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것을 한국과학은 광자 라는 한국용어를 선택하였다. 햇빛이나 빛이 빛광을 사용하므로 광자를 사용한 것이고, 이것의 하나 단위이 이므로 빛광의 아들...광자로 번역하였으리라.
그렇다면 사진효과라는 용어가 아닌 광자효과를 사용하였으므로, 사진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어내기 보다...사진은 광자에 의한 감광효과 이므로...광자라고 했어야 한다. 빛과 전혀 어울리지 않은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한국과학이 뒤죽 박죽이 되어 버렸다.
이 글을 꾸준히 읽어 왔다면 왜 평생학습을 해야 했는지 이유를 알것이다. 한국과학의 광자효과의 해석에 믜문이 생겨서 전기입자를 찾기 시작한 것이다.
햇빛은 물분자의 수소원자의 2개가 기본 수소+수소, 수소+수소중성자, 수소중성자+수소중성자 반응을 통해서 만드는 햇빛이고, 이것은 [헬륨]의 핵자에 속하는 1fm에서 출발하는 햇빛이 된다. 오전글에서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간의 간격이 0.000 307fm이라는 사실을 밝혀 냈다. 즉...물분자의 수소 원자가 전자 궤도 자체에서 햇빛의 핵융합을 하였다면 출발할때 햇빛의 기본 파장은 1fm이 아니라 0.000 307fm이어야 한다. 그럼에도..1fm에서 출발하는 햇빛의 최소 파장이다. 이것의 의미는 [헬륨]핵의 내부의 수소원자들이 결합되는 곳에서 원자 1837+전자 1eV/c2가 순차적으로 수소 원자 질량이 되는 핵융합만큼 방출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래서 햇빛의 하나개의 길이에 전자 갯수 511 000eV/c2와 원자 쉘 1837+1eV/c2=1836eV/c2가 방출되는 모두를 가만해서 그 흔적을 찾아 왔다.
햇빛은 핵융합의 조건이 연속되어 져야 한다는 기본 전제를 갖는다. 그러므로 [헬륨]핵결합후에 다시 핵분열되는 중력전하를 핵융합 플라즈마에서 곧바로 흡수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재차 핵융합을 하던가 지구에서 처럼 탄소 화합물이 연료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렇게 핵융합을 태양에서 한다면 지구에 도착하는 햇빛기준으로 3~4초에 수소 원자 질량에 해당하는 분량이 도착을 하게 되므로...
지구 흡수율이 100%가 아니라도 태양의 질량은 줄어들고 지구의 질량은 커져야 한다. 그럼에도 45억년이 흐르는 동안 태양의 질량이나 지구의 질량에는 별 변화가 없다. 즉...태양에서의 핵 융합의 연료는 지구의 중력 자기장인 전하라 할 수있다.
2π파장을 가질때는 이동하는 빛의 상태이고, π일때는 출렁거리면서 안정화되는 물분자의 전하의 기본 속성이다.
이 이동하는 햇빛의 파장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기본 직경의 크기를 맞춰야 하고, 그래야 햇빛 하나의 입자를 2개의 전하로 변환하여 지구의 물분자가 흡수할 수있다. 태양에서의 핵융합에서는 이 역할을 플라즈마의 핼륨원자가 핵융합 합성뒤..질량이 감소한뒤에 태양 플라즈마의 회전을 갖는다. 즉..햇빛을 방출한만큼....큰 헬륨원자도 회전하는 상태의 방사능이 되고....이 헬륨의 플라즈마가 태양의 플라즈마를 형성하고...이 플라즈마에 맞는 지구에서 이동한 지구자기장이 여기서 대량으로 헬륨방사능에 의해서 지구의 물분자처럼 지구 자기장의 직경을 맞추고...전하 2개의 상태로 흡수를 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 단위를 곧바로 흡수한다면 지구에서 생성하는 기본 단위가 전하는 물질에서 전하로 존재하고 지구 대기압 조건에서 자연방출이 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럴 일은 애초에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에 햇빛과 빛은 2π파장으로 모나미 볼펜 스프링 회전의 상태로 광속을 갖고..직진을 주로 한다. 일부분 휘기도 하고,,,굴절도 되지만...일부분이고...이렇게 직선에 가까운 이동을 하고....이 햇빛이 2개의 전하로 나뉘면 광속의 이동하는 힘이 부족하고 최대의 속도가 빛의 1/2속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이 전하 2개가 결합하면 빛이 되므로...어차피 속도의 차이가 나더라도 빛의 갯수에는 변함이 없다.
그리고 중력전하는....지구의 물분자로 저장되어서 외부의 촉발이 없으면 수소 원자의 전자와 함께 회전을 하는 상태....즉..제라리 회전을 하는 특징으로 나뉜다.
빛을 직선으로 표현해서 광속으로 언급하는 것은 잘못된 빛의 속성의 시작이고 대부분 한국과학에 기술되어져 있다.
빛은 직선의 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모나미 볼펜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제라리 회전을 하느냐와 이동을 하느냐의 두가지 모습을 가지고....직경이 커지면 지구에서의 무선 전파의 모습이 되고...나머지 전하는 질량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이동을 한다.
햇빛은 1838개가 한묶으로 움직여도...기본 전하가 8개가 뭉친 상태이므로...전자 기준으로는 4개....가 된다. 1838/4=459.5개의 상태의 eV/c2를 갖는다. 이렇게 하면 햇빛의 한줄기 묶음의 길이는 500nm x 459.5=229 750pm=229. 750um의 길이를 갖는다. 이것이 헬륨 핵융합시에 햇빛으로 방출되는 입자들이 서로 연결이 되면 6.6m길이를 갖는 것이고...기본 갯수 1838개 기준이라면 229.750um의 길이를 갖고 지구에 도착하는 것이된다. 파장은 500nm를 사용해서 계산한 값이다.
