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온글..... 부분입니다.
류모세 선교사가 제시하는
예수님 당시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고고학적인 증거들
류모세 선교사는 예수님 당시 이스라엘 사회의 일상 언어는 아람어가 아니라 히브리어였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예수님 시대 전후로 발견된 215개의 동전 중 99개에서 히브리어가 새겨져 있고, 아람어가 새겨진 것은 1개뿐이다. 1968년 성전산 발굴을 지휘했던 벤자민 마자르 역시 아람어로 쓰여진 명각은 하나도 발굴하지 못했으며 모두 히브리어, 헬라어, 라틴어로 기록된 명각 뿐이었다. 이갈이 지휘했던 마사다 발굴에서도 9대 1의 비율로 아람어 기록물보다는 히브리어 기록물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게다가 예수님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납골함은 아람어가 전혀 없고 100퍼센트 히브리어가 새겨져 있다.
예수님 시대 전후로 활동했던 랍비들의 기록물인 미쉬나는 100퍼센트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다. 미쉬나는 신약성경과 수많은 병행구를 가지고 있어 신약성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랍비들이 말한 5,000개 이상의 비유 가운데 2개만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고 나머지 전부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다.
이상에서 열거한 일련의 사실들은 예수님 시대 이스라엘 사회의 공용어가 아람어가 아닌 히브리어였다는 사실을 강력히 입증해준다.” (류모세, <열린다 성경 난해 구절>, pp. 38-39)
위에서 류 선교사가 제시한 증거들은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가 아니라 히브리어였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데 상당한 설득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그것을 단정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증거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고고학적인 발견들은 학자들이 추측하는 연대의 오차가 때로는 엄청날 수 있다는 것이 상식이므로, 류 선교사가 제시한 증거들도 예수님 시대의 것들이라고 추측할 뿐이지 꼭 그 시대의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 설령 류 선교사가 제시한 고고학적인 증거들이 예수님 시대의 것들이 맞는다고 할지라도, 고대 사회에서는 기록된 언어와 일상에서 소통하는 언어가 얼마든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예수님 당시 로마제국의 공식 언어는 라틴어였다. 그럼에도 라틴어는 공식문서를 기록할 때와 같이 공공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실제로 사람들이 사용했던 일상 언어는 로마인들마저도 헬라어였다. 그래서 류 선교사가 제시한 고고학적 증거들은 상당한 증거 능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이런 증거들만으로는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고 100% 단정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신약 성경 안에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음을 단정할 수 있는 명백한 증거들이 있다.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명백한 성경의 증거들
첫째, 빌라도에 의해 십자가 위에 붙인 예수님의 패에 기록된 히브리어가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결정적인 증거이다.
“빌라도가 패를 써서 십자가 위에 붙이니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 기록되었더라 예수께서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 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와 로마와 헬라 말로(Ἑβραϊστί, Ῥωμαϊστί, Ἑλληνιστί/헤브라이스티, 로마이스티, 헬레비스티) 기록되었더라”(요19:19-20)
빌라도에 의해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 붙여진 패에는 로마어(라틴어)와 헬라어와 히브리어로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고 기록되어 있었다. 빌라도가 패에 로마어(라틴어)로 기록한 까닭은, 물론 로마인들이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함도 있겠지만, 세계의 중심에 있는 로마제국의 위상을 위한 것이며, 또 로마제국의 일상 언어인 헬라어로 패에 기록한 까닭은 헬라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을 비롯한 이방인들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빌라도는 그 패에 히브리어로도 기록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는 두말할 것도 없이 당시의 히브리어를 아는 유대인들을 위함이었다. 만약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였다면, 빌라도는 틀림없이 아람어로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고 기록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빌라도는 패의 글을 통해 유대인들을 조롱할 목적이었으니까 말이다.
