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10월18일(수요일) 해파랑길 제 44 코스 탐방일정
회비 33,000원 8월21일 결제, 24번 좌석 예약
탐방지 : 해파랑길 제 44 코스
[해파랑길 44코스 탐방코스 : (수산항 입구~(5.0Km)~낙산해변~(1.7Km)~낙산사 입구~(2.8Km)~설악해변~(3.1Km)~속초 설악해맞이공원)
[길이 13.3km, 소요시간 4시간 30분, 난이도 쉬움]
코스 개요
- 수산항에서 출발해 낙산 해변과 낙산사를 지나 설악해맞이공원에 이르는 길
- 역사와 전통을 지닌 낙산사와 동해안 관동팔경을 감상할 수 있는 코스
관광 포인트
- 관동8경 중 하나이자 조계종 선정 33관음성지 중 하나이며,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낙산사
- 오색온천, 설악산, 낙산사, 하조대 등 주변 관광지와 더불어 사랑받는 설악해변
- 동해바다와 설악산에 둘러싸인 공원으로 조각작품이 전시된 설악해맞이공원
- 숙박시설과 맛집 싱싱한 활어회를 맛볼 수 있는 양양의 대표 어항 물치항
여행자 정보
- 양양시외버스터미널 3번 버스 이용, 수산리 정류장 하차 도보 이동(500m)
- 낙산해변, 설악해변, 속초 해맞이공원에서 매점 이용 가능
- 낙산대교에서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생태환경을 관찰 가능 ]
탐방코스: [ 설악항 공영주차장~설악해맞이공원~물치 해안공원~물치항 방파제등대~정암 해수욕장~설악해수욕장~낙산사~낙산해수욕장~낙산대교~수산항~문화마을 정류장 ] (12.6km)
탐방일 : 2023년 10월 18일(수요일)
날씨 : 청명한 날씨 [양양군 손양면 최저기온 12도C, 최고기온 23도C]
탐방코스 및 탐방 구간별 탐방 소요시간 (총 탐방시간 5시간 소요)
07:10~09:50 "좋은사람들" 버스로 양재역 12번 출구 근방 국립외교원 앞에서 출발하여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835-6 번지에 있는 설악항 공영주차장으로 이동 (186km) [2시간40분 소요]
09:50~09:55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835-6 번지에 있는 설악항 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설악해맞이공원(해파랑길 제 44 코스의 종점)으로 이동
[속초 설악해맞이공원 : 설악항 옆에 위치한 공원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64 (대포동)
설악산 입구, 내물치(內勿淄)라 불리던 곳이 새롭게 단장해 설악해맞이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7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대포항과 양양, 설악산으로 길이 갈리는 교통의 요지로 일출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해맞이 공원에는 해맞이광장, 연인의 길, 행복의 길, 사랑의 길 등 다양한 테마를 가진 조각상과 함께 설악산 관문 상징조형물과 조명분수대 등 산책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이 있다. 바닷가 갯바위에 인어연인상이 있다.]
* 내물치의 유래 - 조선시대 우암 송시열 선생이 함경도 덕원에서 거제도로 유배되어 동해안을 따라 이곳을 지나다가 날이 저물어 머무르게 되었는데, 폭우로 물이 불어 며칠 더 체류하다 떠나면서 ′물에 잠긴 마을′이라 하여 ′물치′라 불렀다고 한다. 동해안 바닷가는 대부분 해안절벽이거나 아니면 모래사장인데, 이 해맞이공원의 바닷가는 자갈과 돌로 이뤄졌다.]
[인어연인상
대포항 쪽 정류장 근처의 바닷가에 있는 조각상이다. 설악항 북쪽의 갯바위 위에 연인처럼 보이는 한 쌍의 인어가 앉아 있으며, 언뜻 보면 덴마크의 유명한 인어상을 떠올리게 한다. 이곳 인어 연인상에는 가슴 아픈 이야기가 전해진다. 서로 결혼을 약속한 처녀, 총각이 있었는데 남자가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조난을 당하자 여인은 이 갯바위에서 앉아 그를 그리워하다 숨졌다는 민담이다. 안타까운 사랑을 맺어주고자 마을 사람들이 조형물을 세웠다고 한다. 다정한 모습의 인어 연인상은 비록 슬픈 이야기지만 행복한 결말을 바라는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 이곳에서 사진을 찍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속설 때문에 해마다 많은 연인들이 이곳을 찾아 사랑을 약속한다. 인어 연인상에서 지척인 거리에 설악해맞이공원이 있다.]