아마 오늘 계산한 것이 맞을 것이다.
오전 10:05분...
물분자의 수소 원자가 3개의 퀘크로 나뉘는 것은 proton부터 이므로....[헬륨]의 핵융합까지는 중수소 결합이지 삼중수소 결합이 아니다. 즉...헬륨까지는 2개로 나뉜다. 수소 원자가 물분자에서는 하나의 전자 고리를 갖고, 헬륨에서는 2개의 전자고리고로 바뀐상태 즉...255 000 x 2의 상태까지 진행을 하는 상태이므로...물분자의 산소원자에 수소 원자의 결합은 산소원자의 전자수소와 수소 원자의 결합은 1/3의 기본 결합을 한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가 3중 결합을 해야 비로소 3개의 쿼크로 나뉘므로...물분자에서는 수소 원자가 2개....즉....최대 수소 중성자 변환을 해봐야 중수소 변환인데, h3o가 성립이 될때는 제한적으로 삼중수소로 바뀔수가 있고, 이때 쿼크구조로 바뀐다.
511 000개가 두번 꼬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어제 글에서 언급을 했고, 어제 밤새도록 이것의 의문을 꿈속에서 풀었는데 ... 기억나지 않고, 오히려 편안한 백지 상태의 깊은 잠을 청햇다. 원래는 미해결 문제의 경우 밤새도록 끙끙거리며, 신체가 아픈 상태까지 가고, 그렇게 아침을 맞으면 피곤한 상태가 되는데 어제밤에는 편안히 잤다. 즉...이미 풀려진 것이고, 그 결과물이 이 추가되는 글의 내용이다.
드디어 쿼크 proton과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차이를 구분할 수있게 되었다.
중수소 결합까지는 수소 원자가 2개로 나뉘는 변환까지를 한다. 그래서 중수소가 핵분열을 해서 다시 수소 원자가 되면 다시 하나의 전자 궤도만 가진 수소원자가 된다.
이것은 핵융합 발전소에서야 중수소의 2개의 전자고리가 유지되는 중에너지 상태를 가질수도 있갰지만, 원전 마피아들에게나 중요한 영역이고, 물분자의 전류의 입장에서는 그냥 자연현상의 일부에서 바닷속 화산 열수공의 흔하지 않지만, 일어나는 하나의 부분적인 현상인 것이다.
그간 물분자의 산소 원자의 전자수소의 상태에 대해 의문을 품고, 쿼크 이론을 적용해 봤지만, 도대체 이해가 안되서 미루고 미루고를 했다. 결국은 물분자의 수소 원자는 하나의 전자고리 상태일 뿐이고, 산소 원자의 proton은 3개의 쿼크상태가 되는 것으로 정리가 되어가고 있다. 그래야 물분자에서 수소 원자를 기본적으로 떼어내는 한국과학의 이온화 에너지를 구할 수가 있게 된다.
액체의 물에서와 기체의 수증기에서 물분자의 수소원자를 떼어내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것은 석유합성 공정과 촉매 반응에서의 결정적인 차이를 갖게 한다.
물분자의 산소 원자 proton이 수소 neuton과 결합을 해야 하므로 한쪽 쿼크는 수소 중성자와 결합하는 결합에너지가 되고...나머지 2개의 쿼크로 물분자의 수소 원자와 결합을 하므로 삼각형 뾰족한 모서리에 도넛의 수소 원자가 안착한 형태가 그려진다.
즉....산소원자으 proton은 340 666eV/c2의 상태로 물분자의 수소 원자와 공유결합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강하게 공유결합을 할때는 340 666개의 수소 원자가 공유결합을 하고, 약하게 공유결합을 할때는 170 333의 상태로 공유결합을 한다. (이것을 한국과학처럼 전자 공유결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음을 구분하라)
이 사실에 의하면 물분자의 수소결하이 곧바로 이해가 된다.물분자의 수소결합이 성립하는 기본조건은 물분자의 수소 원자가 산소proton에 2개인 340 666의 공유결합을 하므로....나머지 170 333의 전자의 힘이 남는 상태가 되므로...이웃하는 물분자는 수소결합의 힘으로 1/3을 소모하여 수소결합을하는 것이다. 그래서 물분자의 공유결합 길이는 95.84pm인것이고...물분자의 수소결합 길이는 이보다 약간 180pm이 수소결합의 길이가 된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는 산소원자에 공유결합으로 2/3의 전자를 공유하고, 수소결합으로 1/3의 전자를 수소결합한다.(한국과학의 절반의 전자 공유결합과 무엇이 다른지 확연하게 구분이 갈것이다. 한국교과서 내용으로는 절반의 전자가 공유결합에 참여하면 수소결합으로 절반으로 당기게 되므로 수소결합 길이가 180pm이 아닌 95.84pm이 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산술을 틀리게 해석한 결과물이다. )
쿼크이론을 시작하는데 물분자의 공유결합과 수소결합의 문제가 풀렸다.
거의 보완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물분자의 수소 결합에너지가 170 333eV/c2라는 소리가 된다....공유결합 해지 에너지는 340 333eV/c2라는 소리가 되고...
물분자가 1000개로 7nm의 원형의 축구공 상태를 액체의 물과 수증기의 액체의 상태를 가지므로 곧바로 위의 전하를 투입한다해서 물분자의 수소결합과 공유결합이 해지가 되지 않는다. 결국...물분자의 공유결합과 수소결합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물분자 1000개의 일원으로 참여를 해야 하고 물분자의 10%의 혼합된 상태에서 물분자의 일부를 수소결합 해지....공유결합 분리가 성립되는 것이다.
