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 한샘의 주가 부진의 이유는 주택매매부진 및 유통망 확대 정책 수정을 반영한 밸류에이션 때문입니다.
월별 주택매매거래량이 20% 이상 감소하고 b2b 부문 영업 기여도가 낮아짐에 따라 고성장 모멘텀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한샘의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는 모멘텀은 중국시장에 달렸다고 보면 된다. 그 이유는 중국 가구 시장의 무서운 성장속도 때문입니다. 퇴근 20년 새 중국 가구 시장 규모는 해마다 30%이상씩 커졌다. 또한 뚜렷한 강자가 없다는 점도 매력입니다.
현재 중국시장의 가구 및 건자재 유통 1위 기업은 현지 브랜드 훙싱메이카이룽이지만 점유율이 10%를 넘지못한다는게 매력이다.
이케아는 1%도 못 미친다. 한샘은 현지 건설사를 대강으로 하는 기업간 거래 b2b사업을 통해 지난해 461억원의 매출을 올린게 전부입니다.
한샘은 지난 2월 300억원을 출자해 상하이 법인을 설립완료하였다. 법인 설립을 완료한 이유는 b2c 기업과 소비자간의 거래를 위해서 입니다. 시장조사를 계속해서 하고있고 실질적인 매출 발생은 2~3년후를 보고 있습니다.
현재 한샘의 주가는 일명 하락 11법칙 구간에 들어와 있으며 바닥을 치고 있어 부담스러운 가격대가 아닌것으로 판단됩니다.
한샘의 중국진출이 실적과 주가상승의 중요 포인트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승이슈 종목 정보 보러가기 -->
첫댓글 감사합니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