09:55~10:15 속초 설악해맞이공원 탐방
10:15~10:25 물치해안공원으로 이동
[길이 6.4m, 너비 8.2m의 대형 황금 연어조형물을 설치해 연어의 고장으로서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했으며 7.3m 높이의 2층 일출전망대를 설치해 수평선에서 떠오르는 해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연어 조형물 옆에는 붉은 색의 연어 알 조형물도 있다.
매년 1월 1일에는 일출 관광객들이 공원에 운집하여 일출을 감상하는 등 양양의 새로운 해맞이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10:05~10:25 물치항(沕淄港)으로 이동
[물치항 방파제등대가 위치한 물치항은 일출 명소로 유명한 지방어항이다. 물치항을 둘러싸고 있는 두 등대는 낮에도 독특한 경치를 보여주지만, 두 등대 사이로 해가 뜰 때 즈음에는 더욱 아름다운 장관으로 동해의 정취를 만끽하게 해준다.
물치항은 맑고 깨끗한 동해안에서 갓 잡은 오징어, 대게, 개불, 숭어, 가자미 등 싱싱한 수산물을 사시사철 맛볼 수 있는 항구로도 유명한데, 특히 10월에 제철을 맞는 '도루묵'은 특유의 매력적인 맛으로 전국 미식가들의 입맛을 유혹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설악산과 오대산 사이의 깊은 산자락에서 솔향을 가득 머금고 자란 양양 송이버섯도 맛볼 수 있는데, 양양 송이버섯은 일반 송이버섯보다 맛과 향이 뛰어나 최고의 별미로 인정받고 있다.]
10:25~10:40 물치항 방파제 등대(일명 송이버섯 등대) 탐방
[물치항 방파제등대는 양양 특산물인 송이버섯 모양을 본떴다. 그래서 '송이버섯 등대'로 불린다. 2개의 송이 등대는 각각 방사제(흰색 등대)와 방파제(빨간색 등대)에 있다. 등대 인증 대상은 빨간색 등대이다. 매일 밤 5초에 한 번씩 불빛을 반짝이며 만선의 꿈을 안고 물치항을 드나드는 어선들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물치항 방파제등대는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특이한 형태와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 등대 17곳 중 하나이다.
1. 감포항등대(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리 504-50)
2. 구시포항등대(전북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984)
3. 구조라항등대(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항남방파제끝단)
4. 도남항등대(경남 통영시 도남항 동방파제끝단)
5. 목포북항등대(전남 목포시 죽교동672)
6. 물치항등대(강원 양양군 강현면 물치리 7-18)
7. 삼길포항등대(충남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1-35)
8. 서암항등대(부산 기장군 기장읍 연화리 297-5)
9. 선유도항등대(전북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474-1)
10. 여수구항하멜등대(전남 여수시 종화동 458-7)
11. 완도항등대(전남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1017-2)
12. 이호랜드등대(제주 제주시 이호1동 375-43)
13. 정자항등대(울산 북구 정자동 638)
14. 창포말등대(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산5-5)
15. 칠암항등대(부산 기장군 일광면 칠암리 2-15)
16. 톱머리항등대(전남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809-33)
17. 포교항등대(경남 고성군 삼산면 두포리 1086-3) ]
10:40~10:45 사진촬영
10:45~11:15 정암 해수욕장으로 이동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정암1리의 정암해수욕장은 7번 국도변에 자리한다. 해변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가 조성돼 있다. 해변은 자갈이 간간이 섞인 부드러운 모래로 이뤄져 있으며, 물이 깨끗하고 경사도가 심하지 않아 가족단위 여행객이 주로 찾는다. 해변 바로 앞으로 바다가 바라다 보이는 전망 좋은 카페들이 있다. 모래사장 뒤로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는데 솔밭 캠핑도 가능하다. 해수욕장은 매년 7월 15일부터 8월 22일까지 개장하며, 매년 8월 첫째 주 토요일에는 조개잡이 축제가 열린다. 여름 피서철에는 해변 한쪽으로 마을 부녀회에서 운영하는 향토 먹거리 식당과 농특산물 판매장이 들어선다. 부녀회 식당에서는 토종닭, 감자부침, 도토리묵 등을 맛볼 수 있다. 인근에 낙산사, 후진항, 물치항 등이 있다.]