이런 이유로 대제사장들은 빌라도에게 히브리어로 기록된 패의 내용을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에서 “나사렛 예수 자칭 유대인의 왕”으로 수정해 주기를 요구했던 것이다(요19:21/유대인의 대제사장들이 빌라도에게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라 쓰지 말고 자칭 유대인의 왕이라 쓰라 하니).
왜냐하면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기 때문에, 대재사장들은 히브리어를 아는 유대인들이 히브리어로 기록된 그 패로 인해 수치심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아무튼 빌라도가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 붙인 패에 로마어(라틴어)와 헬라어와 함께 히브리어로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고 기록한 것은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이다.
그럼에도 예수님 당시의 통용 언어가 아람어였다는 오랜 고정 관념 때문에, NIV에서는 요19:20의 “Ἑβραϊστί”(헤브라이스티/Hebrew)를 아예 “아람어”로 오역하는 실수를 범했다(NIV: Many of the Jews read this sign, for the place where Jesus was crucified was near the city, and the sign was written in Aramaic, Latin and Greek.). 그러나 다행스럽게 KJV(This title then read many of the Jews: for the place where Jesus was crucified was nigh to the city: and it was written in Hebrew, and Greek, and Latin.)와 NASB(Therefore many of the Jews read this inscription, for the place where Jesus was crucified was near the city; and it was written in Hebrew, Latin and in Greek.) 등에서는 원문의 “Ἑβραϊστί”(헤브라이스티)를 “히브리어”로 제대로 번역했다.
둘째,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증거는 행21:40, 행22:2, 행26:14 등에도 있다.
“천부장이 허락하거늘 바울이 층대 위에 서서 백성에게 손짓하여 매우 조용히 한 후에 히브리 말(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로 말하니라”(행21:40)
“그들이 그가 히브리 말(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로 말함을 듣고 더욱 조용한지라 이어 이르되”(행22:2)
“우리가 다 땅에 엎드러지매 내가 소리를 들으니 히브리 말(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로 이르되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가시채를 뒷발질하기가 네게 고생이니라”(행26:14)
개역개정에서 “말”로 번역한 “διαλέκτῳ”(디아렉토)의 원형 “διάλεκτος”(디아렉토스)는 “어법, 표현법, 언어, 말씨” 등의 의미를 가진다(LXX 단1:4/곧 흠이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지혜를 통찰하며 지식에 통달하며 학문에 익숙하여 왕궁에 설 만한 소년을 데려오게 하였고 그들에게 갈대아 사람의 학문과 언어를/LXX: διάλεκτον/디알렉톤/ 가르치게 하였고).
따라서 개역한글에서 “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를 “히브리 방언”으로 번역한 것은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라는 오랜 고정관념으로 인해, “히브리 방언”을 “아람어”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좋은 번역이라고 할 수 없다(그렇다고 해서 “히브리 방언”이 오역은 아니다. 당시 로마제국에서 라틴어와 헬라어를 제외한 모든 피지배 민족의 언어들을 “방언, 지방 사투리” 등으로 여겼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히브리어”는 히브리 사람들이 쓰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지방 사투리(방언)로 여겼다.
다시 말하면, “히브리 방언”으로 번역했어도 그 의미는 “히브리어”라는 말이다). 따라서 “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를 “히브리 말”이나 “히브리 방언”으로 번역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오랫동안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였다는 선입견 때문에, “διάλεκτος”(디아렉토스)를 “방언”으로 번역한 “히브리 방언”을 “아람어”로 이해하는 것은 대단한 잘못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NIV는 이런 선입견으로 요19:20에서 뿐만 아니라, 여기서도 “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헤브라이디 디아렉토)를 “Aramaic”(아람어)로 번역하고 말았다(NIV: 행21:40/Having received the commander's permission, Paul stood on the steps and motioned to the crowd. When they were all silent, he said to them in Aramaic).
