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5일(음:12월 3일.일출 7시 47분.일몰17시 27분]
중국 북동지방에 위치한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든 영향으로
전국이 구름 많은 가운데.
제주도는 흐리고 오전부터
6일 새벽까지 5∼20㎜의 비가 내리겠습니다
아침 최저기온 영하 14~0도,
낮최고기온 영상~ 9도로 어제와 비슷 하겠습니다
◆...대한(大寒) 다음으로 춥다는 소한(小寒)인
오늘은 출근길 영하권 추위가 이어지겠습니다
서울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
건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강원 영동과 경상권을 중심으로
대기가 매우 건조하겠습니다
24절기 중 하나인 ‘소한(小寒)’ 입니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등의 옛 속담으로도 유명 합니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로 강추위가 몰려온다는 시기입니다
옛 우리 조상들은 소한부터
입춘 전까지 혹한기에 대비해
음식과 각종 필요한 물품 등을 미리 준비했습니다.
특히 눈이 많이 내리는 산간지방 등에서는
외출이 어려우니 땔감과
음식을 충분히 준비해오던 풍습이 있었습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부터 대한까지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기술하였습니다.
이는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와는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절기의 이름으로 보면
소한 다음 절기인 대한(大寒) 때가 가장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일 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양력 1월 15일 무렵입니다
‘소한’ 때문이 아니라도 이때는
전국이 최저 기온을 나타낸답니다.
추위를 이겨냄으로써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던 까닭으로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한편 옛날부터 우리나라가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24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음력을 쓰는 농경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절기가 만들어졌지만
이는 태양의 운동과 일치한다.
실제로 달력을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생긴답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 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절기를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입니다
그리고 입춘(立春)에서 곡우(穀雨) 사이를 봄,
입하(立夏)에서 대서(大暑) 사이를 여름,
입추(立秋)에서 상강(霜降) 사이를 가을,
입동(立冬)에서 대한(大寒)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았습니다.
서양에는 7일을 주기로 생활했으나
중국과 우리나라는 24절기를 이용해서
15일을 주기로 생활하였다고 보면 됩니다
실제도 음력에
따르는 것이 농경 사회에 적합했습니다
왜냐하면 해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달을 기준으로 하면 어김없이
15일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해와 달의 순기가
1년을 기준으로 서로 차이가 난다는 점입니다
생활 속에서 느끼는 하루하루의 편리성은
달을 기준 삼는 것이 좋지만
양력으로 짜 맞추어진 절기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과는 차이 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달이 지구를 1번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9.5일이고,
12번이면 354일이 됩니다
하지만 지구가 해를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일로 11일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24절기의 배치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는데,
순태음력(純太陰曆)은 앞서
말한 대로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태양의 운행,
즉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길인 황도(黃道)를 따라 15°씩 돌 때마다
황하 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나타내어 명칭을 붙인 것입니다.
그 명칭과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빵긋
첫댓글 큰오빠~~
안얼어듁게 단디입고 댕겨야 겠어요~~
사랑합니다
큰오빠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늘이 소한이지도 몰랐읍니다 ㅎㅎ
사랑합니다
오늘 비교적 포근한소한이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