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 1. 14 전북 고창~1995. 4. 17. 서울.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기·예능보유자.
본명은 순옥, 아호는 만정(晩汀).
평생을 소리꾼으로 살았던 전형적인 국악인으로 정통 판소리 보존에 앞장섰
다. 한을 안으로 삭혀낸 고고함의 정수였던 그녀의 소리는 어느 한순간에도
넘치거나 흐트러짐이 없는 절제된 예술혼을 보여주었다.
광주에서 고등보통학교에 다니던 13세의 김소희를 소리꾼으로 만든것은 당대
의 명창 이화중선이 부르는 〈심청가〉 중 '추월만정'이었다.
그녀는 국창 송만갑의 문하로 들어가 〈심청가〉·〈흥보가〉를 배웠으며,
17세에는 정정열·박동실 명창을 사사하면서 〈춘향가〉와 〈수궁가〉를,
김계문에게 향제 가곡을, 이승환에게 거문고를, 강태홍·김윤덕에게 가야금을
배웠다. 동편제와 서편제를 대표하는 스승들로부터 배운 '소리'에다거문고와
살풀이춤까지 배운 그녀는 말 그대로 사통팔달한 예인으로서 한평생을 올곧
게 살아냈다.

1936년에는 19세의 나이로 빅터레코드사에 전속되어 음반을 내기도 했으며,
1964년 12월에 무형문화재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1989년 7월 더운 어느 날, 필자는 종로구 소격동에 있는 고 김소희(본명
김순옥:1917년 12월 1일 - 1995년 4월 17일)명창의 집에서 인터뷰를 한 일이 있다. 그 때 당신은 "지금은 녹음을 해도, 기력이
딸려 힘도 들고, 만족스러운 소리가 나지 않아"라고 하시면서, 젊을 때에 녹음을 좀 더 많이 하지 못했음을 아쉬워하였다. 더 많았으면 좋겠지마는
현재 출반된 CD음반으로도 김소희 명창의 진면목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김소희 명창의 이름을 붙인 음반을 출반년도 순서로 정리하였다.
보다 중요한 녹음년도 순과는 판이하게 다르므로 별 의미는 없지만, 음반순례는 출반년도 순으로 둘러보겠다.
처음으로 지구에서 나온
'인간문화재' <박귀희·김소희> 음반은 '멸치잡이', '뽕따러 가세', '애수의 가을밤' 등 8곡의 민요가 실려 있다. 기악반주로
주로 박귀희, 김소희 명창의 중창으로 진행되는데, 목소리로 보아 두사람 외에도 여러 사람이 나오지만, 해설서에 전혀 자료가 없다. 음반의
심의번호 1989-17XX로 보아 1990년에 처음으로 소개된 것은 확실한데, 해설서 뒤에 "국악발전을 위해 평생을 바치신 대금:김광식,
해금:지영희, 가야금:성금연, 피리:이병우, 장고·아쟁:한일섭 선생님들의 영전에 바칩니다."라는 말이 있다. 반주를 이분들이 하였다면, 녹음은
훨씬 이전이 될 것이다. 확인이 요망되는 음반이다.
성음에서 나온 '판소리 명창' <김소희> 음반은 표지가 멋있었다.
전문 사진가가 촬영한 흑백사진인데, 김소희 명창이 머리를 닿고 있는, 너무나 친근감이 가는 모습으로, 당시에는 파격적인 표지였다. "이런 사진도
음반표지로 사용할 수 있구나." 이 음반에는 첫 곡으로 '구음'이 나오는데, 구음이라는 음악도 감상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음반으로, 이
이후에 많은 구음 음반들이 쏟아져 나왔다. 김덕수 사물놀이를 비롯하여 쟁쟁한 기악반주와 안숙선, 박윤초 등이 후렴 합창자로 등장하는 명반인데,
성음이 이제 판매용으로 음반을 출반하지 않으므로 이 음반은 만나기가 어려울 것 같다. '뱃노래', '상주아리랑(메나리제)', '방아타령',
'새타령'이 실려 있다. 1991년에 출반되었지만, 1989년 녹음이 확실하다.
서울음반의 <김여란·김소희 초기녹음
선집>은 서울음반이 일본 빅터사의 유성기음반 금속성 원반 294장분을 인수하여 1993년부터 복각하기 시작한 이래, "빅터유성기원반시리즈
10"번째로 출반한 음반이다. 1936년에 3월에 녹음한 음악으로 김소희 명창의 초기녹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단가 '강상풍월',
'춘향가 중 '이별가' 등 유성기음반 9면에 해당하는 판소리 음악이 실려 있는데, 유성기음반 복각이지만, 금속성원반으로 복각하여 음질이 너무
양호하다.
신나라는 필자와의 인연으로 1988년부터 국악음반을 출반하기 시작했다. 1994년 국악의 해를 맞이하여 당시에 제일
상품성이 있는 <김소희 민요1> 음반을 제작하였는데, 새로운 녹음이 아니고, 김소희 명창이 제공한 음원을 잡음을 제거한 후 다시
마스터링하여 출반했다. 기악반주로 9곡의 민요가 실려 있는데, 김소희 명창이 부르는 판소리야 말할 것도 없지만, 민요도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음반이다. 필자는 첫 곡으로 나오는 '상주함장'(연밥따는 노래)을 무척 좋아한다.
