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방화촉(洞房花燭)
동방에 비치는 환한 촛불이라는 뜻으로, 혼례를 치르고 나서 첫날 밤에 신랑이 신부 방에서 자는 의식을 이르는 말이다.
洞 : 골 동(氵/6)
房 : 방 방(戶/4)
花 : 꽃 화(艹/4)
燭 : 촛불 촉(火/13)
동방(洞房)은 깊숙한 안쪽 방이라는 뜻으로, 여자들이 거처하는 방을 뜻하고, 화촉(華燭)은 혼인을 할 때 쓰는 물들인 초를 밝힌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혼례를 치르고 나서 첫날밤에 신랑이 신부 방에서 자는 의식을 뜻하나 요즈음은 혼인식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남녀간의 부부됨을 일러 결혼(結婚)이라 하지만 우리 전통으로는 혼인(婚姻)이다. 혼(婚)은 원래 혼(昏; 어두울 혼), 즉 해가 진 후에 예(禮)를 치른다는 뜻이고, 인(姻)은 ‘여자가 사람으로 말미암아 성례(聖禮)한다’는 뜻이다. 결혼이란 저녁에 맺어진다 하여 생긴 말이다.
고구려(高句麗)때는 혼인식(婚姻式)을 저녁에 베풀었다. 사위가 될 신랑이 저녁 무렵 신부집 문밖에 꿇어앉아 큰절을 하며 신부와 동침케 해줄 것을 애걸하면, 고자세가 된 장인, 장모가 밤 늦게야 미리 마련한 사위방에 들인다. 결혼하는 것을 장인, 장모집에 든다하여 ‘장가 든다’고 한 것은 이 같은 풍습에서 연유된 것이다.
또 초례(醮禮)라는 말은 신랑, 신부가 초례상(醮禮床)을 가운데 두고 동서로 나뉘어 앉아서 합환주(合歡酒)를 서로 마시면서 백년해로(百年偕老)를 의식으로서 혼인 절차 중 가장 중히 여긴 의식을 말한다.
신랑 신부가 초례를 마친 후 첫날 밤에 한방에서 함께 지내는 방을 신방이라 하고, 이를 동방화촉(洞房花燭)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청사초롱(靑紗燭籠) 불을 밝히고 시녀가 좌우로 신랑을 인도하여 신부방으로 안내하였다.
고례(古禮)를 보면, ‘신랑의 자리는 신부의 하녀가 신방의 동편에 펴고, 신부의 자리는 신랑의 하인이 서편에 펴고, 신랑의 벗은 옷은 신부의 하녀가, 또 신부가 벗은 옷은 신랑의 하인이 받고, 촛불을 물리면 하녀만이 문밖에서 모시고 있다’고 하였다.
흔히 우리는 결혼식을 ‘화촉(華燭)을 밝힌다’라고도 말하고 있는데 이 말은 촛불이 없었던 예전에는 자작나무의 수피에 불을 붙여 촛불 대용으로 쓴 것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자작나무는 한자로 화(華; 꽃 화) 또는 화(樺; 자작나무 화)로 표기되고 있는데 ‘화촉을 밝힌다’하면 이는 자작나무 수피의 불로 어둠을 밝혀서 행복을 부른다는 뜻이 담겨있는 곧 결혼식을 의미하게 된다. 자작나무류가 많은 지방에서는 이 나무로부터 기름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들 나무는 곧 밝음과 빛의 상징이었다.
화(華)는 가지에 피어 있는 예쁜 꽃의 모습으로 본디 뜻은 꽃이다. 그래서 ‘화려하다, 빛나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어 화려(華麗), 화사(華奢), 번화(繁華), 부귀영화(富貴榮華), 호화(豪華)라는 말이 있다.
촉(燭; 촛불 촉)은 화(火)와 촉(蜀)의 결합인데, 촉(蜀)은 ‘해바라기 벌레’를 말한다. 변색에 뛰어나 판단을 흐리게 하므로 물을 흐리게 하는 것이 탁(濁; 흐릴 탁)이고, 기어가는 모습이 뿔(角)을 쳐들고 가는 것과 같다고 하여 촉(觸; 뿔로 들어 받을 촉)자가 나왔다.