11:15~11:45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뒷나루2길 5-8 번지에 있는 설악해수욕장으로 이동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2리에 위치한 길이 1km, 폭 80m의 해수욕장이다. 여느 동해 해수욕장에 비해 수심이 얕고 조용하며, 백사장 모래가 고와 가족 단위 여행객이 많이 찾는다. 낙산해수욕장과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이웃해 있는데 낙산사와 해수관음상이 바라다보일 정도다. 매년 7월 14일부터 8월 23일까지 해수욕장을 운영하며, 백사장 내 약 1,000㎡ 규모의 야영장과 편의시설이 위치한다. 인근에 유료 주차장이 있다. 속초와 양양에서 시내버스가 수시로 오가고, 7번 국도변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해수욕장 바로 앞에 있는 활어 판매장에서 싱싱한 회를 맛볼 수 있다. 방파제에서는 연중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다. 인근 관광지로 낙산사, 낙산항, 하도재, 오색온천 등의 관광지가 있다.]
11:45~12:10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번지에 있는 낙산사(洛山寺)로 이동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도량 : 동해의 낙산사(洛山寺), 서해의 석모도 보문사(普門寺), 남해의 금산 보리암(菩提庵)]
[낙산사 입장요금 : 무료]
12:10~12:40 [홍예문~사천왕문~원통보전~해수관음상~보타전~관음지(연못)~의상대~의상 기념관]의 動線으로 관동8경 중 하나이자 조계종 선정 33관음성지 중 하나인 낙산사(洛山寺)를 탐방
[관세음보살이 머무른다는 낙산(五峰山으로도 부름)에 있는 사찰로, 671년(신라 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858년(헌안왕 2) 범일(梵日)이 중건(重建)한 이후 몇 차례 다시 세웠으나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전쟁으로 소실된 건물들은 1953년에 다시 지었다. 3대 관음기도도량 가운데 하나이며,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유명하다. 경내에는 조선 세조(世祖) 때 다시 세운 7층석탑을 비롯하여 원통보전(圓通寶殿)과 그것을 에워싸고 있는 담장 및 홍예문(虹霓門) 등이 남아 있다. 그러나 2005년 4월 6일에 일어난 큰 산불로 대부분의 전각은 소실되었다.
원통보전 내부에는 관세음보살상이 안치되어 있다.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량을 복구한 후 이곳으로부터 약 8km 떨어진 설악산 관모봉 영혈사(靈穴寺)에서 옮겨 왔다고 한다. 제작 시기는 12세기 초로 추측되는데, 고려시대 문화의 극성기 양식을 나타낸 매우 아름다운 관음상이다.
이 절의 창건과 관련하여 전하는 이야기가 있다. 의상이 관음보살을 만나기 위하여 낙산사 동쪽 벼랑에서 27일 동안 기도를 올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여 바다에 투신하려 하였다. 이때 바닷가 굴 속에서 희미하게 관음보살이 나타나 여의주와 수정염주(水晶念珠)를 건네주면서, "나의 전신(前身)은 볼 수 없으나 산 위로 수백 걸음 올라가면 두 그루의 대나무가 있을 터이니 그곳으로 가보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는데 그곳이 바로 원통보전의 자리라고 한다. 부속건물로 의상대(義湘臺), 홍련암(紅蓮庵) 등이 있고 이 일대가 사적 제495호로 지정되어 있다. 2005년 4월 5일 강원도 삼척, 강릉, 고성을 휩쓴 큰 산불이 일어나 낙산사 원통보전과 여러채의 전각이 소실되고 보물 제479호로 지정된 낙산사 동종이 화마에 녹아버렸다.]