아무튼 바울이 층대에 서서 백성들에게 말할 때 사용한 언어는 히브리어가 분명하다. 왜냐하면 바울이 지금 백성들에게 의도적으로 히브리어로 말하는 까닭은 그들에게 자신이 같은 동족 히브리인임을 알리려는 목적이었기 때문이다(행22:3/나는 유대인으로 길리기아 다소에서 났고 이 성에서 자라 가말리엘의 문하에서 우리 조상들의 율법의 엄한 교훈을 받았고 오늘 너희 모든 사람처럼 하나님께 대하여 열심이 있는 자라).
셋째, 복음서에 기록된 소수의 아람어들과
그 아람어에 대한 해석들은 오히려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가 아니라는 강력한 증거이다.
예수님 당시의 삶의 정황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복음서에는 소수의 아람어들과 그 아람어에 대한 번역들이 있다. 물론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였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복음서에 기록된 몇몇 아람어들을 그 증거로 내세운다, 그러나 복음서에 기록된 아람어들은 오히려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가 아니었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아래는 마가복음에 기록된 아람어들이다.
“그 아이의 손을 잡고 이르시되 달리다굼 하시니 번역하면 곧 내가 네게 말하노니 소녀야 일어나라 하심이라”(막5:41)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에바다 하시니 이는 열리라는 뜻이라”(막7:34)
“이르시되 아빠 아버지여 아버지께는 모든 것이 가능하오니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막14:36)
“제구시에 예수께서 크게 소리 지르시되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하시니 이를 번역하면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하는 뜻이라”(막15:34)
복음서에 기록된 아람어들의 공통된 특징은 기록한 아람어 바로 뒤에 그 아람어를 번역해 놓았다는 점이다. 왜 일까? 이는 당시의 복음서 독자들 중에 아람어를 알지 못하는 포로 세대 이후의 유대인들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마가복음은 주후 60년 전후에 마가가 로마에서 로마에 사는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기록한 복음서라고 추측된다. 로마에 사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 중에는 포로 세대보다는 그 이후 세대, 즉 아람어를 알지 못하는 세대가 상당수였을 것이므로, 마가는 아람어를 알지 못하는 이들 신세대 유대인들을 위해 아람어 뒤에 그 아람어의 의미를 밝혀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복음서에 기록된 소수의 아람어들과 그 아람어에 대한 번역들은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였다는 증거가 아니라 오히려 아람어가 아니었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만약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언어가 아람어였다면, 또 복음서에 나타난 아람어들이 당시의 유대인들이 아람어를 사용한 증거가 사실이라면, 예수님도 아람어로 말씀하셨을 것이 분명한데 어째서 예수님이 말씀하신 다른 아람어들을 다 어떡하고, 유독 “달리다굼”, “에바다” 등 몇 마디만 아람어로 기록되었을까? 뭔가 이상하지 않는가?
그러나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이는 당연하다. 왜냐하면 당시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히브리어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포로생활로 인하여 몸에 배어버린 아람어의 잔재가 일상 언어인 히브리어 속에 남아 있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기 때문이다.
아마 오랜 포로 생활 후 3차에 걸쳐 고국으로 돌아온 유대인들은 얼마동안은 아람어로 소통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아람어는 오랜 포로 생활 동안 사용했던 언어였기 때문이며, 또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모국어인 히브리어를 잊어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세계 어느 민족들보다 민족 정체성, 자존감이 강했던 민족임을 고려해 볼 때, 그들이 고국 땅에 돌아와서 아람어를 사용한 기간은 그리 길지는 않았을 것이다. 필자의 추측에는, 물론 객관적인 증거는 없지만, 아마도 중간기 어느 때, 아무리 길게 잡아도 마카비 시대 이전(주전 160년쯤)에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는 히브리어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럼에도 복음서에 아람어가 드문드문 나오는 것은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에서 히브리어로 복원되었다 할지라도, 오랫동안 사용해 왔던 아람어의 흔적들이 그들이 사용하는 히브리어 속에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예수님 당시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가 아니라 히브리어였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도 여기에 해당된다. 다시 말하면, 예수님 당시의 일상 언어가 아람어가 아니라 히브리어였다는 것 자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지라도, 성경의 모든 내용을 성경이 말하는 그대로 알려고 노력하는 태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말이다. 왜냐하면, 부패한 죄의 습성을 갖고 있는 인간은 에덴동산에서의 뱀(사탄)이나 하와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변조하고 싶은 본능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에덴동산에서의 뱀(사탄)은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창2:16-17)고 명령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창3:1)로 슬쩍 변조해서 하와를 유혹했고, 하와도 “동산 각종 나무의 열매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창2:16-17)는 하나님의 말씀을 “동산 나무의 열매를 우리가 먹을 수 있으나 동산 중앙에 있는 나무의 열매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로 적당하게 변조해서 뱀(사탄)에게 대답했다.