비금속인 탄소와 ..나트륨,규소, 그리고 철의 함량에 의해서 기본적인 물분자 1000개의 거동이 결정된다.
마그네슘도 육지에서 꽤 많은 비율이고, 칼륨또한 그러한데...이것을 추가하면 대책없다.
물분자 상태에서 전하를 흡수하면 산소가 저장할 마땅한 공간이 없어지고, 수소 원자를 통해서 전하들이 이동을 하고..산소원자는 직접적인 전하를 저장할 공간을 갖지 않는다. 수소원자의 전하가 완충이 되어야 독립적인 전하공간을 가질수가 있고. 결국 물분자 상태에서 전하 충전은...수소원자에 전하를 충전하고, 나머지를 산소 원자에서 전하 충전이 된다. 이것이 물분자 단독이 아닌 물분자 1000개에서 기본적으로 이뤄지게 되므로....다시 산소원자의 전하는....탄소원자에게 우선 빼앗기는 구조가 된다.
즉...물분자에서는 전하 궤도가 수소 원자의 전하궤도와 물분자의 통합 전하궤도 이렇게 두가지가 존재한다.
대신에 지구에서 전력에 의한...빛과 무선전파는 기본 갯수가 1838개 근처이냐와....511 000개가 한묶음이냐로 나뉘는데...
이 기준을 독일과학은 친절히 분류해 놓았다. 헬륨은 강한 핵 상호작용의 결과물이고...전력의 전하는 핵상호 작용은 못하므로..
511 000 x 511 000결합에 의한 결과물이라고....
햇빛이나 무선 전파의 파장으로 빛의 결합을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압력이 필요하다.
질량에 의해서 주어지는 상태가 되므로....강한 햇빛을 만들기 위해서는 태양의 크기가 커야 한다. 특수 조건이야 있겠지만...말을 늘리는 이론인 것이고...이동하는 속도가 광속이므로 광속이 되기 전에 전하 2개를 원하는 만큼 결합을 시켜야 한다.
그 결합을 시키는 방버은 플라즈마인 것이고. 기본 플라즈마의 크기를 보면 생성되는 빛의 세기를 짐작할 수있다.
이렇게 성공한 것이 1890년까지의 형광등인 것이고...511 000 x 511 000을 결합시키면...261 121 000 000개의 photon 이 파장에 상관없이 생성이 된다. 511 000를 1eV로 축약을 하던 말던...
2조개의 photon이 생성되는 것을 알았다면 이것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그 용도를 찾아봐야 할 것이다.
그래서 처음에 라디오 전파와 레이다 용도로..사용을 하면서 ... 컴퓨터 영역으로 세분화가 된다.
물분자의 전하 2개 단위로 2조개의 photon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그냥 낭비만 하겠는가?
한개의 photon은 360도 회전을 3.14159 내외의 진동을 한다. 안정을 하면 360도 회전인데..전자 궤도를 돌아야 한다.
즉..필요한 것은 출렁이는 전하가 필요하고 이것의 진동수는....컴퓨터와 통신의 진동수를 제공을 한다.
그냥..이 이론은 1890년의 여기까지의 이론 검증으로...하고..
더 검증해봐야 속만 아프지....
차라리 열교환기를 만들어서 지열 발전기에 부착하는 것이 자급자족 에너지 구축에 유리하다.
세계인과 교류는 이처럼 컴퓨터 정도로 이용하고 , 가족간의 이야기야 전화로 대신하면 되니...
무슨 천재도 아닌 입장에서 피터지게 검증을 할쏘냐...
기초 검증만으로도 지금의 현재 산업 기술에 나서지만 안을 뿐...
나중에 필요한 한국사람이 기초 물분자 전류를 이용해서 알아서 하겠지...
요즘 한글로 변환된 독일자료나 중국 자료를 한국과학의 전자 용어가 나오면 대부분 전하로 바꾸어서 자료를 읽느라 두배로 자료를 읽기가 힘들어 졋다.
본래의 기초이론을 이해하는 것도 벅찬데, 그동안 잘못된 번역이라 지적한 부분의 용어를 바꾸어서 받아 들여야 하니 여간 고역이 아닌 것이다.
광전효과를 photon으로 바꾸기만 하는 것으로 이 부분은 이곳 카페를 시작하던 기초 용어이므로 광전효과가 아닌 photon효과로 바구어서 글을 읽어야 하니...여간 고역이 아닌 것이다.
오후 9:52분
독일어 위키백과 사진효과 철자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photo elektrischer Effekt) 가 된다. photon의 양성자이므로..양성자에 전자의 충전이 이뤄지는 것을 직접 단어로 표현해 놨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 기준으로 변경을 하면 (1837.668 x 511 000eV/c2=939 048 512eV/c2)-->1838.668 x 511 000eV/c2로 바뀐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있다. 수소 중성자 변환이 아닌 1838.668x 511 000eV/c2이고...이것은 물분자의 1000개에 갇힌 co2의 탄소가 물분자의 수소 2개를 빼앗가면서 ch2로 변환하면서 변하는 1838.668 x 511 000eV/c2이라는 사실이다. 탄소 원자의 전자 수소 2개가 이렇게 변환을 한다. 이사실을 어딘가에 언급을 해 놨는데 위처럼 표현하는 자료를 직접 찾지를 못했다. 석유변환에 관련된 것이라 이 자료가 어디에도 없다. 이것이 원래는 원유의 유정에 석유가 모일때 일어나는 반응인데, 이후에 석유의 합성에서 촉매를 통해서 이 보편적인 화학반응을 한다. 수소 중성자 변환보다 탄소 원자에는 이 변환을 하는 것이 특이점이라 할 수있다. 공정을 조금 잘못하면. 질소원자가 될터인데..처음에는 이렇게 합성을 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정교한 촉매 작용 온도를 찾아 냈을 것이다.
