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대행 체제'는 부담? 野, 최상목 탄핵 대신 고발키로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공격 수위를 조절하는 모양새입니다.
민주당은 최 대행의 정치 문제
'불개입' 기조는 직무유기라면서도
즉각적인 탄핵 추진 대신 고발 조치로 대응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 입장에서도
'대대행(권한대행의 대행) 체제'를 넘어
'대대대행 체제'를 만들기란
정치적 부담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앞서 민주당은 최 대행이 불개입 기조를 내세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 요청에
침묵했다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지난 6일 비상의원총회에서
"대통령 직무대행의 질서파괴행위,
제2 내란 행위에 대해서 우리가 엄정하게
책임을 물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대표는 "법원이 정당하게 발부한 영장에 의한
체포 집행을 경호처가 심지어 무장까지 해가면서
무력을 동원해 저항하고 있는데,
제지할 책임이 있는 직무대행이 제지를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지지하거나 지원하지 않는가 하는
의심이 든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민주당 내란극복·국정안정특위는 7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한남동 관저에 경찰 추가 배치 검토
▲박종준 처장 등 대통령 경호처 고위 간부 미조치
▲내란 상설특검 후보자 미추천
▲국회 몫 마은혁 헌법재판관·
마용주 대법관 미임명 등을 지적하며
최 대행을 직무유기 혐의로 고발했답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최 대행의 거취를 두고
고심을 거듭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최근 민주당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통령·국무위원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7차례나 추진한 바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이 대표가 직접 '내란 행위'를 지적한
최 대행도 탄핵 추진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민주당은 탄핵 대신 직무유기 고발을 선택했답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민주당도 최 대행 탄핵에 따른
정치적 혼란은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대대행 체제도 이미 과하다는 비판이 나오는데
대대대행 체제 그 이상은 무리가 아니겠나"고
말했답니다.
민주당 내에서도
최 대행 탄핵에 대한 입장은 갈리고 있습니다.
추미애 의원은 지난 6일 중진 의원 간담회에서
"국회는 국정 정상화를 위해 최 대행에 대해서
형사고발뿐만 아니라 탄핵이라는 국회가 가진
국정 정상화를 위한 마지막 수단까지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답니다.
반면 박지원 의원은 이날
"우리 민주당에서 최 대행에 대한
탄핵을 이야기하는 건 성급하다"며
"최 대행이 2명의 헌법재판관을 임명해서
8인 체제로 만들어준 것은 인정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친명계(친이재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은 7일
채널A '라디오쇼 노은지의 정치시그널'에 출연해
"최 대행마저 탄핵한다면 여러 가지 국정 운영에
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지 않겠나.
그런 우려를 하는 분들이 더 많다"면서도
"다만 최 대행이 지금 국정 안정에
가장 큰 키를 잡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민생 안정을 위해
신속하게 윤 대통령에 대한 사법 처리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