燭(촉)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불화(火=灬; 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손에 닿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蜀(촉)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손으로 드는 등불이라는 뜻이다. 용례로는 초를 꽂아 놓는 기구를 촉대(燭臺), 초가 탈 때 녹아 내리는 기름을 촉루(燭淚), 밝게 비추어 살핌을 촉찰(燭察), 촛불의 그림자를 촉영(燭影), 촛불의 아래라는 촉하(燭下) 등에 쓰인다. 또 욕심이 많아 혼자 먹는다 하여 짐승을 뜻하는 견(犬; 개 견)자를 덧붙여 독(獨; 홀로 독)자를 만들었는데, 본디 승냥이 같이 생긴 일종의 야생 개를 뜻한다.
촉(燭)은 촉(蜀)처럼 갉아먹듯이 하면서 불(火)을 밝힌다는 뜻으로 ‘초’나 ‘촛불’을 의미한다. 촉광(燭光), 촉대(燭臺), 촉수(燭數), 쌍촉(雙燭) 등이 있다. 따라서 화촉이라면 화려한 촛불로 붉은색의 초를 뜻하는데, 중국에서는 육조시대(六朝時代)부터 결혼식과 같은 경사스런 날에 화촉을 사용했다.
붉은 초에 흰 불이 타들어 가는 모습은 보기만 해도 아름답지 않은가. 그래서 화촉이라면 결혼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고 화촉을 밝혔다는 표현을 접할 때가 종종 있다. 그런데 화촉은 결혼 의식에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첫날밤을 지내는 신혼방에서도 사용했는데, 여기서 나온 말이 화촉동방(華燭洞房)이다. 곧 신혼방(洞房)에 화촉(華燭)을 밝혀 놓고 첫날밤을 보낸다는 뜻이다.
▶️ 洞(골 동, 밝을 통)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同(동)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洞자는 '마을'이나 '동굴'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洞자는 水(물 수)자와 同(같을 동)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同자는 여럿이 모여 한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함께'나 '같다'라는 뜻이 있다. 고대에는 강이나 하천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됐었다. 그러니 洞자는 사람들이 하천을 중심으로 한데 모여 산다는 의미에서 水자와 '함께'라는 뜻을 가진 同자가 결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洞(동, 통)은 (1)골이나 마을의 뜻을 나타냄 (2)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시, 읍, 구의 아래에 둠. 동의 아래에는 광과 반으로 편제되어 있음. 서울 특별시에는 관할 인구 1만 5천 명을 기준(基準)하여 한 동으로 정(定)했음 (3)동사무소(洞事務所) 등의 뜻으로 ①골, 골짜기 ②고을, 마을, 동네 ③굴(窟), 동굴(洞窟) ④공경(恭敬)하는 모양 ⑤혼돈한 모양 ⑥서로 이어진 모양 ⑦깊다, 그윽하다 ⑧비다 ⑨공허(空虛)하다 ⑩빨리 흐르다 ⑪(물이 세차게)치솟다 ⑫설사(泄瀉)하다, 그리고 ⓐ밝다(통) ⓑ꿰뚫다(통) ⓒ통(通)하다(통) ⓓ통달(通達)하다(사물의 이치나 지식, 기술 따위를 훤히 알거나 아주 능란하게 하다)(통)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동네 방(坊), 마을 부(府), 마을 촌(邨), 마을 촌(村), 마을 서(署), 마을 아(衙), 마을 리(里), 마을 려(閭), 마을 염(閻)이다. 용례로는 마을로 지방 행정 구역인 동과 리의 총칭을 동리(洞里), 깊고 넓은 굴을 동굴(洞窟), 동네 어귀를 동구(洞口), 한 동네의 우두머리를 동장(洞長), 잠자는 방을 동방(洞房), 한 동네 안에서 사는 사람을 동민(洞民), 하늘에 잇닿음 또는 신선이 사는 곳을 동천(洞天), 마을을 지켜 주는 신께 드리는 제사를 동제(洞祭), 동네의 일을 협의하는 모임을 동회(洞會), 벼랑이나 바위에 있는 굴의 구멍을 동혈(洞穴), 물체 속에 아무것도 없이 빈 것 또는 그 구멍을 공동(空洞), 자기가 살고 있는 동네 또는 지금 이야기되고 있는 이 동네를 본동(本洞), 신선이 산다는 산골을 선동(仙洞),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을 갱동(炕洞), 풍경이 아득하게 멀고 깊은 모양을 홍동(澒洞), 가까운 이웃에 있는 동네를 