산소 원자에서 이것을 적용하면 플로오르를 인위적인 합성을 하는 방법일 것이다. 그래서 냉매로 대량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영어권과 프랑스에서 공개한 자료들은 그저 수학의 방정식의 말장난 과학을 일삼다 보니..이제는 아예 독일 자료와 노르웨이 자료 ...그리고 중국 자료 정도로 순환을 한다. 소련은 아직 편차가 심해서 전체적인 이론을 구성하는데 활용할 수가 없다.
자료 모두를 모았을때...일정한 과학의 흐름이 나오게 되므로 무작정 이것저것 같다 붙일수가 없다.
원자든, 분자든 그 단위개가 500pm이하라서 단독반응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최대한 원료를 정제하여 사용은 하지만, 반도체 공정에서도 nm수준인것을 가만한다면 1nm이하의 단독 반응은 없다고 봐야 한다.
즉..이론 검증이 되고 산업화가 되면 곧바로 모방생산이 되는 이유가 이때문일 것이다.
기초 이론가 한명이 나오면 국가 단위의 상위 전체가 공유하는 형태로 산업 기술을 순식간에 공유하여 독점해 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국가간의 과학자들의 아귀 다툼에 해당한다.
한국과학의 성토를 지나오니...이제 한국과학에서 왜곡된 용어를 본격적으로 그동안 검증한 내용을 밭탕으로 하나둘 대체를 해서 읽는데 ,.. 참 고역이다. 오랫만에 관전효과 자료를 검색하는데 .. 머리가 지끈거려서 아예 독일권 위키백과 기초단위 검색으로 오후의 시간을 보냈다.
대부분의 한국과학의 전자 용어를 전하로 바꾸어서 읽는 것일 뿐인데, 그동안 이해하지 못하던 부분의 상당수가 빨리 이해가 된다.
전자는 원자 시스템과 완전히 분리가 된 상태이고 전자가 움직일때는 핵반응을 동반하는 영역이어야 하고...이것이 전력의 이론에서 고전압 영역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영역은 아니다. 전력으로는 핵융합,핵분열의 개인 실험도 가능할 정도의 전압을 제공하므로.. 이것까지 가만을 하면 .. 주어지는 자료 절반도 이해를 못한다.
이제는 자료가 주어져도 이해를 못하면 그냥 읽고 다음을 기약하는 부분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무한정 평생학습을 하는 것만은 아니기에 ... 자급자족의 틀에서 최대한 시간 배분을 해야 하므로 잡다한 용어들은 이제즈음에는 그냥 지나쳐 가야 하는 싯점이다.
지열의 지표수 난방과 주택 단열을 중심으로, 약간의 연료정도인데 이 부분은 분젠버너와 응축보일러로 거의 최고의 기술력이 검증되었다고 볼수가 있다. 차라리 이상태라면 기본 음식 재료와 빵에 대한 부분으로 시각을 바꾸는 것도 괜찮다.
먹을 수있는 것과 전해질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고, 내 자신이 하루에 일용하는 기본 식재료가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어느정도의 결합을 시키는 것도 괜찮다고 볼수가 있다.
오늘은 빵을 만들면서 설탕의 양을 조금 늘렸더니 .. 물을 없이 천천히 간식 대용으로 괜찮다. 쿠키와 식빵을 하나로 뭉친듯한 모습이다. 중력분이 남아서 절반 절반 섞었더니..부플어 오르는 것이 약간 부족하다.
빵의 장점은 여분의 식량을 밥하는 노력보다 절반 정도의 시간을 절약해 준다는 점이다. 추가되는 것은 종류가 많겠지만,
담백한 것 위주로 할 뿐 빵에 계란 넣는 것마져.. 좀 그렇다.
1um~1000um 입자 상태인데...아직 정확한 밀가루 구분은 못하고 있다.
photon 에 전하를 어느정도 넣다 빼야지 색깔을 가지는지 그 자료가 방대해서 천천히 검증하기로 한다.
참.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하 크기와 산소 원자의 전하 크기....에서 산소 원자가 쿼크 구조를 갖게 되면 산소원자의 전하 궤도가 수소원자 직경 궤도 크기만하게 전하량 만큼만을 가질수가 있다.
그리고 물분자의 수소 원자는 하나의 전자 궤도를 갖는 것과 두개의 전자 궤도...그리고 세계의 전자 궤도인데 이때에 쿼크이론이 적용이 된다.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를 대입해서 .. 이론을 들여다보는데....수소 원자 자체가 아예 쿼크 구조까지 왔다갔다 하면서 결합을 하는 듯하다. 수소 원자는 메뷔우스 고리를 만들어서 2개로 분화하기는 쉽다. 이것은 아마도 수소 원자 시스템에 사과 모형의 씨부분에 511 000개가 적층이 되려면 뫼비우스 회전을 가져야 사과 모형의 시스템을 원할히 가질수가 있다. 즉....수소 내부에 2개의 쿼크 단위로는 손쉽게 분화가 되는데...문제는 2개에서 3개의 쿼크 단위로 나뉘어지는 과정이다. 뫼비우스에서는 2개의 분화가 쉽다. 그런데 이것이 3개 분화를 3등분으로 하는 것이 마땅히 떠오르지 않는다.
쿼크 구조는 어차피 수소 양성자부터가 해당이 되므로....핵융합 과정에서 이것이 만들어진다 하더라도...애초에 수소 원자가 3개의 쿼크구조로 통일이 되어 있다면 모를까...물분자의 수소 원자는 3개의 쿼크 구조가 아닐 확율이 높다.
