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445252&cp=nv
"허 교수는 20∼50대 성인남녀 1360명을 대상으로
'우주인 사업에 어느 정도 비용을 지출할 가치가 있는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 1인당 지불의사가 있는 금액(1만3947원)을 산출해냈다.
허 교수는 이렇게 산출된 1만3947원은 20세 이상 성인 1명이
우주인 사업에 지불할 의사가 있는 평균적인 경제적 가치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수 3429만명을 곱해
우주인 사업의 경제적 효용이 4782억원에 이른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허 교수는 밝혔다."
sbs보도에 의하면 경제적 효용이 4780억원이랍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엔
세금을 써서 우주 관광객을 보내는 행위에 불과한듯...
우주 조종사는 원래 10년 넘게 고도의 훈련을 받아야 되는데...
RSA(러시아우주청)의 관광 프로그램인 1주일에 맞추다 보니,과기부가 명목으로 내세우는 13+5가지 실험조차, 휴대장비 제한,
시간부족 등등으로 하지 못할 정도로 어이없는 스케쥴이 되어 버렸고, 그러다 보니 홍보성 이벤트로 나머지는 채운 것이 사단
이 난 셈이죠. 특별한 미션도 없으니, 19세이상 신체건강하면 응모해라~ 따위로요.
첫댓글 원래 이런건 공군파일럿이 가는게 순리에 맞지않을까 한다는 과기부관계자도 국민들이 우주에대한 관심을 이끌기위한것이라고 시인했다는 기사를 본것같다는
IT거품 -> 바이오거품 -> 우주거품 ...
실속이 없으니.. 쇼라고 말해도 될듯; 저 돈으로 발사체에 들어갈 부품 하나 개발하는게 나을긴데
원래 최초라는 것은 그 실속보다도 '최초'라는 타이틀이 그 실체를 이루는 경우가 많죠. 좋게 말하면 세금으로 우주여행하는 거고... 나쁘게 말하면 마루타죠. 첫번째 저렇게 보내고 나면 설마 두번째도 관광 보내겠습니까? 뭔가 미션을 주어 보내겠죠. ^^
대한민국 민간인 프로파간다 1호인 분들
어차피 임무로 과학임무가 있다고 합니다.
이묭박 횽님이 대운하인지 뭔지 때려치고 우주공학에 투자한다고 하면 좋으련만. ..우주공학이 돈이 많이 든다고 해도 ...15조를 때려박으면 뭔가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러면 우리나라도 돈내고 꼽사리껴 관광 안해도 되고 좋을 터인데 ...쩝쩝.
아 가보고 싶다
우주기술의 시작은 대륙간탄도탄입니다.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볼 때 불가능합니다.
돈낭비. 실제적으로 국민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 일을 과학강국 등의 빛바랜 청사진으로 현혹시켜서 어떻게든 업적 만들기 비스무리하게 만들려고 하는 헛짓... 차라리 저돈을 복지에 쓰면 더 의미있게 쓰여질텐데
사실...기초과학 연구라는 것은 돈안되는거 뻔히 알면서도 투자해야 되는 거죠. 당장 돈 몇푼을 위해 하는 일이 아니니까. 뭐 그럼 미국이나 일본은 돈나올거라서 20년동안 물탱크에 물처넣고 중성미자 감지를 위해 연구했답니까...
그 말씀이 맞죠. 국가의 총체적 발전이라는 관점에서는 기초과학이 필수죠. 다만 국가가 기득권층에 의해 또한 그들을 우선순위로 위하여 운영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기초과학을 통한 국가발전이 우리 일반 서민에게 무슨 의미를 가질까하는 거죠. 그런점에서 과연 국가의 발전은 일반 서민 발전과 동일한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꼭 그렇지는 않다고 보는것이고 일치하지 않는다고 봤을때 국가 발전에 저해되더라도 일반 서민의 복지 향상을 우선적으로 배려해야한다고 봅니다. 민중이 사회의 중심이 되기 전까지는...
저 돈으로 기초과학에 좀 더 투자해줬으면 좋으련만...
맞는 말씀입니다. 기초과학은 몇몇 분야를 제외한다면 돈이 안되죠...국비가 소요되는데 심정적으로는 반감이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제 의견은 이렇습니다. 우주조종사를 배출할려고 목표를 세웠다면 말 그대로 '제대로 준비해서' 해야 되는데...처음부터 중요 항목들 다 빼고 시작할려고 하니...저런 '우주관광객'은 세금을 써서 보낼게 아니라 기업에서 스폰서를 대서 보내야 되지 않을까요...
저 돈으로 기초과학이나 좀... 저건 의미도 없고... 결과도 없어보이고... 근데 저 경제적 가치라는 건 좀 웃기는군요=_=;;
언젠가는 해야죠....그리고 이게 처음에는 부가가치가 없겠지만 나중에 가면갈수록 경제가치가 부각되니...하긴해야죠 -_-;;돈이아깝지만
허교수가 누구죠/?
허경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