[해수관음상(낙산사의 랜드마크)
절 끝자락에 위치한 높이 15 m, 둘레 3 m의 거대한 관음불상으로 홍련암, 의상대와 더불어 낙산사의 랜드마크. 이 해수관음상의 존재로 낙산사는 강화 석모도 보문사, 남해 보리암과 함께 3대 해수 관음기도 도량으로 꼽힌다.
1971년부터 조각을 해 1977년에 완성했으며 그 당시 동양 최대의 불상이었다. 불상의 정면 조금 아래에는 관음전이 있는데 내부에는 따로 불상이 없고, 대신 불상이 있음직한 자리에 통창이 나 있어 그곳으로 해수관음이 보인다. 즉 외부의 해수관음을 향해 실내에서 기도를 할 수 있는 건물이다. 불상 주변에는 시야를 가리는 별다른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설악산(대청봉, 울산바위), 대포항, 낙산해변 등을 조망할 수 있다. 근처에 종이 있는 종각이 있는데 누구든지 한 번씩 종을 쳐볼 수 있다. 앞에 불전함이 있는데, 액수는 자율적이다.
해수관음상에서 홍련암 방향으로 내려가다 보면 보물 제1723호로 지정된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이 있다.
화재 당시 불길이 해수관음상을 지나 사리탑을 거쳐 홍련암 근처까지 갔기에 사리탑도 복원 수리를 해야 했는데 사리탑 내부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사리장엄구가 출토됐다. 사리장엄구 안에는 여러 유물들과 함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1과가 있었는데 발원문에 따르면 이 사리탑의 조성 이유는 다음과 같다.
1692년(숙종 18년) 홍련암에 있는 불상을 개금하는 과정에서 주변에 상서로운 기운이 나타나더니 닫집에서 진신사리 1과가 나와 이를 사리탑에 모셨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홍련암 앞에 있는 사리탑비의 내용과 일치했다. 낙산사 사리탑과 사리탑비는 그 자체로는 독자적인 가치가 있다고 보긴 어렵지만 사리탑, 사리탑비, 사리장엄구가 일치된 내용과 관계로서 지금까지 온전하게 보존된 것은 흔치 않다는 점에서 2011년 11월 보물로 일괄 지정됐다.]
[관동팔경(關東八景) : 관동지방(현재의 영동 지방)의 특히 이름난 여덟 곳의 경승지.
관동팔경은 영동팔경(嶺東八景)이라고도 한다. 관동은 관동 지방, 즉 현재의 강원도 지역의 의미하며, ‘영동’에서 ‘영’(嶺)은 ‘대관령’을 의미하여, ‘영동’(嶺東)이란 대관령의 동쪽에 있는 지방이라는 의미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통천군, 고성군과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등에 해당하며, 1962년까지 강원도였던 경상북도 울진군이 포함되기도 한다. 조선 선조 임금 때 송강 정철이 쓴 ‘관동별곡’ 덕분에 관동팔경은 더욱 유명해졌다.
관동팔경(8곳 중 2곳은 북한에 위치)
1. 총석정(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통천군)
총석정은 정자를 뜻하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주상절리로 이루어진 바위기둥들과 절벽을 일컫는다. 현재 북한의 제13호 명승지와 제214호 천연기념물이다.
2. 청간정(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설악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청간천과 만경청파가 넘실거리는 기암절벽 위에 팔각지붕의 중층누정으로 아담하게 세워져 있다. 관동팔경 중 수일경으로 손꼽힌다.
3. 낙산사(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군 오봉산에 있는 절이다. 671년에 창건된 이후 여러 차례 중건, 복원과 화재를 반복하였다.
4. 삼일포(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
강원도(북한) 고성군에 있는 호수
5. 경포대(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시에서 동북쪽으로 7 km 지점에 있으며, 언덕 위의 누대(樓臺)이다. 경포호를 조망할 수 있다.
6. 죽서루(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다. 다른 관동팔경의 누, 정이 바다를 끼고 있는 것과는 달리 죽서루만이 유일하게 강을 끼고 있다.