그간의 검증한 과정에서의 물분자의 수소 원자 궤도는 하나라고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잠적인 개인의 판단이다.
우리 인간의 신체 구조를 볼때...물분자의 수소 원자가 쿼크 구조를 갖는다면 모서리가 뾰족한 고체를 갖는 것이 특징이고...탄소의 다이아본드...와 규소의석영이 이 결정구조를 빈번하게 갖는다.
오랫만에 광전효과 자료여서 그런지 생소한 자료라는 느낌이 들었다. 오랫만에 독일권의 5분전 편집이 우연히 맞닦뜨린 것인데...노르웨이 자료가 짧지만 핵심을 잘 정리해 놨다.
군더기가 없지만, 이곳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이론들을 편집해 놓은 것이다.
ㅇ오전 9;03분
photon,proton이 아직 헥깔린다. 양성자, 광자의 한국과학이고..여기에 양자의 원자와 분자 거동이 혼재해 있기 때문이다.
독일과 영어권에서는 photon으로 어느정도 정리하고 있는데, 한국과학에서는 이 광자의 용어 때문에 가로 막힌다.
광자의 에너지가 2.2ev이고...이것은 독일권이고, 영어권은 2eV로 표기하고 있고, 이것은 511 000eV/c2의 빛의 하나 단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용어를 1905년에 아인슈타인이 썻다는데, 그렇게 호응을 받지는 못했지만, 힘의 논리에 의해서 억지로 한국과학에 번역된 용어라 할 수있다.
2.2x 511 000eV/c2가 옳은 표현이 될것이다.
사진효과는 필름의 사진효과와 더불어서 자석에서의 히스테리시스에서 시작되어서, 현재의 반도체 기억소자의 기술과 LED텔레비젼의 색 조합에 쓰이는 기술이다. 히스테리시스가 발견된 것이 전자기 유도 부분부터 이므로....1770년대부터 검증되기 시작해서 1830년대에 히스테리 시스 용어로 자리했고, 이후에 1905년에 사진효과의 이름을 가졌을 뿐이다.
빛이 광속을 가지므로 빛이 전하 2개로 나뉘어서 물분자에 저장이 되면, 전하의 속도는 1/2이 되므로 기준 최고 속도가 15만 km가 되고...최저 속도는 15만km/3.14159=47 746km 를 갖는다.
이동거리가 아님을 구분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과학에서 국제 표준에서 사용되는 7개의 단위의 속도에 속력이라는 영어 말장난을 번역을 함으로써...속도와 관련된 수치는 절반의 기본 신뢰도를 갖는다.
국제 단위에서 가장 신뢰되는 것은 길이m와 질량kg 이다.이후에 5가지는 길이와 kg의 파생형이라 할 수있다.
정의된 상수가 뭐그리 많은지...정말 유럽은 사소한 것 모두를 물분자의 관점에서 하나하나 찾아내서, 미래를 위해서 수와 방정식으로 거의 모두를 만들어 놓았다. 동양에서 이를 따라가기가 어렵다면...차라리 물분자 기준에서 물분자와 관련된 수와 방정식을 한국과학에 맞게 재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은 물분자 전류의 기본 이해에서 시작되므로 물분자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하나하나 풀어서 이것을 체계화하는 것이 급선무가 된다. 어차피 검증해 놓으면 유럽과학과 엇비슷하겠지만, 유럽과학의 가장 큰 난제는 이제와서 물분자 전류를 유럽과 패권국 모두 스스로 공개할 수없다는 점이다. 기존 과학과 학문의 대부분이 물분자 전류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말장난 영어권의 실상이 드러나면, 일반 대중들이야 어차피 이해못하는 상태가 되겟지만, 그래도 죽기전에 알아야 하는 것이 물분자 전류라...삶이 무엇인지를 물분자 전류를 통해서 알게 된다.
물분자의 photon으로 양자화(?)가 이미 숫자로 공개되어 있다. 939 048 512eV/c2=1837.668 x 511 000eV/c2 개가 되는 것이다.
햇빛은 한줄기 빛에 해당하고 최소 1836개의 빛줄기가 모여있고, 전하로 계산하면 1836 x 2개가 햇빛을 양자화한 갯수개가 된다.
햇빛은 태양에서 헬륨 핵융합후에 1fm의 파장을 가지고...태양에서 출발을 해서 500초 뒤에 지구에 평균 500nm파장으로 지표면에 도착을 한다. 1fm의 파장은 직경이 /3.14159=0.318 310 fm이므로....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간 간격이 0.000 307fm 이고...이전자의 직경은 /3.14159=0.000 964fm의 상태로 1fm의 햇빛 파장을 만든다. 즉....전자가 4개 결합되는 형태와...2개 결합되는 형태를 예상할 수가 있는데...어찌되었든...1/1000의 플라즈마 상태에서 핵융합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가 있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간 간격을 어렵게 구해 놓고도 이를 옮겨서 암기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실수를 해서...0.000 307fm을 0.307fm으로 기록을 남겨 놓아서 육개월전에 찾은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간 간격을 오늘처럼 계산을 하지 못했다. 이제는 기본적으로 1fm단위에서....계산을 마져 해야 한다. 이제는 10^-15승 단위가 되는 것이다.
1000조 단위가 기본 단위이고..그래야 물분자의 수소 원자 2개가 헬륨결합을 하는 것과 중수소 결합을하는 것에 구애를 받지 않게 된다. 왠만한 화학결합의 물분자 수소결합정도로만 검증을 하려 햇지만, 성격이 그렇질 못하다. 그리고 태양의 햇빛은 하루의 절반을 지구로 향하는 햇빛을 생성하는 기본 원치이고, 태양기준으로는 하루종일 지구와 연결되어 있다. 지구에 도착하는 햇빛이 일괄적으로 500초뒤에 도착을 함에도 인간은 햇빛이 태양에서 1초전에 출발을 하여 도착하는 것처럼 시간 착시를 한다.