이로 인해 인간은 영원한 죽음이라는 비극 앞에 서야만 했다.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성경)을 변조하는 짓은 오늘 날에도 사탄의 하수인들의 전용 수법이다. 사탄의 하수인들은 성경을 이야기한다. 그래야지 사람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그들은 성경대로 말하지 않는다. 그래야지 사람들을 미혹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증거 좋아하시는 분들 많아서 퍼온글이니 직접 클릭해서 보시는것도 좋을듯해 주소 올립니다.
https://m.blog.naver.com/davidycho/222613968927
첫댓글 그 시대를 삶으로 직접 살면서 유대의 문화, 언어, 역사, 정치, 경제상황을 설명한 요세푸스의 기록입니다.
https://m.blog.naver.com/minjae2557/222923695883
사도행전 21:40
Having received the commander's permission, Paul stood on the steps and motioned to the crowd. When they were all silent, he said to them in Aramaic:
사도행전 21장
[40] 사울은 허락을 받고 계단 위에 서서 사람들에게 손짓을 했습니다. 마침내 그들이 잠잠해지자 그분께서는 그들에게 히브리어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jwha
당시의 히브리사람들의 언어가 아람어였습니다.
히브리사람들이 사용하는 히브리방언 = 아람어.
사도행전 22:2
When they heard him speak to them in Aramaic, they became very quiet. Then Paul said:
사도행전 22장
[2] 그들은 그가 히브리어로 말하는 것을 듣고 더욱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계속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jwha
당시의 히브리사람들의 언어가 아람어였습니다.
히브리사람들이 사용하는 히브리방언 = 아람어.
사도행전 26:14
We all fell to the ground, and I heard a voice saying to me in Aramaic,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It is hard for you to kick against the goads.'
사도행전 26장
[14] 우리는 모두 땅에 쓰러졌습니다. 그때 나는 히브리어로 '샤울!'이라고 말하는 음성을 들었습니다. 샤울! 왜 나를 계속 박해합니까? 황소 모는 막대기를 차는 것은 당신에게 힘든 일입니다!'
@jwha
당시의 히브리사람들의 언어가 아람어였습니다.
히브리사람들이 사용하는 히브리방언 = 아람어.
류모세 선교사가 아람어를 읽고 이해할 수 있었을까요?
그냥 문자로만 보면 아람어와 고대 히브리어를 분간하기도 힘듭니다.
ㅋㅇㅋ..
According to First century Hebrew Priest & Historian Josephus, Greek wasn't spoken in first century Israel. Josephus also points out the extreme rarity in terms of a Hebrew (a.k.a Judean) knowing Greek in first century AD.
1세기 히브리 사제이자 역사가 요세푸스에 따르면 1세기 이스라엘에서는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요세푸스는 서기 1세기에 그리스어를 알고 있던 히브리인(일명 유대교인)이라는 측면에서 극도의 희귀성을 가집니다.
