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종목 | 이슈요약 |
하이딥 (365590) | 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고범규(최대주주) 등 대상으로 9,633,960주(5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519원, 상장예정:2025-03-21) 공시. |
와이랩 (432430) | 넷플릭스와 OTT 콘텐츠 제작 계약 체결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 와 공급계약(OTT 콘텐츠 제작) 체결(계약기간:2025-02-17~2026-08-31) 공시. |
글로본 (019660) | 49.99억원 규모 제3 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한상호(최대주주) 대상으로 7,042,253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710원, 상장예정:2025-03-19) 공시. |
오스테오닉 (226400) | 25년1분기 Zimmer를 통한 미국 진출 본격화 전망 등에 급등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4 실적은 매출액 97억원 (+21% YoY), 영업이익 19억원 (-20% YoY)으로역대 최대 분기 매출 달성에 성공했다고 밝힘. 4분기가 성수기라는 점과 자체 브랜드의 순조로운 램프업이 호실적의 핵심 요인이라고 밝힘. ▷아울러 핵심 투자포인트로 언급되어왔던 Zimmer향 미국 매출은 1Q25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 특히, 올해 3월 첫 선적을 시작으로 연간 유의미한 매출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고 밝힘. ▷또한, 동사는 최근 존슨앤존슨으로부터 골이식재 DBX Putty의 국내 판권을 확보한 가운데, 1Q25부터 즉각적인 매출 발생 이 가능한 상태라고 밝힘. 국내 연간 1,000억원 규모의 시장으로 추정되는 아이템이며, 골이식재 매출 발생과 함께 연간 실적 업사이드 또한 열리길 기대한다고 밝힘. |
엣지파운드리 (105550) | 한화인텔리전스와 합병 청신호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화인텔리전스와의 합병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지난해 12월6일 합병을 공시한 이후 지난 6일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는 합병 계약 승인안이 가결됐고, 최근 매수청구권 가격마저 웃돌며 사실상 합병의 9부 능선을 넘었기 때문으로 알려짐. ▷한편, 한화인텔리전스는 지난 3년간 연구개발(R&D)을 통해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공정 호환 생산이 가능한 320x240 픽셀 해상도(QVGA)급 열화상 센서를 개발했으며, 생산시설을확보하는 한편, 초과 수요에 대해서도 외부 CMOS 공정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량 생산을 위한기술적 환경을 마련한 바 있음. 이번 합병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동사는 한화인텔리전스의 비냉각형 열화상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방위산업, 로봇, 자율주행, 우주산업 등 다양한산업군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 이와 관련, 남용현 동사 대표는 "대량 양산이 가능한 기계설비를 갖추고 신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에 본격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 |
코윈테크 (282880) | 320억원 규모 '배터리 조립·활성화 공정 자동화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320억원 규모의 원통형 46파이 배터리 조립·활성화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수주를 통해 글로벌메이저 배터리사에 조립·활성화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두 차례에 걸쳐 공급할 예정. 총 320억원 규모 가운데 최근 1차분인 160억원 가량의 발주서(PO)를 받았으며, 하반기에 2차 발주서를 받을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자동화시스템 외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이송 로봇의 제어, 초정밀 도킹(Docking) 기술을 인정 받아 AMR(자율주행로봇) 공급계약을 확보하는 등 자동화 로봇 수주도 증가하고 있어 올해부터는 산업별 사업 확장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힘. |
코스텍시스 (355150) | 와이어 본딩 대체 '칩·비아 스페이서' 기술 양산 발표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일부 언론을통해 신제품 '칩 스페이서와 비아 스페이서'를 활용해 와이어 본딩이 없는 첨단 전력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양산할 것이라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전력 반도체 스페이서 개발을 완료했으며, 2024년부터 글로벌 대형 고객사들의 양산 퀄 테스트를 통과한 후 수주 활동을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양산 시설 투자도 추진 중이며, 올해 6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 ▷한규진 대표는 "현재전 세계 많은 반도체 기업이 SiC 반도체 8인치 웨이퍼 양산을 위한 대규모 시설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이미 양산을 발표한 상태다. 이에 따라 본딩 와이어를 대체하는 전력 반도체 스페이서의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 측은 향후 매출 성장이크게 기대된다"고 밝힘. |
유니온커뮤니티 (203450) | 1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체결 결정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2-17~2025-08-18, 신한금융투자(주)(SHINHAN INVESTMENT CORP.)) 공시. |
센코 (347000) | 성장성과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 부각 전망 등에 상승 |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는 동사에 대해 2025년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이 강화되며 향후 성장성과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특히, 중국 시장에서 하니웰 대체 수요를 흡수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동사의 센서기기는 2024년 중국 방폭 규격 인증 CPA 및 CNEx를 획득, BOE, HUAWEI, SMIC, NAURA 등 생산라인에서 필드 테스트 진행 중이고, 2025년부터 중국 법인 'GXC'를 통해 가스 안전기기 판매를 본격화할 전망. ▷한편, 2025년 매출액 436억원(+23% YoY), 영업이익 44억원(+51% YoY)을 예상하며, 향후 의미 있는 PO(Purchase order) 확보가 기대되나, 아직 추가 절차가 남아 있어 2025년 실적 전망은 보수적으로 추정.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경우, 센서 내재화(국산화) 경쟁력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실적 성장 여력이 높다고 판단. |