즉....시간왜곡이라는 의미는 500초의 왜곡에 해당하는 것이다.
눈이 500nm의 파장을 읽는 순간에 태양이든 별빛이든...시각으로 들어오면 빛의 이동거리에 상관없이..빛의 출발지로...태양과 별을 인지를 하면서 태양에서 8분 20초인 500초를 망각하고, 별빛은 그보다 큰 시간을 망각하게 된다.
즉...인간 기준으로 시간 왜곡이 생긱는 것이고...이것은 인간의 눈의 감각기관이 500nm를 전후하여 인지를 하게 되고..이 크기 중심으로 사물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즉...태양의 거리를 주어지지 않고, 햇빛을 보고 태양을 찾으라 하면 태양을 찾기는 하지만,
태양과 지구까지의 거리는 알지못하는 상태가 된다. 즉..시간은 500초의 8분 20초의 망각의 시간을 계산함으로 해서 정확도고
길이와 질량에 밀려 세번째의 허용오차를 갖는 것과 같다.
세번째로 중요한 것이므로 ...한국과학은 마음껏 왜곡을 한다. 빛이 속도가 불변이니=hv 위배이므로 만들어지지 안아야 할 용어들이 한국교과서의 대부부을 장식하고 있다.
여기에 속도외에 속력을 하나 슬쩍 끼워 넣기 하고, 국립 국어원은 나몰라라 하는 것이다. 국제 단위 7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파생 용어는 과감히 정리를 해주어야 함에도 그렇게 하지를 않는다.
이제는 자료 취득을 위키백과 외에...기초 서적 한권과 전문서적의 전기 화학의 두가지를 추가하여...복합적인 검증을 하고 잇다.
책으로 문서화된 내용은 인위적인 수정이 되지 않으므로 한국과학의 왜곡된 부분이 어디에서 어디까지인지 범위를 확정할 수가 있다.
이것을 바로 잡는 것은 개인의 몫이 아니고, 이런 부분을 접하면 독일위키나, 노르웨이 원문을 찾아보라는 의미가 되므로 이 기준을 하나 추가하는 것이다.
글을 정리하다보면 한 제목의 글에도 상반된 내용이 간혹 기록되고 있어서, 이것에 대한 흐름을 일정한 흐름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 된다.
1600년부터 1890년까지의 기초 이론 검증은 어느정도 되었고, 1860년부터의 사진효과의 부분이 아직 미해결 문제가 된다. 전파입자의 영역에 대한 기초는 어느정도 수준을 맞출듯한데...사진효과는 아직...히스테리 시스부터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전하의 유도되는 상태를 오늘은 하나 찾은 듯하다. 햇빛과photon의 상태에서는 물분자의 수소 원자와 산소원자의 전자에 의해서 전하로 저장이 되고....전하로 저장된....전자하가 자동 방출이 되거나...전자기파의 무선 전파가 약하게 지구에서 방사가 되면 이때이후부터는 물분자의 수소원자의 전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물분자의 수소 원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상태...로 바뀐다.
일단 전하가 물분자에서 자동 방출이 될때 기준이 적용된다.
그래서 물분자의 전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가 있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 전자는 전하 충전을 전부 할 수있으므로
511 000 x 2= 1 022 000eV/c2 , 산소원자 쪽에는 2p4의 4개 proton에 충전할 수있고 340 666eV/c2 이므로
340 666 4= 1 362 664eV/c2 가 되므로....1022 000eV/c2를 빼면 340 666eV/c2 가 산소 원자 쪽의 전하량이 강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아마도 전기 음성도라 한듯하고...340 666eV/c2에서 뒤의 숫자를 날리고...산소원자의 전자음성도 3.4 이렇게 표기한 것인데...340 666eV/c2-->3.406 660meV/c2 에서 단위 변환하여서 이 수치를 적용했다. 이것을 기준으로 나머지의 전자 음성도를 찾을 수있다.
수소의 경우 1 022 000eV/c2이지만...전하로 변환을 하면 1022 000 x 2= 2 044 000eV/c2가 되므로...2. 044 m/c2 가 되므로 전기 음성도가 2.044가 된듯하다.
그러거나 말거나...이제는 물분자의 전하량을 기준으로 기준 전하량을 토대로 산술을 할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물분자 하나의 총 전하량을 우선 구해보면 산소원자의 전하량의 전하 단위변환을 하지않은채 위의 구해진 것을 그대로
더하기만 해보면 1 362 664ev/c2-->(전하 단위 변환) 2725 328ev +2 044 000eV= 4 769 328eV 이므로 전자 질량으로 변환할때는
/2=2 384 664eV/c2가 된다. 물분자 하나에서 2.384 664meV/c2 의 충전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물분자 1000개에서 합산을 구해야 하므로....10%화합물의 변수까지 대입을 하면...끝이 없는 산술이 되리라.
그러므로 물분자 하나의 전하 총량이 2.384 668MeV/c2라를 사실만 암기하면 될듯하다.
전기 음성도 활용에서 이정도로 활용되니가....이후에 유전체의 반도체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녹아웃인지..지랄인지...히스테리 시스 어쩌고와 연결될 것이고...이것은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이론인데...지랄이라 했으니...이 글은 청소년에게 읽히면 안될듯하다.
오후 1:04분
한국의 음과 양의 자료까지 찾아봤다. 음과 양을 중국처럼 태양과 달로 명확하게 지칭을 해서 문자를 구성했다면 한국어에서 혼란이 조금 덜 했을텐데...
음과 양을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와 proton에 적용하면 애매하게 바뀌게 된다.
