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하는 멘트..
또 오랫만에 이 방에 불을 켭니다.ㅋㅋ
지난달에는 겨우 두번밖에 글을 올리지 못했네요.
요즈음은 모처럼 맞는 안식년(?)에 시간이 남아돌아 허리가 아플 지경이면서도..ㅋ
늘 이 방에 불을 켜야겠다 생각하면서도 어찌어찌 하다보니 이렇게 게으름을 피우고 있네요.
각설하고 오늘의 영어단어는 scarlet letter입니당.
담 글은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에 나오는 줄거리입니다.
There were big yellow and white and blue and purple blossoms, next great clusters of scarlet poppies.
(주홍색 양귀비 꽃송이들이 많이 무리지어 있는 곳 옆에는 크고 노랗고 하얗고 파랗고 자주색인 꽃들이 있었다)
purple: 자주색
blossom: 꽃, 꽃을 피우다
next: 다음에, 옆에
cluster: 송이, 다발, 무리
scarlet: 주홍색
poppy: 양귀비
요즈음엔 제발 이 답답한 귀머거리 귀좀 펑 뚫어 보고자 아예 소설책 전문을 틈틈이 mp3로 들어보고 있는데요
-이 나이에 무슨 청승인지 제발 제 전철 밟지들 마시고 한 두살이라도 더 젊을 때 영어공부 다시 시작해 보세요 ㅎㅎ-
(예전엔 너도나도 mp3란 별도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했지만 요즈음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들어가면 성능(?)좋은 앱들이 쫘악 깔려 있어요.
특히 구간반복 기능이 있는 걸 골라서 함 활용해 보세요.
꼭 영어만이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 벳남어 뿐만이 아니라 모르는 노랠, 특히 팝송 같은 거 처음 배우고자 할 때도 구간반복 기능을 활용하면 참 좋을 거에요)
마침 윗문장 주홍색이라는 뜻의 scarlet이라는 단어에 필이 꽂혀 있던 터에 마침 어젯밤 TV조선에서 방영하는, 북한 꽃미녀들의 남한살이를 토크로 풀어내는 프로그램인 「모란봉클럽」이라는...
갠적으론 집에서 일년내내 연속극이든 뭐든 TV를 보는 건 손가락으로 횟수를 셀 정도인데 어쨋든 우연히 저 프로그램을 보고 있었는데 TV화면에
무슨 대화끝인지는 몰라도 헉! 마침 '주홍글씨'란 글자가 떠서 그래 바로 이것하고 오늘의 주제로 올려 봤어요.
scarlet(스칼릿)이라는 단어는 아래 댓글란 사진 색깔처럼 주홍색을 가리키는데요
(위에 나오는 자주색이라는 뜻의 purple의 색깔사진도 참고해 보세요)
우리가 예전에 많이들 듣고 읽고 보왔을
'주홍글씨'라 번역된
The scarlet letter란 소설책의 제목에 쓰였던 단어입니다.
저 색깔을 나타내는 단순한 scarlet이라는 단어야 활용빈도가 높지않아 주홍색이라는 뜻만 기억함 간단하지만...
일전 바로 앞글 댓글란에 언급했듯이
'지붕위의 바이올린'이라는 영화제목도 사실은 The fiddler of roof로 정확히는
'지붕위의 바이올리니스트'라 해야 맞다고 언급했었습니다.
(fiddler=violinist)
이와같이 scarlet letter란 제목도
주홍글씨보다는 letter라는 단어는 글씨라기 보다는 글자나 문자를 뜻하므로 주홍글씨가 아닌 '주홍문자'라 해야 정확한 뜻이 됩니다.
자 그런데 글씨와 글자란 단어의 차이가 뭘까요? ㅎㅎ
알듯말듯한데 쉽게 설명해 보자니 어렵네요.
어쨋든 글씨라는 단어는 글자의 생김새 즉 필체를 뜻하고 글자는 말 그대로 문자를 말한다고 하면 쉽게 이해가 되시려나요? ㅎㅎ
대부분 외화제목이나 그 영화 속 대화내용도 원문 그대로 쓰지않고
영화번역가에 의해서 더 사실적이고, 낭만적이고 우리의 주변환경이나 쉽게 이해될 수 있는 표현으로 바꿔서 올리는 거 아시죠?