근동(近洞),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깊이 헤아려 살핌을 통촉(洞燭), 환히 내다봄 또는 꿰뚫어 봄을 통찰(洞察), 뚫어서 통함을 통관(洞貫), 앞일을 환히 내다 봄 또는 속까지 꿰뚫어 봄을 통견(洞見), 물똥을 좍좍 쌈 또는 그렇게 하는 설사를 통설(洞泄), 막힘이 없이 트이어 밝고 환함을 통연(洞然), 속까지 잘 앎을 통지(洞知), 부인의 방에 촛불이 아름답게 비친다는 뜻으로 신랑이 신부의 방에서 첫날밤을 지내는 일로 결혼식날 밤 또는 혼례를 이르는 말을 동방화촉(洞房華燭), 매우 공경하고 삼가하여 조심스러운 모양을 일컫는 말을 동동촉촉(洞洞屬屬), 신혼 부부가 첫날밤을 지내는 방을 일컫는 말을 화촉동방(華燭洞房), 범 없는 골에 이리가 범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 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을 무호동중(無虎洞中), 천지가 탁 트여 아무런 장해도 될 것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건곤통연(乾坤洞然) 등에 쓰인다.
▶️ 房(방 방)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지게 호(戶; 지게문)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곁의 뜻을 가진 方(방)으로 이루어졌다. 당집 옆의 작은 방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房자는 '방'이나 '거실', '가옥'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房자는 戶(지게 호)자와 方(모 방)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方자는 소가 끄는 쟁기를 그린 것으로 '방향'이나 '네모'라는 뜻을 갖고 있다. 房자에 쓰인 方자는 발음역할을 하면서도 '네모'라는 뜻도 함께 전달하고 있다. 보통의 거주공간은 네모난 구조로 지어져 있다. 그러니 房자는 네모난 방(方)으로 들어가는 출입구(戶)라는 의미에서 '방'을 뜻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房(방)은 (1)궁(宮) (2)조선시대 때 시전(市廛)보다 작고 가가(假家)보다 큰 가게 (3)사람이 거처하거나 일하기 위하여 집안에 만들어 놓은 간. 방사(房舍) (4)성(姓)의 하나 (5)방성(房星) 등의 뜻으로 ①방(房), 곁방 ②규방(閨房), 침실(寢室) ③거실(居室) ④관아(官衙) ⑤사당(祠堂) ⑥집, 가옥(家屋) ⑦전동(箭筒; 화살을 담아 두는 통) ⑧아내, 처첩(妻妾) ⑨방성(房星; 28수의 하나) ⑩별의 이름 ⑪도마(제사의 희생을 올려놓는 제기) ⑫둑, 제방(堤防) ⑬송이, 꽃송이 ⑭향시(鄕試; 지방에서 실시하던 과거의 초시 初試)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로 안방 규(閨)가 있다. 용례로는 방을 드나드는 문을 방문(房門), 집안에 사람이 거처하거나 일을 하기 위해 벽 따위로 막아 만든 간을 방사(房舍), 방을 빌린 세를 방세(房貰), 겨울에 외풍을 막고자 창문이나 방문에 치는 휘장이나 모기장이라는 방장(房帳), 남녀가 성적으로 관계하는 일을 방사(房事), 방안이나 방안에 들어 앉은 사람들을 방중(房中), 방을 덥게 함을 난방(暖房), 더운 철에 일부러 방 안의 온도를 낮춤을 냉방(冷房), 음식을 차리는 방을 주방(廚房), 한약을 지어 파는 곳을 약방(藥房), 세를 내고 빌어 쓰는 방을 셋방(貰房), 차를 마시는 곳을 다방(茶房), 혼자서 거처하는 방을 독방(獨房), 형무소에서 죄수를 가두어 두는 방을 감방(監房), 주인 마누라가 거처하는 방을 내방(內房), 남을 대신하여 일을 처리함을 대방(代房), 서재에 꼭 있어야 할 네 벗 즉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일컫는 말을 문방사우(文房四友), 글을 쓰는 네 가지 벗이라는 뜻으로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일컫는 말을 문방사보(文房四寶), 부인의 방에 촛불이 아름답게 비친다는 뜻으로 신랑이 신부의 방에서 첫날밤을 지내는 일로 결혼식날 밤 또는 혼례를 이르는 말을 동방화촉(洞房華燭), 신혼 부부가 첫날밤을 지내는 방을 일컫는 말을 화촉동방(華燭洞房), 빈방에서 혼자 잠이란 뜻으로 부부가 서로 별거하여 여자가 남편없이 혼자 지냄을 뜻하여 이르는 말을 독수공방(獨守空房), 빈 방에서 혼자 잔다는 뜻으로 독수공방으로 와전되어 일컫는 말을 독숙공방(獨宿空房), 무슨 일이나 빠짐없이 끼임 또는 반드시 끼어야 할 사물을 일컫는 말을 약방감초(藥房甘草), 각각 딴 방에서 지냄을 일컫는 말을 각방거처(各房居處),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을 형용해 이르는 말을 봉방수와(蜂房水渦), 기생을 첩으로 삼음을 일컫는 말을 화방작첩(花房作妾), 딴 여자를 보고 다님 또는 계집질을 하고 다님을 일컫는 말을 외방출입(外房出入) 등에 쓰인다.