신나라는 김소희 명창으로부터 음원을 확보하여
<민요 1, 2>를 제작하기로 기획하고, 1집에 이어 2집을 출반할려고 하였는데, 2집을 제작하는 도중 1995년 4월 17일에
김소희 명창이 돌아가셨다. 음반제목을 <김소희 추모작품집 - 민요>로 바꾸어 바로 5월에 출반하였다.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
'흥타령', '농부가·자진농부가', '진도아리랑', '강강술래·자진강강술래'가 실려 있다. 듣고 있으면 가슴이 시원하다. 진도아리랑은 대금산조를
짠 박종기 명인(고향:진도)이 작곡한 것으로, 김소희 명창은 일본에 유성기음반을 취입하러 가는 배 위에서 박종기 명인으로부터 배워 진도아리랑을
처음 유성기음반에 취입하였다.
판소리계의 사표로 추앙 받았던 김소희 명창도 작고하기 전에는 제대로 된 판소리를 CD음반으로 감상할
수 없었다. 작고한 후 서울음반은 LP로 출반된 적이 있는 <춘향가>와 <심청가>의 마스터테이프을 입수하여 1995년에
함께 출반하였다. 김명환 북반주의 <심청가>는 1974년 완창녹음으로 1974년에 김소희 명창이 5장의 LP음반 사가반으로 출반(성음
제작)한 것을 4장의 CD음반으로 복각한 것이고, 김명환 북반주의 <춘향가>는 1977년 완창녹음으로 1977년에 김소희 명창이
6장의 LP음반 사가반으로 출반(성음 제작)한 것을 6장의 CD음반으로 복각한 것이다. 이 음반은 김소희 명창 회갑기념으로 녹음된 것이다.
해설서는 모두 LP음반에 실린 그대로를 실고 있다. 김소희 명창의 판소리 완창 CD음반은 이것이 모두다.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필청의
음반이다.
지구레코드에서 출반한 <김소희 판소리일생>음반에는 필자와 관련된 일화가 있다. 필자는 항상 "어떻게 하면
국악을 일반인에게 가깝게 할 수 있을까?"하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도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국악을 좋아할 확률이 높을 것이다라는 판단 하에,
음악잡지 <객석>의 부록으로 김소희 명창이 부른 판소리음반을 출반할 예정으로,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원들이 가지고 있는 유성기음반 자료
중에서 발췌하여 객석(1996년 당시 양영찬 기자)에 제공하였다. "국악음반 부록이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라는 객석 의사 결정권자의 반대로
반려가 되었다. 그 때에 들인 노력이 아까워 지구레코드에 다시 출반 제의를 하였다. 지구레코드는 한국고음반연구회가 제공한 음원(유성기음반 8면,
판소리 및 민요)과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김소희 명창의 음원(단가 편시춘, 역려과객, 춘향가 중 오리정 이별, 흥보가 중 박타령-돈타령)을
합하여 <김소희 판소리일생> 음반을 출반하게 된 것이다.
이 외에 지구레코드의 <단가집 2>(1969년
녹음. 1996년 출반)에는 <김소희 판소리일생>에 실린 '편시춘', '역려과객'이, 김소희·지영희·성금연·김윤덕 <카네기홀
공연기념>(1972년 국내녹음. 1995년 출반>에는 <김소희 판소리일생>에 실린 '흥보가 중 박타령-돈타령'이 김윤덕
명인의 북 반주로 실려 있고, 1972년 김소희 명창일행이 미국카네기홀 공연을 마치고 현지에서 녹음하여 논서치 레코드의 Explorer
Series로 출반된 <Pansori Korea's Epic Vocal Arts and Instrumental Music>에는 흥보가
중 '박타령'과 심청가 중 '범피중류'가 들어 있는데, 이 음반은 1994년에 Warner Music Korea의 이름으로 국내에서 출반되었다.
국악보급진흥회에서 출반된 <한국의 전통음악> 40장 전집 중의 <춘향가> 4매, 신나라 <SP시대의 판소리 여류
명창들 1>(1994년 출반), 창극음반, 민요음반 등에서 김소희 명창의 이름을 확인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녹음인
<한국전통음악대전집>(문화재보호협회 제작 1981년)과 <국악의 향연>(중앙일보 제작 1988년)에 수록된 김소희 명창의
<춘향가> 음반(7LP. 1976년 녹음. 북:김명환)이 CD음반으로 출반되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음반제목
출반사(음반번호) 출반년도 비고
- 인간문화재 <박귀희·김소희> 지구레코드(JCDS-0103) 1990
- 판소리명창
<김소희> (주)성음(CDS-0019) 1991
- 빅터유성기원반시리즈10 판소리 인간문화재
<김여란·김소희
초기녹음선집> 서울음반(SRCD-1135) 1993
- 인간문화재 <김소희 민요 1> 신나라(SYNCD-076) 1994
- 인간문화재 <김소희 추모작품집 - 민요> 신나라(SYNCD-077) 1995
- 김소희
<심청가>(4CD) 서울음반(SRCD-1299/302) 1995
- 김소희 <춘향가>(6CD)
서울음반(SRCD-1293/98) 1995
- <김소희 판소리일생> 지구레코드(JCDS-0530)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