여기에서 잠깐,
제가 알기로는 울 산방에도 영화번역작업에 관여하고 계신 분이 있는 줄 아는데 전문가 입장에서 한말씀 부탁드려요~~ㅎㅎ
어쨋든 주홍글씨라는 말의 어원은
1850년 간행된 너새니얼 호손이란 사람의 장편소설의 제목인데요.
17세기중반 미국 보스턴을 배경으로한 이 소설에서 늙은 의사와 결혼한 젊은 여자가 미국에 먼저 건너와 살았는데
아무리 남편을 기다려도 영 소식이 없어 홀로 지내다 사생아를 가지게 됩니다.
결론은? 불륜이 일어난거죠.
그 죄로 가슴에 A(Adultery:간통)라는 주홍색 글자를 달고 일생을 살아가라는 형을 받습니다.
여기에서 adult라는 단어는 어른이라는 뜻인데 간통이라는 뜻의 adultery와는 무슨 연관이 있는 걸까요?
adult가 형용사로는 어른의 또는 성인용의(포르노등의 성적, 폭력 장면들이 담겨있는..)등에서 보듯 이런 뜻에서 파생되다보니 아마도
간통이나 간음, 부정(不貞)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어쨋든 여기까지 scalet letter 즉, 주홍글씨의 뜻만을 이해하셨으면 제 임무는 끝~~ㅋㅋ
사실은 scarlet이란 단어 보다는 위의 영문장에 나오는 white이란 단어에 대해서 언급해 보려다 TV를 보는 통에 엉뚱한 길로 빠졌는데요.ㅎ
엊그제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잘들 보내셨겠지요? 근데 예전같지 않아서 인지 전 크리스마스 캐롤송도 크리스마스트리도 듣도 보도 못하고 지나쳤는데요
어쨋든 저 단어 하얀이라는 뜻의 white의 발음은 와잍(잇?), 물론 발음기호상으론 [hwait]으로 h발음이 명기되어 있지만 절대로 ㅎ발음은 하지 않아요. 화이트로만 생각했다가 와잇으로 들음 헷갈린다니까요.ㅋㅋ
제 이름 뒷글자가 '환'이라서(그래서 닉을 걍 환이→ 한이→ 하니로 했어유 ㅋㅋ)
영문 표기로 hwan이라고 쓰지만 원어민들이 읽을 땐 완이라고 할 것 같은뎅~~
오후내내 스칼렛이란 이름이 낯익어(?) 한참을 생각해보니 그럼 그렇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여주인공 이름이었네요. 일전에 서점에 들러 소설책을 사러갔다가 저 책 제목도 봤었는데;.. 요즈음엔 내용을 들여다 볼 수 없게 전부 비닐 포장으로 막아놔 걍 짜증놔서 나와버렸네요
첫댓글 Adultery를 줄여 옆 사진처럼 가슴에 표기를 하고 다녀야만 했데요.
저 색깔은 성경에서 죄악을 나타내는 색깔로 묘사되어 나온다네요
옆 사진은 자주색 purple의 색깔을 나타내는 사진이에요
아무래도..
adult와 adultery가 수상(?)해서
웹스터 영영사전을 함 봐 봤더니...
두개의 단어는 인척(?)관계가 아녔네유...ㅋ
두 단어의 어근에 대해선 담 기회에 언급해볼께유~~
뇌에 쏙쏙 박히는 명강의에 감사드립니다!
Nowdays that Adultery law disappeared,
Who would have been better between a man and woman? ^^
늘 댓글 고맙고 감사해유.
간통죄 폐지된게 누구에게 더 낫냐구요?
그글쎄~~😖
오후내내 스칼렛이란 이름이 낯익어(?)
한참을 생각해보니 그럼 그렇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여주인공 이름이었네요.
일전에 서점에 들러 소설책을 사러갔다가 저 책 제목도 봤었는데;..
요즈음엔 내용을 들여다 볼 수 없게 전부 비닐 포장으로 막아놔 걍 짜증놔서 나와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