▶️ 花(꽃 화)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化(화)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초두머리(艹)部는 식물, 花(화)는 후세에 생긴 글자로 본래는 華(화)로 쓰였다. 음(音)이 같은 化(화)를 써서 쉬운 자형(字形)으로 한 것이다. ❷형성문자로 花자는 ‘꽃’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花자는 艹(풀 초)자와 化(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化자는 ‘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본래 소전에서는 땅속에 뿌리를 박고 꽃을 피운 모습을 그린 芲(꽃 화)자가 ‘꽃’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지금의 花자가 모든 ‘꽃’을 통칭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花(화)는 성(姓)의 하나로 ①꽃 ②꽃 모양의 물건 ③꽃이 피는 초목 ④아름다운 것의 비유 ⑤기생(妓生) ⑥비녀(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⑦비용(費用) ⑧얽은 자국 ⑨꽃이 피다 ⑩꽃답다, 아름답다 ⑪흐려지다, 어두워지다 ⑫소비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꽃구경을 하는 사람을 화객(花客), 꽃을 꽂는 그릇을 화기(花器), 뜰 한쪽에 조금 높게 하여 꽃을 심기 위해 꾸며 놓은 터 꽃밭을 화단(花壇), 꽃 이름을 화명(花名), 꽃처럼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을 화용(花容), 환갑날에 베푸는 잔치를 화연(花宴), 화초를 심은 동산을 화원(花園), 꽃과 열매를 화과(花果), 꽃을 파는 곳을 화방(花房), 꽃병 또는 꽃을 꽂는 병을 화병(花甁), 꽃놀이 또는 꽃을 구경하며 즐기는 놀이를 화유(花遊), 비가 오듯이 흩어져 날리는 꽃잎을 화우(花雨), 온갖 꽃을 백화(百花), 많은 꽃들을 군화(群花), 꽃이 핌으로 사람의 지혜가 열리고 사상이나 풍속이 발달함을 개화(開花), 떨어진 꽃이나 꽃이 떨어짐을 낙화(落花), 한 나라의 상징으로 삼는 가장 사랑하고 가장 중하게 여기는 꽃을 국화(國花), 암술만이 있는 꽃을 자화(雌花), 소나무의 꽃 또는 그 꽃가루를 송화(松花), 시들어 말라 가는 꽃을 고화(枯花), 살아 있는 나무나 풀에서 꺾은 꽃을 생화(生花), 종이나 헝겊 따위로 만든 꽃을 조화(造花), 열흘 붉은 꽃이 없다는 뜻으로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이르는 말을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무늬가 같지 않음 또는 문장이 남과 같지 않음을 화양부동(花樣不同),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의 고운 자태를 이르는 말을 화용월태(花容月態), 꽃이 핀 아침과 달 밝은 저녁이란 뜻으로 경치가 가장 좋은 때를 이르는 말을 화조월석(花朝月夕),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이르는 말을 금상첨화(錦上添花), 말을 아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녀를 일컫는 말 또는 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을 해어화(解語花), 눈처럼 흰 살결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란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일컫는 말을 설부화용(雪膚花容), 마른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의 사람이 행운을 만나 신기하게도 잘 됨을 말함을 고목생화(枯木生花), 달이 숨고 꽃이 부끄러워 한다는 뜻으로 절세의 미인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폐월수화(閉月羞花) 등에 쓰인다.