1908년의 조선어학회 16인이 전기 이론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본과학을 번역하다보니 자초한 현상이다.
이후에 한국 교육부가 1945년부터 이를 하나하나 바로 잡아가는 기본 노력을 했어야 하는데 , 왜곡된 한국과학을 오히려 방조만 했다. 현재의 국립 국어원에서 조차 전기 이론에 대한 학술적인 토론이 아닌 표준어 담당자가 이것을 담당하고 있으니,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전자와 proton을 단 한명의 국어 표준원에서 이를 감독하고 있다. 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proton과 electron을 명확한 구분을 해 놓고 한명이라면 이해가 가지만, 지금 현재처럼 초중고,대학의 교재의 통일된 물분자의 수소원자의 proton과 electron으로는 전기이론을 물분자 전류로 아무리 전파를 해도 소용이 없다.그만큼 장벽이 높다.
그래도 어떻하겠는가..시작을 했으니 마무리를 지어야지...그런데 마무리할 영역이 아니 물분자 전류이니 ..이것처럼 난감한 짓이 없다. 자연의 법칙 모두를 알겠노라~~이렇게 할 수도 없고...그냥 그냥 흘러 가겠지.
요즘은 기초 용어에서 아예 기본 한국어를 위키 통해서 검색을 한다.
음과 양이라는 표현이 유럽에서는 긍정적인것과 부정적인 것으로 정의되어서 전기이론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서 동양의 전기 이론과 별반 다를것이 없다.
전기 이론을 단순화 시키면 물분자 전류인 것이고, 확장을 하면 자연의 법칙이니 이것을 어찌해야 할런지...나도 모른다.
그저 하루하루 검증되는 것을 연속하는 수밖에....
photon은 광자라는 표현보다는 아예 photon으로 표기하는 것이 나을듯하여서 이렇게 타이핑 한다. 빛이라는 한국어가 존재하지만, 잘 어울리지가 않고, 햇빛은 그런대로 어원에 뜻이 잘 함축되어 있다.
햇빛이 지구의 물분자에 흡수가 되고, 흡수가 되면 전하 2개로 나뉘어서 저장이 되므로...이것이 우주에서의 4가지 힘에 속하고, 지구에서는 전자,전하의 힘이 되고, 중력-->수소 중성자 변환의 힘인 약한 핵력-->물분자의 수소 원자의 electron과 proton이 저장하는 전하의 힘이 전자기의 상호작용의 힘이 된다. 그 다음이 강한 핵력인 핵융합의 힘인 것이고...
물분자의 전자와 전하는 그러므로 핵융합의 주체이며, 결과물이고, 전자,전하의 힘은 전력의 힘으로 변환되고, 물분자의 수소 중성자 변환이 이뤄지면 수소 양성자 변환을 하고, 수소 원자는 수소 중성자 변환을 하는 것이 약한 상호작용에 해당하고...
중력은 물분자 전체가 전하를 흡수한 상태에서의 질량이고, 이 대기압의 질량의 전하가 물분자로 방출되어서 역할을 하는 것이 중력의 힘이 된다.
그러므로 photon은 광속을 가지고 30만 킬로를 이동하는 힘을 가진상태....이므로 전하 1개는 15만 킬로의 최대 이동거리를 갖고..안정화가 되면 제자리 회전만 하는 상태...는 인간의 몸속의 물분자...가 된다. 인간의 몸에서 벗어난 물분자가 이동하는 것은 3.14159의 기본 변환이 되고, 이때부터 15만 킬로의 속도가 될때까지 한없이 미분sin 으로 잘게 쪼개져서 전하 하나의 상태로 이동을 태양으로 향하는 싯점에서 15만 km의 속도를 갖는다.
인간의 몸의 물분자의 전하의 속도는 47 746km가 된다. 이것이 인간의 몸에서 벗어난 2m직경을 가지게 되면....3억회전에서 1억 5천만 제자리 회전속도를 갖는다.전하는 이 속도를 갖고...물분자 자체는 인간의 몸에서 떨어져 나올때 수증기의 액체 상태이므로 물분자 1000개의 기본 갯수로 인간의 몸에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즉...1m를 1초로 움직이는 물분자 1000개의 수증기 상태로 이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물분자의 1000개의 이동과...물분자에서 미분화sin된 photon은 각자의 길을 가게 된다. 물분자 1000개는 지구내에서만 순환을 하고, 물분자에서 떨어져 나온 중력 전하는 태양으로 되돌아가기 전까지....대륙권 10km까지 직경이 확대가 되고...이후에는 지구 자지기장 전하로 이름이 바뀌고...지구 자기장 전하에서 태양으로 향하게 되면...태양 자기장 전하로 이름이 다시 바뀐다.
이때의 속도가 전하의 최대 속도 15만km로 이동하게 된다.
photon은 380nm~700nm의 눈에 보이는 파장에서만 보이고, 나머지는 photon의 상태로...광속을 갖는다. 그렇더라도 photon은 직경이 커지면 이동하는 광속이 /3.14159까지 되고 이때...1초에 1회전의상태가 되므로 빛의 단위개 2개의 전하 상태일뿐....이때에 수소 원자와 접촉하게 되면 수소 원자의 전하로 흡수되게 된다.
즉....빛도 광속을 가졌더라도..직경이 커지면 전하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이 공간에 수소원자가 우주에 존재하면 수소 원자에 흡수되게 되고...둘중 하나가 흡수된 photon은 전하로 명칭이 바뀌어 전하의 상태로 태양계를 벗어나거나..태양으로 회귀하는 둘 중하나가 된다.
물분자 전류가 확장이 되면 이렇게 대충 정리가 된다.
