。無復論懷飛玉屑。永違談笑近春風。靑年舊意留心上。白髮儀形入夢中。吟玩詩篇如見面。摩挲圖畵若開胷。後吾一歲先吾去。秋晩窮山哭盡衷。
*茅谿先生文集年譜 / 茅谿先生年譜
五年壬申二月二十二日庚寅。葬于縣北多發山 一名茶田修道山餘麓 子坐午向之原。龍洲趙文簡公撰誌銘。
六年癸酉。士林議立祠事。金致敬,鄭起震,鄭承先,尹英男等倡議一鄕。議已定而重其事未就。
十七年甲申九月行狀成。眉叟許文正公撰。
肅宗大王十二年丙寅十月。龍源書院成。奉安位版。龍源在縣北乾興山下猿鶴洞。鄭時佐,卞時珵,李星昌等悉心敦事。二年乃成。正廟十九年乙卯。以卞月潭追配。
....................
백천선생 문집[白川先生文集] 시〔詩〕 이화언 희옹에게 한 만사[挽李和彦希雍] 이천봉 (李天封 , 1567 ~ 1634) 白川先生文集 지음
백천집 (白川集)
『백천집』은 조선 중기의 학자 이천봉(李天封 ; 1567∼1634)의 시문집이다. 이천봉의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숙발(叔發), 호는 백천(白川)이다.
이 책은 1966년 12대 후손 상건(相虔)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書) 중 「상한강선생의례문목(上寒岡先生疑禮問目)」은 정구(鄭逑)에게 상례(喪禮)에 있어 의문사항을 묻고 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16세기 도학자들의 관심사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부록의 「우복정문장공경세정묘복명계(愚伏鄭文莊公經世丁卯復命啓)」는 정묘호란 때 정경세의 행적을 기록한 글로, 그 외에 많은 의병장들이 소개되고 있어 참고자료가 된다.
이천봉은 1601년(선조 3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형 천배(天培)와 함께 정구(鄭逑)를 사사하였으며, 1620년(광해군 12) 정구가 죽자 그의 원묘(院廟)를 짓고 신도비의 건립과 문집 간행에 노력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당시 성주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그 공으로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 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성주 덕암사(德巖祠)에 향사되었다.
삼익재집 (三益齋集)
『삼익재집』은 조선중기의 학자 이천배(李天培 ; 1558∼1604)의 시문집이다. 이천배의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경발(景發), 호는 삼익재(三益齋)이다.
이 책은 1900년경 후손 달신(達新)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 중 시에는 아우가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베푼 연회석에서의 감회를 읊은 「증사제사마연감회시(贈舍弟司馬宴感懷詩)」등이 있다. 서(書) 중 「상한강선생문목(上寒岡先生問目)」은 예설을 문답한 것으로 천곡서원에 봉안된 정호(程顥)·정이(程?) 형제의 위패의 규모, 사용하는 축문서식, 제수에 대한 품목, 서원의 규약, 제례에 사용하는 홀기(笏記) 등에 대해 질문한 것이다.
이천배는 처음 오건(吳健)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뒤에 정구(鄭逑)를 사사하였다. 장현광(張顯光)·서사원(徐思遠) 등과 교유하며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중건하고는 평생을 경전연구와 후진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후에 덕암서원(德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정추(鄭錘), 이연현(李廷賢)등이 그의 문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