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소영_절대주의자의 복도 Supremacist's Corridor_잉크젯 프린트_110×85cm_2010
공간의 사유를 공유하는 공간으로서의 미술관 ● 이소영은 공간을 사유한다. 그녀가 사유하는 공간은 작업실이나 집과 같이 사적인 공간일 수도 있고 도서관이나 미술관과 같은 공공적인 공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공간 모두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모습이 아니라 작가의 마음속에서 설계되고 배치되어 무대나 영화 세트장처럼 보이기도 하고 실제보다 단순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공간구조는 축소모형으로 만들어져 사진 속에 담기거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디자인 된다. ● 작가가 이러한 공간에 탐닉하게 된 것은 늘 벗어나고 싶어 하면서도 다시 되돌아오곤 하던 일상의 중심으로서 자신의 집을 대상화하여 바라보면서 시작되었다. 실제와는 다르게 디테일한 일상의 물건의 배치가 생략되고 푸른색이나 붉은 색으로 단순화된 공간이지만 그곳에서는 작가가 분주한 한낮의 부유하던 기억을 떠올리게 해주기도 하고 푸르게 가라앉은 공기를 호흡하는 듯한 새벽의 상상을 피워 올리며 낯과 밤, 내부와 외부, 이쪽과 저쪽, 죽음과 삶 같은 수많은 개념의 대립과 충돌을 목격하게 만들기도 한다. 말하자면 이소영이 창조해내는 공간은 작가에게 객관성을 가진 구조적 사실이며 그 안에 담겨있는 경험과 기억은 개인의 특정한 정서가 개입되는 주관적인 현상으로서 결국 한 공간 안에 주관성과 객관성이 나란히 등가치한 요소로서 공존하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다.
-
- 이소영_살로메 Salome_잉크젯 프린트_220×130cm_2009
원래 조소를 전공한 이소영에게 독립된 오브제로서의 조각이 아니라 건축적 공간 안에서 입체적 시각과 상상력을 개입시키는 작업을 가능케 한 것은 유학시절의 지도교수의 영향이 컸다. 독일 뉴렌베르그 조형예술대학교의 휄징거(J. P. Hlzinger) 교수로부터 지도를 받은 이소영은 5년 넘게 장소를 바꿔가며 건물의 모형을 제작하고 그 속에 담긴 공간을 관조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왔다.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야기되는 공간의 모습과 실제의 공간 사이에는 그 비례와 규모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화면 속의 공간은 객관적 사실성이 모자라지만 작가의 주관적인 기억과 경험을 반추하고 시공을 초월하는 상상을 펼쳐 나아가기에는 더 없이 적절한 공간으로 드러난다.
-
- 이소영_초현실적인 집 Surrealistic House_C 프린트_160×351cm_2009
-
- 이소영_이상 도시 Dream City_잉크젯 프린트_103×134cm_2010
이번에 출품된 작품들은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 가운데 작가가 개인적으로 머물렀던 경험이 있는 영은미술관이나 환기미술관처럼 미술관이라는 공적인 공간을 선택하여 그 안에 작가 본인이 인상 깊게 보아왔던 서양미술사 속의 유명 작품들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들이다. 이제까지 작가가 몰두해왔던 공간에 대한 탐구와 그 공간에서 연상되는 개인적인 경험과 갈등의 차원을 넘어서서 이제 작가는 이러한 작품을 통하여 좀 더 중립적으로 공간을 바라보며 또 다른 차원에서의 공간 인식과 그 공간 속에서의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담하게 풀어보고자 한다.
-
- 이소영_Fluxus Pool_플래시 무비_2010
이처럼 작가의 새로운 자신감과 기대로부터 출발한 이러한 작품들에서 우리들은 이소영의 이전 작품에서 드러나는 신비적이고 명상적인 아우라를 유지한 채 좀 더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미술사적 맥락을 읽어내거나 작품의 형식미를 음미할 수 있게 된다. 작가는 미술관을 작품이라는 상황이 지배하는 상당히 다층적인 공간으로 해석한다. 다시 말해서 공간 그 자체가 중립성을 유지한 가운데 작품의 색깔에 따라 그 공간은 자체의 성격을 스스로 규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소영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각각의 작품과 그 작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만날 때마다 다른 모습을 드러내는 미술관의 의미를 천착하는 것이다. ● 이소영이 제시하는 미술관 공간은 현실의 공간으로부터 출발한 일종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공간으로서 몽환적이면서 종교적 숭고미라고 할 수 있는 느낌마저 자아낸다. 그리고 이러한 느낌은 부분적으로 작가가 선택한 청색이나 붉은 색의 단색으로 지배하는 화면의 색상으로부터 나오기도 한다. 그러한 공간 안에 배치되는 미술사 속의 거장들의 작품들은 이소영의 손에 의해서 원본에 함축되지 않은 새롭고 현대적인 맥락성(context)을 획득한다. 미술사 속의 거장들의 작품에서 발췌된 이미지들이 그 스케일을 달리하여 화면에 배치되고 마치 무중력 상태처럼 화면 속에 떠있는 이소영의 화면 속 공간은 관람자들로 하여금 상상력을 펼치며 그 속을 떠다니면서 원본의 의미와 조형적 형식미를 다시 한 번 음미하게 해준다.
-
- 이소영_Spaceless Space_디지털 프린트_350×210×300cm_2010
-
- 이소영展_갤러리 그림손_2010
이번에 출품되는 10 여 점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작가가 직설적이고 사실적인 경향보다는 개념적이고 상징적인 경향의 원본 작품들을 자신의 공간에 도입하려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엘 그레코, 구스타프 모로, 카스퍼 다비드 프리드리히, 살바도르 달리, 마르셀 뒤샹 등으로 이어지는 화면 속의 이미지들은 종교성이나 여성성을 드러내기도 하고 환상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단초로서 이용되기도 하는 것 같다. 이러한 작품들은 작가와 관람자가 상상과 추억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하여가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이번 전시를 통해 이소영은 지난 수 년 간 천착해 온 공간의 의미와 그 안에서 우러나는 죽음과 삶, 이편과 저편 같은, 우리 삶의 커다란 명제들의 개념 대립과 충돌에 대한 사유에서 벗어나 좀 더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공간을 바라보면서 그 안에서 사람들 사이의 소통의 실마리를 이끌어내고자 하고 있다. 그러한 시도의 도구로서 이소영은 자신이 의미 있게 바라보았던 미술사 속의 거장들의 작품 이미지들을 화면에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관람자는 이소영이 전개하는 전시장 공간 안에서 다시 개별 작품 속에 제시하는 미술관 공간으로 인도되어 이들 작품과 만나면서 작가와 함께 경험과 사유를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 하계훈
Vol.20100625d | 이소영展 / LEESOYOUNG / 李昭暎 / mixed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