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출산율이 9년만에 처음으로 작년의 0.72명에서 0.74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지난 7월~ 8월에 20,000명 이상의 아기가 태어나서 전년동기대비 1,100~1,500명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출산율 상승 추세를 유지하기 위한 정책의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인구가 현상유지되기위한 이론적 출산율은 2.0 입니다.
Korea likely to see fertility rate rebound this year for 1st time since 2015
한국,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올해 출산율 반등 전망
By Lee Hae-rin 이혜린 기자
Posted : 2024-11-26 16:17 Updated : 2024-11-26 20:37
Korea Times
Marriages, child births increase after pandemic
팬데믹 이후 결혼, 출산 증가
Korea, long known for having the world’s lowest fertility rate, could see an increase in childbirths this year — the first rise in nine years — according to recent estimates by relevant government bodies.
오랫동안 세계 최저 출산율로 유명했던 한국은 최근 관련 정부 기관의 추산에 따르면 올해 출산율이 9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expects the nation’s total fertility rate to stand at 0.74 child this year, up from 0.72 in 2023.
대통령 직속 고령화사회 및 인구정책위원회는 올해 전국의 합계 출산율이 2023년 0.72명에서 0.74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he total fertility rate represents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a woman is expected to have over the course of her lifetime.
합계 출산율은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수를 나타낸다.
If this estimate proves to be accurate, it will mark the first increase in childbirths here since 2015, when the fertility rate stood at 1.24 children. Additionally, the rate would be higher than the 0.68 forecast for this year by Statistics Korea.
이 추정치가 정확하다는 것이 입증되면 출산율이 1.24명이었던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출산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 비율은 통계청의 올해 전망치인 0.68명보다 높을 것이다.
"If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marriages and births is maintained, the total fertility rate this year is expected to be around 0.74, higher than 0.72 seen last year,"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Vice Chairman Joo Hyung-hwan said during a conference hosted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Monday.
주형환 대통령 직속 고령사회 및 인구정책위원회 부위원장은 월요일 전국 경제인연합회 주최 컨퍼런스에서 "최근 결혼과 출산 건수 증가세가 유지된다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보다 높은 0.74명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also released a similar estimate last month.
국회 예산정책처도 지난달 비슷한 추정치를 발표했다.
"This year's total fertility rate is expected to rebound for the first time since 2015,” the office predicted. “It will rise by 0.2 child from the previous year (0.72) and is forecast to continue to rise until 2028."
이 기관은 "올해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처음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년(0.72명)보다 0.2명 증가할 것이며 2028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망했다.
However, the total popul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to decline as the number of deaths will exceed the number of births, according to the office.
그러나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어설 것이기 때문에 전체 인구는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예산정책처는 밝혔다.
The estimates by the committee and the office are based on recent increases in births and marriages, as many people who delayed getting marri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ave since tied the knot.
위원회와 정책처의 추정치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결혼을 연기한 많은 사람들이 결혼을 미루면서 최근 출생과 결혼이 증가한 것을 근거로 한다.
Over 20,000 babies were born from July to August, which is about 1,100 to 1,500 higher than the same period last year.
7월부터 8월까지 20,000명 이상의 아기가 태어났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약 1,100~1,500명 높은 수치이다.
Also, the number of couples who got married from January to August this year stood at 146,503, an increase of 15,918 couples, or 12.2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또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결혼한 부부는 14만 6,503쌍으로 전년 대비 1만 5,918쌍(12.2%) 증가했다.
Experts highlighted the need for consistency in policies to maintain the upward trend in the birthrate.
전문가들은 출산율 상승 추세를 유지하기 위한 정책의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ong Sok-chul, an economic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aid, "The effect of the policies aimed at boosting birthrates will appear with a time difference of one to two years. We need to continue consistent measures to ensure that the trend of childbirth and marriage increases continues."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의 효과는 1~2년의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이라며 출산과 결혼 증가 추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일관된 대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In addition to the recent trend, we can expect more positive results if these policies start to work properly," he said.
"최근의 추세에 더해 이러한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 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고 그는 말했다.
The committee surveyed 2,592 people aged 25 to 49 and found that 60.6 percent of respondents cited securing time for childca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for dual-income households.
위원회는 25~49세 2,5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6%가 육아시간 확보를 맞벌이 가구의 일과 가정생활 균형을 맞추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Also, 88.1 percent of respon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companies fully support employees in using child-rearing assistance programs.
또한 응답자의 88.1%는 기업이 자녀 양육 지원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직원을 전적으로 지원하는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Fertilityrate출산율 #PresidentialCommitteeonAgeingSocietyandPopulationPolicy대통령직속고령화사회및인구정책위원회 #Marriageincrease결혼증가 #Childbirthrebound출산반등#Consistentpolicy일관된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