요세푸스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또한 그리스어를 배우고 그리스어의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나는 우리 자신의 언어를 말하는 데 너무 오래 익숙해서 그리스어를 충분히 정확하게 발음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나라는 많은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격려하지 않고, 시대의 부드러움으로 그들의 담론을 장식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런 종류의 성취를 모든 종류의 자유인뿐만 아니라 배우고자 하는 많은 종들에게 공통적인 것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우리의 법을 완전히 알고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증언합니다. 그 때문에 이 배움을 얻기 위해 큰 인내심을 가지고 노력한 사람들이 많았지만, 아직 거기에 성공하여 고통에 대한 보상을 즉시 받은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 고대 유물 XX, XI.
Josephus wrote:
"I have also taken a great deal of pains to obtain the learning of the Greeks, and understand the elements of the Greek language, although I have so long accustomed myself to speak our own tongue, that I cannot pronounce Greek with sufficient exactness; for our nation does not encourage those that learn the languages of many nations, and so adorn their discourses with the smoothness of their periods; because they look upon this sort of accomplishment as common, not only to all sorts of free-men, but to as many of the servants as please to learn them. But they give him the test
요세푸스의 생애는 모호한 점이 많다. 플라비우스 왕조 3대의 황제(임페라토르)를 섬기며 어떤 제약도 없는 생애를 보낸 것처럼 보이지만, 그를 비난하는 이들은 그가 전쟁 당시 갈릴리에서 동료들과 같이 자살하지 않고 로마군에 투항한 점, 포로가 된 후에는 로마 군과 협조한 점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하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 실제로 그러한 요세푸스 본인에 대한 동포 유대인이나 로마인들로부터의 비난, 그리고 중상모략은 그가 특별한 정치활동보다는 저술에만 몰두하게 한 요인이기도 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요세푸스를 배반자 및 밀고자로 보는 입장에서 그의 저술은 로마의 선전물 내지는 자기 변명 정도로 여겨졌고 역사가로서의 그의 신뢰도는 평가절하되어 왔다. 오늘날까지 정통 유대교도들에 의해 요세푸스는 '배신자'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도 일제 때 일본으로 전향한 학자의 기록으로 일제시대의 모든것을 제대로 기록했다고 인정할 수 있습니까?
지금 발굴되는 유물들에서 히브리어가 기록 되고 있음이 증명 되는 시대에 요세푸스는 로마인이 되어서 썼던 기록들을 절대적이라고 하는것 또한 카톨릭 관점입니다.
그당시 언어가 히브리어이든 아람어이든 뭔 상관?
예수님을 배척하고 십자가에 못을 밖았던 사람들이 이방인이었던가? 히브리어나 아람어를 모르던 사람들이었나?
이스라엘 민족가운데서 가장학식이 있던 사람들이었고, 지도자들이었던 사람들에의해서 인데
히브리어를 알고, 아람어를 안다고 깨달아지고 알게 되는 것이 아닌 것을,
성경의 최초 기록언어가 무엇인가가 왜 중요하냐면......
성경의 난제가 되는 기록들에서 헬라어사본과 아람어사본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이란다.
오직 진리는 말씀.
오직 진리는 성경.
하나의 진리를 찿아가는데 가장 급선무가
정확한 하나님의 기록이란다.
빨갱이새끼는 알 필요 없단다~~!!
@빨치산 토벌대(장민재)
모세오경을 기록 했을때 히브리어로 기록 되었으며,,,
느헤미야 13:1
그 날 모세의 책을 낭독하여 백성에게 들렸는데 그 책에 기록하기를 암몬 사람과 모압 사람은 영원히 하나님의 총회에 들어오지 못하리니
그들은 그들의 언어로 말씀을 들으면서 성전을 재건 하였는데 그 이후에 히브리어가 사라졌다고 말하는것은 모순입니다.
마카비 전쟁에서 성전 탈환 이후 헤로드까지의 역사에서 히브리어를 잃어 버렸다는 기록은 전혀 없습니다.
