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사우디아라비아, 2016년 예산 발표 | ||||
---|---|---|---|---|---|
게시일 | 2016-01-12 | 국가 | 사우디아라비아 | 작성자 | Saifuddin Salahuddin(리야드무역관) |
사우디아라비아, 2016년 예산 발표
□ 2015년 예산집행 결과
○ 정부수입(Total Revenue) - 2015년에 총수입은 약 1621억 달러로, 이는 예산 편성 시 수입과 비교하면 15% 감소했음. - 오일 수입은 약 1185억 달러였으며, 총 수입의 73%를 차지. 이는 2014년과 비교했을 때 23%나 감소한 금액임. - 오일 이외의 수입은 2014년에 약 338억 달러에서 2014년에 약 436억 달러로 29%(98억 달러)나 증가했음.
○ 정부지출(Government Expenditure) - 2015년에 실질 지출은 약 2599억 달러로 예상되는데, 이는 추정예산 지출에 비해 13%만큼 증가한 수치임. - 또한, 올해 재정적자는 약 978억 달러로 추정됨. 정부 지출이 증가한 주요한 원인은 공무원과 군인에 대한 가봉, 그리고 사회보장연금과 은퇴연금의 지급 때문임. - 실질지출 중에서 메카 지역의 그랜드 모스크와 메디나 지역의 예언자 모스크 확장에 관한 지출은 약 117억 달러임. - 대중교통과 인프라 구축, 그리고 주택건설을 포함한 추가적인 프로젝트 비용은 2015년 실질 지출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프로젝트 비용을 2014년 예산흑자로 충당했기 때문임. 사우디 통화청에 따르면, 추가적인 프로젝트 비용은 약 59억 달러임. - 올해 이루어진 프로젝트의 개수는 전년도 예산흑자로 충당한 프로젝트를 포함해서 2650건이며, 이에 대한 총비용은 약 315억 달러임.
○ 공공부채(Public Debt) - 2015년에 현지 금융시장에 발행한 국채는 총 261억 달러임. - 한편, 2015년 말에 사우디의 공공부채는 약 379억 달러인데, 이는 2015년 GDP의 5.8% 수준임.
□ 2016년 정부 예산 편성
○ 총수입은 약 1370억 달러로 예상됨.
○ 총 예산은 약 2239억 달러임.
○ 재정적자의 규모는 약 870억 달러임.
○ 예산 할당은 아래의 표를 참고
○ 오일 가격의 변동성과 점차 감소하는 정부수입 때문에, 488억 달러로 할당된 예산 예비비는 자본 지출과 프로젝트 지출 비용에 따라 유연성 있게 조정할 것임.
○ 한편, 사우디 산업 발전자금이나 농업 발전자금과 같은 정부 발전자금은 이에 부합하는 프로젝트에 금전적 도움을 줄 것이며, 이 자금의 총 규모는 약 133억 달러임.
□ 경제적·재무적·구조적 개혁
○ 2016년 국가 예산은 2001~2014년 정부재정 통계를 바탕으로 결정됐음. - 2001년에서 2014년의 정부재정 통계 분석에 3500여 명의 정부 직원들이 투입됐으며, 이 분석을 통해 정부의 목적에 알맞는 예산 할당을 할 수 있었음. - 내년 예산은 저유가의 측면을 반영했는데, 이는 2015년의 유가가 2014년에 비해 45%나 감소해 매우 낮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임. 또한 내년도 예산은 세계경제 침제도 고려해 결정됐음.
○ 경제적이고 회계적인, 그리고 구조적인 개혁을 위해서 사우디 정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예정임. - ① 국가 재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우디 재정부는 공공재정 부서를 새로 추가할 것임. - ② 국제적 관행에 부합해 재정 정책과 시행을 검토하고 개선할 것임. - ③ 정부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자본 지출을 최적화할 것임. - ④ 정부 대행 비용의 합리화, 공공 서비스에 IT기술의 활용, 그리고 정부 체계의 발전 및 통제 강화 등을 통해 운영경비를 최적화시킬 것임. - ⑤ 정부자산 관리를 위한 방법을 개선할 것임. - ⑥ 임금과 봉급과 같은 되풀이되는 지출의 증가를 통제할 것임. - ⑦ 국민생활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 보건, 위생, 안보 등의 프로그램 개선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임. - ⑧ 에너지, 물, 그리고 전력 가격의 수정과 같은 정책을 통해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것임. - ⑨ 공공요금과 벌금의 수준을 재조정하고, 담배와 같은 해로운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을 늘릴 것임. - ⑩ 오일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구조적 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정책과 절차들을 받아들일 것임.
□ 경제 발전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 사우디 중앙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도의 명목 GDP는 약 6533억 달러로, 2014년과 비교해 13.35% 감소했음. - 2015년에 오일 이외의 부문의 명목 GDP는 전년과 비교해 8.37% 증가했음. - 한편, 2015년에 사우디의 실질 GDP는 전년에 비해 3.35% 성장했음. - 오일 부문은 공공 부문과 개인 부문을 합쳐서 평균 3.06% 성장했음. - 오일 이외의 부문의 모든 경제적 요소는 긍정적인 성장을 보임.
○ 금융 부문(Monetary Sector) - 2015년에 1월에서 10월까지의 통화 공급량은 2.5% 증가했는데, 전년 같은 기간에는 통화 공급량이 10.4%만큼 증가했음. - 한편, 2015년 같은 기간에 은행예금은 1,7% 증가했는데, 전년 같은 기간에는 은행예금이 3.3%만큼 증가했음.
○ 자본 시장(Capital Market) - 사우디 자본시장청은 올해에 금융시장을 발전시키고, 시장의 투명성을 개선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 - 사우디 자본시장청은 금융시장의 기반을 확장시키기 위해 자금과 국영 기업의 성장 기회를 제공했으며, 투자망을 증가시켰음. - 또한, 사우디 자본시장청은 투자 펀드의 제공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했는데, 실제로 올해에 새로운 투자 펀드를 26개나 추가했으며 총 265의 펀드를 운영하고 있음.
○ 해외무역과 국제수지(Foreign Trade & Balance of Payments) - 사우디 통화청에 따르면, 2015년에 상품 수출액은 약 2046억 달러로 전년과 비교하면 40.2%나 감소 - 오일 이외의 상품 수출액은 약 470억 달러로, 전년과 비교했을 때 18.8%만큼 감소했음. - 올해 오일 이외의 상품 수출은 총 상품 수출 중에서 22.9%를 차지했음. - 한편, 올해 상품 수입액은 약 1418억 달러로, 전년과 비교하면 10.5%만큼 감소했음. - 2015년 경상수지는 약 414억 달러의 적자를 보였는데, 이는 2014년에 약 770억 달러의 흑자를 보인 것과 대비되는 수치임.
자료원: 사우디 재정부(KSA Ministry of Finance) 및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