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22장(第二十二章)
惟天下至誠이야 爲能盡其性이니 能盡其性이면 則能盡人之性이요 能盡人之性이면 則能盡物之性이요 能盡物之性이면 則可以贊天地之化育이요 可以贊天地之化育이면 則可以與天地參矣니라
오직 천하(天下)에 지극히 성실한 분이어야 능히 그 성(性)을 다할 수 있으니, 그 성(性)을 다하면 능히 사람의 성(性)을 다할 것이요, 사람의 성(性)을 다하면 능히 물건의 성(性)을 다할 것이요, 물건의 성(性)을 다하면 천지(天地)의 화육(化育)을 도울 것이요, 천지(天地)의 화육(化育)을 도우면 천지(天地)와 더불어 참여(參與)하게 될 것이다.
天下至誠은 謂聖人之德之實이 天下莫能加也라 盡其性者는 德無不實이라 故로 無人欲之私하여 而天命之在我者를 察之由之하여 巨細精粗가 無毫髮之不盡也라 人物之性이 亦我之性이로되 但以所賦形氣不同而有異耳라 能盡之者는 謂知之無不明而處之無不當也라 贊은 猶助也라 與天地參은 謂與天地竝立而爲三也라 此는 自誠而明者之事也라
천하(天下)의 지성(至誠)은 성인(聖人)의 덕(德)의 성실함이 천하에 더할 수 없음을 이른다. 그 성(性)을 다한다는 것은 덕(德)이 성실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인욕(人慾)의 사사로움이 없어 자신에게 있는 천명(天命)을 살피고 행하여 크고 작음과 정(精)하고 거침이 털끝만큼도 다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사람과 물건의 성(性)이 또한 나의 성(性)인데, 다만 부여받은 바의 형기(形氣)가 같지 않기 때문에 다름이 있을 뿐이다. 능히 다한다는 것은 앎이 밝지 않음이 없고 처함이 마땅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찬(贊)은 조(助)와 같다. 천지(天地)와 더불어 참여한다는 것은 천지(天地)와 더불어 함께 서서 셋이 됨을 이른다. 이는 성(誠)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자의 일이다.
右는 第二十二章이라 言天道也라
우(右)는 제22장(第二十二章)이다. 천도(天道)를 말씀하였다.
--------------------
중용 제20장, 제22장 中庸 第20章, 第22章
◎정성이란 것은 하늘의 도이고, 정성되게 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子曰:『誠者, 天之道也 ; 誠之者, 人之道也
◎정성된 사람은 힘쓰지 않아도 알맞게 되며, 생각지 않아도 얻게 되어 자연스럽게 도에 알맞으니 성인이다.
誠者, 不勉而中, 不思而得, 從容中道, 聖人也 ;
◎정성되이 하는 사람이란, 착한 일을 가려 굳게 지키는 사람이다.
誠之者, 擇善而固執之者也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신중히 생각하고, 밝게 분변하고, 독실하게 행동하다.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辯之, 篤行之
◎배우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배우게 되면 능하게 되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즉 모르는 것이 없을 때까지 배운다.
有弗學, 學之弗能弗措也 ;
◎묻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묻게 되면 알지 않고서는 그만두지 않는다. 즉 알게 될 때까지 묻는다.
有弗問, 問之弗知弗措也 ;
◎생각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생각하게 되면 얻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有弗思, 思之弗得弗措也 ;
◎분별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분별한다면 분명하게 되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有弗辨, 辨之弗明弗措也 ;
◎행동하지 않을 수는 있을지언정, 행동을 하게 되면 독실하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有弗行, 行之弗篤弗措也
◎남이 한 번에 능하게 되면 자기는 백번을 하고, 남이 열 번에 능하게 되면 자기는 천 번을 한다.
人一能之, 己百之 ; 人十能之, 己千之
◎과연 이러한 도에 능할 수 있다면, 비록 어리석다 하더라도 반드시 총명해지고, 비록 유약하다 하더라도 강해질 것이다.
果能此道矣, 雖愚必明, 雖柔必强 』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을 가진 사람만이 그의 ‘본성(本性)’을 다 보전할 수 있다.
惟天下至誠, 爲能盡其性 ;
◎자신의 본성을 다할 수 있으면 남의 본성도 다 보전하게 할 수 있다.
能盡其性, 則能盡人之性 ;
◎남의 본성을 다하게 할 수 있으면 만물의 본성도 다 보전하게 할 수 있다.
能盡人之性, 則能盡物之性 ;
◎만물의 본성을 다 보전하게 할 수 있으면 하늘과 땅의 화육(化育)하는 일을 도울 수 있다.
能盡物之性, 則可以贊天地之化育 ;
◎하늘과 땅의 화육하는 일을 도울 수 있으면 하늘과 땅과 더불어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可以贊天地之化育, 則可以予天地參矣
(비고) 본 해석 내용 및 본 중용 해석 시, 도올 김용옥 선생님의 동양고전의 번역방법을 따랐으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안병국교수님과 김성곤교수님의 해석을 참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