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NEWS
아침과 저녁 7시에 꼭 챙겨보셔야 할 뉴스 7개를 골라 드립니다.
뉴스 리스트만 훑어보셔도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금방 아실 겁니다.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click
7NEWS팀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다른 건 줄여도 이것만은”...사교육비 33개월째 증가세
안녕하세요. 7NEWS입니다. 고금리·고물가로 가계의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가운데 교육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이들 교육비는 지갑 사정이 아무리 안 좋아져도 줄이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평균소비성향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오른 70.7%로 집계됐습니다. 소득 대비 지출 비중이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평균소비성향은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로 나눠 산출합니다. 평균소비성향이 오른 이유는 가구당 월평균 소득 대비 소비지출 증가세가 더 가팔랐기 때문입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3.4%(503만3000원) 오른 반면,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은 각각 3.9%(280만8000원) 4.3%(106만2000원) 상승했습니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교육 지출은 25만6000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3만9000원이었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년새 7% 증가했습니다. 2021년 1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증가세입니다. 이 기간 평균 증가율(11.5%)은 전체 소비지출의 평균 증가율(5.2%)의 2배가 넘습니다. 전체 소비지출에서 교육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9.1%)은 5번째로 높습니다. △음식(외식)·숙박 △식료품·비주류음료 △교통 △주거·수도·광열 순입니다. 교육비는 가격인상에 대한 저항이 무딘 고정비로 인식되는 셈입니다.
반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6.2%) △의류·신발(-4.7%) △주류‧담배(-1.6%) 등 필수재 성격이 아닌 지출은 감소했습니다. 지속되는 고금리·고물가 탓에 이들 항목은 아낄 수 있는 비용, 필요치 않은 지출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큽니다. 불경기임에도 오히려 교육비 지출을 늘린 것과는 분위기가 사뭇 대조적입니다.
범위를 좀더 좁혀볼까요. 미혼 자녀를 둔 가구의 교육 지출은 작년 동기 대비 15.8% 증가한 62만9000원이었습니다. 이 중 학원 및 보습교육에 43만8000원을 썼습니다. 교육 지출의 절반 이상이 사교육에 들어간 셈입니다. 이들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교육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4.9%에 달했습니다.
교육 지출 증가율은 고소득 가구가 견인했습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가 작년 동기보다 교육 지출을 19.4%(67만4000원) 늘리는 동안 4분위부터 2분위까지의 교육 지출은 각각 -3.4%, 2.9%, -16.5%로 소비지출 증가율을 하회했습니다. 소득 분위 별 교육 지출 비중은 △13.7% △9.9% △6.6% △3.7% △2.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
韓·日 해빙 바람타고… 日, 부산 엑스포 지지
오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를 놓고 한국 부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3곳이 경합하는 가운데 일본이 한국의 부산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관련기사 보기
2
민관 유치단, 각국 정상 566차례 만나 “엑스포는 부산”
정부는 초·중반 열세를 뒤집고 투표 최종 결과에서 ‘박빙 승부’를 기대해볼 정도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를 추격했다고 보고 있다. 공무원·기업인부터 총리, 대통령까지 발로 뛰며 지지를 호소하는 방식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보기
3
챗GPT 1년, 일상이 되다
미국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지 30일로 1년을 맞는다. 공개 당시만 해도 이전에 없던 신기한 서비스 정도로 여겨졌던 챗GPT는 전 세계인의 일상은 물론 IT·금융·물류 등 산업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기존의 질서를 허물고 재편하는 파괴적 혁신의 표상이 됐다.
관련기사 보기
4
70세에 보장 끝… ‘보험 절벽’에 몰린 고령층
26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60세 이후 만기가 돌아오는 국내 생명보험 계약(2645만 건) 중 80세 이전에 만기를 맞는 상품이 총 1055만건으로 약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자들의 보험 절벽은 20~30년 전 보험에 가입했던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1970년 62.3세에 불과했지만, 2021년 83.6세까지 길어졌다.
관련기사 보기
5
행정망 먹통 사태 8일 만에야… 행안부 “통신 장비 접속 불량 탓”
지난 17일 발생한 전국 지방행정 전산망 ‘먹통 사태’의 원인이 통신장비 접속 불량이라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사태 발생 8일 만인 25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행안부는 지방행정 전산망을 관리·운용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과 광주 분원을 연결하는 ‘라우터(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비)’의 포트(케이블을 꽂는 부분) 불량이 사태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보기
6
“한컴 일가, 코인 만들어 가격 조종… 100억 챙겼다”
‘한글과컴퓨터’ 김상철(70) 회장의 아들 김모씨에 대해 경찰이 최근 구속 영장을 신청한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김 회장 일가는 회삿돈 수백억원을 빼돌린 배임·횡령 혐의로 1년 넘게 경찰 수사를 받아 왔다. 경찰은 김 회장 지시로 2021년 가상화폐인 ‘아로와나 토큰’이 발행되고, 불법 시세 조종을 통해 만든 100억원대 수익이 김 회장 아들 김모씨에게 유입된 혐의를 확보 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보기
7
“마약 입원 치료 석 달 기다리다… 다시 약에 빠졌다”
정부가 지난해 적발한 마약 사범은 1만8395명이다. ‘마약과 전쟁’을 선포한 올해는 1~9월까지만 2만230명을 붙잡았다. 특히 올해 2만230명 중 7820명(38.7%)이 투약 사범으로 집계됐다. 마약 투약 사범은 중독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런데 작년 기준 국내 마약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입원과 통원을 포함해 421명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