범위를 줄여서...전력의 전하의 이동속도는 빛의 1/2이므로 광속이 아닌 15만 km의 최대의 속도를 가진다. 통신으로 이용되는photon과 명확한 구분을 하여야 한다. 통신은 photon인 것이고, 전류의 전하는 photon이 전하 2개로 나뉘어져서 물분자에 흡수된 이후에 전력으로 변환이 된다는 점이 틀리다. 그리고 photon은 광속을 가지고, 전하는 최대 속도 15만 킬로를 가진다는 명확한 차이를 갖는다.오후 9:07분
photon에 관한 기본 검증도 어느덧 끝나가는 느낌이다.
세분화된 영역은 대부분은 대기업의 영역이고,
흔히 비누방울의 콜레스테롤 벤조산의 액정의 영역도 요즘 거의 마무리 단계에 도달해 있다.
7년전 중학교 과학 교과서가 이미 정리되어서, 대신에 전기,전자란 무엇인가?..한권이 발견 되길래 그걸 읽어보니, 교과서보다는 충실한 내용을 가지고 있고, 위키백과 처럼의 전문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한국 교과서의 편집과는 전혀 다른 일본과학을 번역해 놓은 책 같아 씁슬하기만 하다.
중요 용어들은 여지 없이 일본 지렁이 한자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도 핵심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읽을 만 햇다.
기초 이론을 과하게 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도 아직 부족하다.
액체의 물에서 지표수의 물의 전하를 빼내는 직접적인 열교교환기 자료가 의외로 없다. 기존의 대부분의 열교화한기는 수증기의 액체와 기체의 상변환에 의한 열교환 방식이다.
한국형 바닦난방에 따뜻한 부분을 추가 하지 않는 지표수 열교환은 방바닥을 타일처리하고, 슬리퍼를 신으며 잠옷을 입고 생활하는 형태가 된다.보조 열원을 어느정도 필요로 하고, 온수기를 갖춰야 한다.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면 축열조를 중심으로 구성을 시스템화하면 되긴하는데, 필요장비가 커지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간단한 벽난로 형태로 충당이 가능하다.
바닦난방에 지표수를 직접 방열시키는 방법으로 어느정도 온도를 끓어 올리는지의 데이타를 아직 발견하지 못햇다.
일단 빛에서 전하와 명확한 구분은...전자 하나가 전하 2개로 나뉘는 것은 말을 늘어놓은 한국과학에도 어느정도 흔적이 보인다.
물분자 1000개의 영역부터가 자료없는 영역이 되므로. 참으로 한심한 한국과학의 모습이다. 물분자의 전하가 전력의 1m에 끊기지 않고 연속될 수있는 것은 축전기 역할을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하는데 전혀 그런 모습이 없고, 콘덴서(영어0독일 커패시터 이론으로만 이것을 풀려고 하니까...이해가 안되는 것이었다.지금은 그 모든 영역에 물분자 1000개의 7nm를 끼워넣기 하면, 아무리 어려운 이론이라도 금방 이해가 된다.
지금은 공기중에 물분자의 1000개가 대체 어느정도인지를....찾아내는 것이 급선무가 된다.
지표면의 공기라는 용어의 대부분은 물분자 1000개의 구집된 형태이고, 그 사이에 산소 분자가 자리한다. 질소분자는 지표층에 많지가 않고....물분자 1000개에 수소결합이 연결되어서 이동하는 형태가 지표면에서의 모습이라 할 수있다.
질소원자와 산소원자만 존재한다면 지표층의 온도는 달처럼 순식간에 영하 -100도 이하로 내려간다. 전하를 가두어서 저장할 대기압을 산소원자와 질소원자만으로 만들수가 없기 때문이다.
전하를 전자로 통합한 것은 한국이고, 그것때문에 모방 과학을 잘하지만, 기초과학은 포기를 해야 한다.
그런데 기초과학의 기초 산업이 현재의 모방과학보다 덜 위험하다. 현재의 모방과학의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산업들은 기본적인 수소 중성자 변환을 많이 이용하는 영역들이다. 미국과 일본이 스마트폰에서 직접 제조에서 손을 뗀 직접적인 이유이고, 이들은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장비 생산에 몰두한다. 그마나 수소 중성자 변환을 덜하기 때문이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에도 LED등을 기반으로 다이오드와 트렌지스터가 전부이고, 소형화만 이뤄져서 현재까지의 산업 소형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준비하는 차기 산업은 무엇일까? 바이오 의학과 드론에 해당하는데...개인용 운송 수단이 전기차는 지나가는...것이고..드론이 중심이 되긴 할건데...그 시기가 문제가 된다.
이론검증을 열역학과 유체이론쪽으로 방향을 선회해야 할듯하다.
기초 합성의 경우는 포기한 것은 아니지만 그 영역이 너무 넓다.
열교환화 유체를 압축하는 것에 대해 어느정도 검증을 하면 ... 이곳에서의 개인 매장 운영에 대한 결정의 시간이 마무리가 될듯도 하고....여기서 이 글을 쓰는 것이 마지막 겨울일 수도 있다.
첫댓글 중국은 전자와 전자유도 한자를 구별해서 쓰는 반면,한국과 일본은 전자와 전자기 유도의 한자를 함께 쓴다. 한국 과학에서 그래서 전자와 전자유도가 같은 뜻으로 왜곡되어 지는 것이다. 전자 유도는 일본 용어이고..전자기유도 이렇게 붙여써야 어느정도 구분이 가능하다.
@한글마을 전자는 자기의 전하로 나뉘면 2개로 나뉘는 개념을 대입하면 전자와 전자기 유도 개념에서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음과양의 중국의 한자는 태양과 달이다.
독일위키는 한국 표준어 풀이보다 잘 설명되어 있는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