▶️ 燭(촛불 촉)은 ❶형성문자로 烛(촉)은 통자(通字), 烛(촉)은 간자(簡字), 爥(촉)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불화(火=灬; 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손에 닿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蜀(촉)으로 이루어졌다. 손으로 드는 '등불'의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燭(촉)자는 '촛불'이나 '등불', '비추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燭(촉)자는 火(불 화)자와 蜀(나라이름 촉)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蜀자는 누에고치를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 역할만을 하고 있다. 燭(촉)자는 어두운 방 안을 밝히던 '초'나 '촛불'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이다. 그래서 燭(촉)은 (1)촉광(燭光)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촛불 ②등불 ③비추다 ④비치다 ⑤간파(看破)하다(속내를 꿰뚫어 알아차리다) ⑥꿰뚫어 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등불이나 촛불의 빛을 촉광(燭光), 초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을 촉장(燭匠), 초를 꽂아 놓는 기구를 촉대(燭臺), 초의 심지를 이르는 말을 촉심(燭心), 글 짓는 시간을 한정하기 위하여 불을 켠 초에 금을 긋는 일을 촉각(燭刻), 총명하여 사리에 밝음을 촉리(燭理),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초를 화촉(樺燭), 촛불을 듦 또는 초에 불을 켬을 거촉(擧燭), 제사나 불공 따위의 의식 때에 피우는 향과 초를 향촉(香燭), 등불과 촛불을 이르는 말을 등촉(燈燭), 밝은 촛불이라는 말을 명촉(明燭), 꿀벌의 밀로 만든 불을 켜는 초를 황촉(黃燭), 밀랍으로 만든 초를 납촉(蠟燭), 연꽃 모양으로 만든 촛대를 연촉(蓮燭), 거의 다 타 꺼지려는 촛불을 잔촉(殘燭), 화살이 과녁에 닿았다가 튀어서 뒤로 물러남을 퇴촉(退燭),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깊이 헤아려 살핌을 통촉(洞燭),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으로 사물이 오래 견디지 못하고 매우 위급한 자리에 놓여 있음을 가리키는 말을 풍전등촉(風前燈燭), 부인의 방에 촛불이 아름답게 비친다는 뜻으로 신랑이 신부의 방에서 첫날밤을 지내는 일로 결혼식날 밤 또는 혼례를 이르는 말을 동방화촉(洞房華燭), 화촉을 밝히는 의식이란 뜻으로 혼인식을 달리 일컫는 말을 화촉지전(華燭之典), 장님이 쟁반을 두드리고 초를 어루만져 본 것만 가지고 태양에 대해 말한다는 뜻으로 남의 말만 듣고 지레짐작으로 이렇다 저렇다 논하지 말라는 말을 구반문촉(毆槃捫燭), 어두운 거리에 밝은 등불이라는 뜻으로 삶의 가르침을 주는 책을 이르는 말을 암구명촉(暗衢明燭), 촛불을 들고 밤에 논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을즈음 낮에 놀던 흥이 미진해서 밤중까지 놂을 이르는 말을 병촉야유(秉燭夜遊), 촛불을 들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시기에 늦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병촉야행(秉燭夜行)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