테스 (095610) | 올해호실적 전망 및 향후 반도체 장비 부분 긍정적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영업이익은 604억원(+62%YoY)으로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NAND 업그레이드 투자의 수혜가있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고객사 투자 시점 변경 등으로 인해 1Q25 영업이익은 108억원(-48%QoQ)을 기록하며 부진할 전망이지만, 2Q25와 3Q25에는 크게 회복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일본의 Kioxia가 최근 들어 신규 장비 증설에 나서고 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기존 장비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는 eSSD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것으로 파악되고 이는 동사의 반도체 장비 부분 실적 전망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6,000원 -> 29,000원[상향] |
인크로스 (216050) | 메타 프리미엄 파트너사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글로벌 테크 기업 메타의 프리미엄 파트너사로 선정됐다고 밝힘. 손윤정 동사 대표는 “동사는 작년까지 ‘메타 에이전시 퍼스트 어워즈(Meta Agency First Awards)’에서 6년 연속 수상했을 만큼 메타 광고 플랫폼에 대한높은 이해도와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며 “올해도 메타를 포함한 다양한 파트너사 및 광고주의 기대를 뛰어넘는 성과를 창출하고 더 많은 성공사례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밝힘. |
쏠리드 (050890) | 양자암호통신 협력 기대감 및 5G/6G 투자 활성화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양자암호통신 관련 기업인 크립토랩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사업 협력 기대감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기존 SKT 주요 벤더인데다가 SKT 양자암호통신 시험망 사업에 참여한 바 있어 SKT 양자암호통신 5G/6G 사업 확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고, 2025년에는 안정적 관공서 매출 지속과 미국 오픈랜 시장 확대에 따른 유의미한 이익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2025년 주파수 경매 이후 2026년 통신장비 업종빅사이클 진입 가능성을 감안 시 PBR 1배 수준인 현재 주가는 과도하게 저평가되어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0,000 원 -> 15,000원[상향] |
크라우드웍스 (355390) | 유안타증권과 종목 분석을 도와주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공동 개발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안타증권과 종목 분석을 도와주는 AI 에이전트(AI Agent) 서비스를 공동 개발했다고 밝힘. '유안타 AI 에이전트'는 기업의 재무정보, 기업 분석, 시장 전망, 주가 및 거래내역, 산업 동향, 법적 규제 등 투자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대화형AI 서비스이며, 지난 1월 금융위원회를 통해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바 있음. ▷이와 관련, 김우승 대표이사는 "유안타 AI 에이전트 서비스는 크라우드웍스의 에이전틱 AI개발 솔루션 '알피'의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로, 기존 AI 챗봇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정교하고 신뢰도 높은 종목 분석 AI 서비스를 구현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금융사들과 협력해서 금융 분야의 AI 혁신을 함께 만들어가는 핵심 전략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힘. |
우리넷 (115440) | 지난해 실적 호조 및 양자암호통신 경쟁력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4년 매출액은 1,316억원(YoY +10.5%), 영업이익은 201억원(YoY +136.6%)을 기록하며, 2023년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밝힘. 실적 성장의 핵심 배경은 2023년 7월 KT와 체결한 799억원 규모의 차기 국방광대역통합망 장비 구축 사업이라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QENC, QKD, QKMS, PQC 등 다양한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자체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SK브로드밴드와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입증해 나가고 있다고 밝힘.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양자보안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
이엔셀 (456070) | 유전성망막색소변성 치료를 위한 AAV 플랫폼 기술 특허 출원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특허청에 유전성망막색소변성 치료를 위한 AAV 플랫폼 기술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관계자는 “동사는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강자로서 AAV 기반 치료제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이 분야를 집중 육성해 왔다”며, “동사의 탁월한 기술력과 글로벌 수준의 GMP를 바탕으로 한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분야 또한 회사의 신성장동력으로서CDMO 사업에 터닝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이노와이어리스 (073490) | 큐셀네트웍스와의 소규모합병 이사회승인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큐셀네트웍스와의 소규모합병 이사회 승인 공시. |
신테카바이오 (226330) | 지난해 적자지속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0억원(전년대비 -2.04%), 영업손실 142.6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순손실 72.1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디와이디 (21955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해제 1건)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
코아시아 (045970)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698.83억원(전년대비 -2.05%), 영업손실 348.5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75.9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대한광통신 (010170)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17.80억원(전년대비 -15.80%), 영업손실 255.3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82.2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이에 동사는 광섬유 시장가격 하락에 따른 매출 및 손익이 악화됐다고 설명. |
샤페론 (378800)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24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0.17억원(전년대비 -91.77%), 영업손실151.4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49.0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이화공영 (001840) | 지난해 적자지속에 급락 |
▷24년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099.99억원(전년대비-27.24%), 영업손실 413.9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31.3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