더군다나 상식적으로도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주신 돌판의 기록인 히브리어로 예슈아께서 오셔서 그 말씀을 가르치셨지 아람어를 썼다는 것은 로마의 종요 카톨릭에서 만든 대체신학중의 하나입니다.
@jwha ??
구약은 고대 히브리어가 맞음.
뭔소리??
구약성경 = 고대 히브리어.
신약성경 = 히브리사람의 방언(아람어)
-------
에스라학사가 성전재건때 모세오경을 낭독할 때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신들의 언어인 고대 히브리어를 70년의 포로생활로 잊어버려 아람어로 번역해주어서 읽었습니다.
(느헤미야 8장)
8 하나님의 율법책을 낭독하고 그 뜻을 해석하여 백성에게 그 낭독하는 것을 다 깨닫게 하니
@빨치산 토벌대(장민재)
대체신학이 아람어, 헬라어를 말하지만,
신약에서도 누가를 제외( 히브리어 자료를 인용했다고 말함) 하고는 히브리어로 써졌습니다.
@jwha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언어인
고대 히브리어를 바벨론 유수때 잊어버린 것은 인정하십니까?
@빨치산 토벌대(장민재)
모든 사람들이 언어를 잊어 버렸다면,
그런 사람들이 귀향 후 모세5경을 읽을 수 있었다고 봅니까?
@jwha 그래서 탈굼성경이 등장했고..
헬라어 70인억본이 등장한거입니다.
성경의 역사를 공부하는것이 우선이지요~!!
https://naver.me/5Sabns9G
@빨치산 토벌대(장민재) 사해문서에도 아람어와 히브리어로 쓰여 졌습니다.
에스더서는 2차 바벨론 침공 이 후인데 모르드개가 하만의 계략을 뒤집은 사건을 말하지요.
그때 유대인들은 엄청난 규모의 땅에 흩어져 있지만 공동체를 이루며 살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그렇게 모여 사는 사람들이 언어를 잊어 버리기가 힘듭니다.
일제때 중국으로 간 조선족들만 봐도 언어를 잊어 버렸습니까?
왕족들 귀족들이 먼저 잡혀 갔는데, 그들이 히브리어를 잊어 버렸다고 말하는것은 정말 유대인들을 우습게 말하는 헬레니즘의 사고 입니다.
지금도 유대인은 전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민족입니다.
다니엘서도 3가지 언어로 쓰였습니다. 웬지 아십니까?
특히 하나님이 봉인하라!로 하신 부분은 히브리어로 썼으며, 자기 민족들만 알아 듣고 이해하기를 원해서 입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와 언약하신 말씀의 언어를 잊어 버리게 하시지 않습니다.
언어는 그 나라와 문화와 시대를 알게 하니까요.
더더욱이 히브리어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언어입니다.
그분의 말씀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도록 잊어버렸다고 하는 헬레니즘의 사고로 여지껏 포장되어온 진실들이 지금 유물을 통해서 밝히고 계시는 하나님이 안 보이십니까?
모세가 말씀을 받을때 돌판에 기록을 누가 했습니까?
하나님께서 하셨습니다.
히브리어로!! 그렇다면 히브리어는 하나님의 언어입니다.
하나님의 언어가 소멸 되었다고 또 예슈아께서 아람어로 말씀하셨다고 하는데....
눅2:46~49
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랍비)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
그의 부모가 보고 놀라며 그의 어머니는 이르되 아이야 어찌하여 우리에게 이렇게 하였느냐 보라 네 아버지와 내가 근심하여 너를 찾았노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어찌하여 나를 찾으셨나이까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될 줄을 알지 못하셨나이까 하시니
당시 랍비들은 히브리어로 된 모세5경을 읽을 수 있었고 그들과의 대화는 말씀을 논한 것이며, 토론에 언어적, 내용적 문제가 전혀~없으셨던 어린 예슈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