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의 공공일자리보다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우선하는 것이 現정부 고용정책의 핵심” |
- 이성희 차관, 추석 앞두고 지역 뿌리기업인 ‘㈜동성하이텍’ 방문(경북경주) |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9월 22일(금), 경북 경주시 소재 자동차부품 생산 뿌리기업인 ㈜동성하이텍을 방문하여 추석 명절을 앞둔 근로자들을 격려하고.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정부는 그간 2차례에 걸쳐 ‘빈일자리 해소방안’(1차3월, 2차7월)을 발표했으며, 「범정부 일자리TF」를 구성하여 대책의 추진실적과 성과를 꼼꼼히 점검하는 등 뿌리산업 등 구인난을 겪고 있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빈일자리 수가 전년동월대비 1.3만개 감소(’23.7월기준)하는 등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빈일자리 수) ’22.7월 22.9만개 → ’23.7월 21.6만개
이날 방문한 ㈜동성하이텍(근로자수30명)은 동종 업계의 심각한 구인난 상황에서도,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을 통해 채용장려금을 지원받아 올해 2명의 근로자를 신규 채용할 수 있었다.
* 지역 구인난 업종의 취업・채용 촉진을 위해 일자리사업의 지원요건‧수준을 우대(PLUS)지원
정부는 앞으로도 구인난을 겪는 기업들이 적기에 근로자를 채용하여 회사경영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에는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빈일자리 청년 취업지원금’ 등 구인난 지원 일자리사업을 신설‧확대*하고, 전국 고용센터의 ‘신속취업지원TF’ 등을 통해 구인 기업에 대한 채용지원도 지속 강화할 예정이며. 아울러,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지역별 맞춤형 대응방안을 담은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도 연내 발표한다.
*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23년 348억원 → ’24년 641억원 <확대>
(빈일자리 청년 취업지원금) ’24년 483억원(청년 2.4만명 지원)<신설>
이성희 차관은 “정부 주도의 공공일자리보다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우선하는 것이 現정부 고용정책의 핵심”이라고 말하며, “기업의 구인난 해소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노동개혁을 통한 중소기업의 근로여건 개선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