7. 망양정(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해안가에 있는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구조의 정자이다.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졌으나 오랜 세월이 흘러 허물어졌으므로 조선시대인 1471년(성종 2) 평해군수 채신보가 현종산 남쪽 기슭으로 이전하였다.
8. 월송정(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있는 정자로 고려시대에 창건되었고, 조선 중기 때 관찰사 박원종이 중건하였으나, 낡고 무너져서 유적만 남은 것을 1933년 향인 황만영 등이 중건하였다.]
[조계종 선정 33관음성지
1.강화 보문사(해수관음) 2. 서울 조계사(관음전) 3. 화성 용주사 (관음전) 4. 예산 수덕사 (관음전과 관음바위) 5. 공주 마곡사(대웅보전, 수월관음후불탱화) 6. 보은 법주사(관음전) 7. 김제 금산사(원통전) 8. 부안 내소사(대웅보전, 수월관음보살좌상후불 벽화) 9. 고창 선운사(관음전) 10. 장성 백양사 약사암(영천굴) 11. 해남 대흥사(관음전) 12. 여수 항일암(관음전, 해수관음상) 13. 순천 송광사(관음전) 14. 구례 화엄사(원통전) 15. 하동 쌍계사(대웅전, 관음보살) 16. 남해 보리암(관음삼존불, 해수관음상) 17. 대구 동화사 부도암(관음전) 18. 경산 은해사(극락보전, 관음보살) 19. 합천 해인사(대적광전, 관음불) 20. 김천 직지사(관음전) 21. 의성 고운사(극락전, 관음보살) 22. 경주 기림사(관음전) 23. 경주 불국사(관음전) 24. 양산 통도사(관음전) 25. 부산 범어사(관음전) 26. 속초 신흥사(극락전, 관음보살) 27. 양양 낙산사(해수관음보살상) 28. 평창 월정사(육수관음상) 29. 영월 법흥사(극락전, 관음보살) 30. 원주 구룡사(관음전) 31. 여주 신륵사(관음전) 32. 서울 봉은사(해수관음상) 33. 서울 도선사(관음석불)]
12:40~13:00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에 있는 낙산 해수욕장으로 이동
[속초(束草)에서 남쪽으로 16km 지점에 있으며, 동해안 지역의 많은 해수욕장 중에서 경포대 해수욕장과 함께 명소로 꼽힌다. 이곳은 울창한 소나무숲을 배경으로 4km의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설악산(雪嶽山)에서 흘러내리는 남대천(南大川)이 하구에 큰 호수를 이루고 있어 담수(淡水)도 풍부하다. 수심은 70m 앞바다까지 1.5m 내외이므로 안전하여 1963년 해수욕장으로 개장한 이래 성황을 이루고 있다. 부근에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인 낙산사(洛山寺)와 의상대(義湘臺) 등 명찰과 고적이 있어 많은 관광·휴양객이 모여든다.]
13:00~13:05 사진촬영
13:05~13:45 양양 남대천에 놓인 다리인 낙산대교로 이동
13:45~14:45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수산리에 있는 수산항(水山港, 해파랑길 제 44 코스의 시점)으로 이동
[동해안의 작은 항구로 겉으로 보기엔 시골의 여느 항구처럼 아담해 보이지만 60척의 요트를 정박할 수 있는 동해안 최고의 요트항이다. 수산항 요트 마리나에는 다양한 모양의 요트들이 나란히 정박해 있어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수산항을 찾은 일반인들도 요트체험을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수산항에는 요트체험 외에도 투명카누체험과 선상 낚시체험을 비롯해 계절에 따라 스노클링 체험이나 도루묵 통발체험도 할 수 있다. 아이들에겐 해초 비누 만들기나 문어빵 만들기를 추천한다. 수산관광어촌 체험 마을은 2014년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국제관광어촌체험 마을로, 외국인들도 체험프로그램을 즐기기 좋다.]
14:45~14:50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도화리 256 번지에 있는 문화마을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탐방 완료
14:50~15:20 휴식
15:20~17:50 "좋은사람들" 버스로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도화리 256 번지에 있는 문화마을 정류장을 출발하여 서울 양재역으로 귀경 (184km) [2시간30분 소요]
해파랑길 44 코스 지도
낙산사 탐방로 안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