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용신(格局用神)
격국(格局)은 팔자의 유형을 정하는 말로 팔자에서 일간을 기준으로 가장 현저한 육신(六神)의 글자로 정하는데, 일차적으로 월령의 지장간(支藏干)이 투간한 글자의 육신(六神)을 사주의 격(格)으로 쓴다.
乙己甲癸
亥卯子卯
己土일간은 뿌리가 약하고, 제강(=월 支藏干)에서 투한 癸水로 격국은 재격이다. 그리고 甲乙木이 무척 강하니 억부로 보면 신약격(身弱格)이다. 己土 일간을 도와줄 火土는 보이지 않고... 이럴 경우 從하면 좋으련만 종할 때도 왕(旺)한 세력이 천간에 순일(純一)한 청기(淸氣)로 나타나야 귀격이 되는데, 甲乙 모두 투(透)해 탁명(濁命)이 되었다. 관아(官衙)에서 매맞고 죽은 여명(女命)(삼명통회)
격(格)은 현저한 세력을 지닌 육신(六神)의 글자로 정해지고, 그것은 대개 통근하여 투출한 천간의 글자가 주(主)가 된다. 地支도 강력한 세력을 이루어 격(格)을 이룰 때가 있는데 회국(會局), 합국(合局) 일 때이다. 이렇게 강한 세력으로 형성된 팔자를 대표하는 팔자의 유형을 격국(格局)이라고 한다.
甲戊庚丙
子申子申
월지(月支)가 水이고 투한 글자가 없으니 재격(財格)이지만, 엄밀히는 申子 合局에 의해 재격(財格)이다. 일간도 뿌리 없어 신약하고, 인수(印綬) 丙火도 뿌리없어 태약(太弱)한 명(命)이다. 따라서 수다토류(水多土流)/수왕화멸(水旺火滅)/수다목표(水多木漂)/수다금침(水多金沈) 의 흉화(凶禍)를 짐작할 수 있다.
庚庚庚戊
辰申申子
지지가 申子辰 수국(水局)이니 식신격(食神格)이다.
내격(內格)을 정할 때 통근하여 투출한 간(干)으로 격국을 정한다. 통근하여 투출한 간(干)이 가장 강하며 가장 강한 성분이 사주체의 특성으로 나타난다. 내격(內格)은 용신을 정할 때 억부법에 의해 정한다. 내격(內格)에는 비겁(比劫)을 제외한 정팔격이 있다. 비겁(比劫)이 주도하는 격을 건록(建祿), 양인(羊刃) 또는 록인격(祿刃格), 록겁격이라한다.
丁甲壬庚
卯辰午辰 신강
상관격 庚金은 뿌리가 없다. 투한 甲壬이 丁火보다 강하니 신강이다. 신강하니 용신은 식재관(食財官) 중 가장 성분이 강한 것이다. 식재관(食財官) 중 丁火가 가장 강하니 丁火가 용신이고 그 다음 세력이 강한 지지 土가 희신이다.
己丁甲壬
酉亥辰寅 신약
甲木과 己土 중에서 강한 것이 甲木이니 정인격(正印格)이다. 甲木 인성보다 己壬이 더 강하니 신약이다. 신약하니 인비(印比) 중 용신을 찾는다. 인비(印比) 중 강한 성분인 甲木이 용신이고 火가 희신이다.
팔자의 틀은 거의 예외없이 十星의 왕쇠(旺衰)의 틀로 길흉(吉凶)과 희기(喜忌)를 파악할 수 있다. 살상겁효(殺傷劫梟)의 사흉신이 왕상(旺相)해도 귀(貴)가 나타날 경우가 있는데 空亡 때문이다. 팔자에 살(殺)이나 상관이 월령을 얻어 왕기(旺氣)를 띠어도 그 글자가 空亡되면 예사롭지 않은 성취를 보게 된다. 반면 살격(殺格)이나 상관격(傷官格)이 살용식제(殺用食制) 또는 상관패인(傷官佩印)의 귀격이라도 사흉신이 왕상(旺相)하고 空亡되지 않으면, 늘 불안한 격국이 되어 한시적인 부귀를 누릴 뿐이다.
일반적으로 명(命)에 관살(官殺)의 억제가 적절하면 사람이 군자의 刑으로 온화하고 절도가 있다. 재(財)가 양호하면 수완이 좋고 능력이 있다. 보통 팔자에 가장 필요한 官이 없으면 회재불우(懷才不遇)가 된다. 즉 명(命)중에 官이 비록 왕상(旺相)하지 않아도 그것이 있어야만 언젠가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
내격(內格) 외격(外格)
내격(內格)의 정팔격은 용신을 정할 때 억부법을 사용한다. 반면 내격(內格)의 범주를 벗어나는 외격, 특수격 또는 잡격은 억부법이 아닌 전왕법, 조후법으로 용신을 구하는데 별격(別格)이라 할 수 있다. 록인격(祿刃格)이 정팔격으로 되지 못한 것은 용신을 정할 때 억부법의 인비(印比)/식재관(食財官)에 맞지 않을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내격(內格)은 신강약을 판별하여 중화의 원리에 의해 억부법을 쓴다. 신약하면 인비(印比), 신강하면 식재관(食財官) 중 가장 강한 것을 용신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외격(外格)은 신강약 판별에 너무 한 기운으로 치우칠 때 왕성한 세력을 따라가는 전왕법을 취하는데 이것을 종격(從格)이라한다. 종격(從格)은 하나의 기운이 너무 우세하여 누를 수가 없어서 차라리 순종하는 것이 더 편하다는 논리이다.
외격(外格)에는 신강의 종격과 신약의 종격이 있다. 즉 인비(印比)만 강하고 식재관(食財官)이 없으면 용신은 인비(印比)가 되는 것이다. 또 식재(食財)만 강하고 투한 인비(印比)는 없으면 식재(食財)가 용신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격을 정할 때는 조건이 있다. 그래서 그 조건에 맞지 않으면 내격(內格)으로 정해 장간(藏干)에서라도 용신을 찾는다.
종격의 성립 요건
오양종기부종세(五陽從氣不從勢) 오음종세무정의(五陰從勢無情義)
양간(陽干)은 기(氣) 계절에 순응하고 음간은 세력(勢力)을 따른다. 그래서 양간의 경우 계절을 얻으면 종(從)할 수 없다. 월지 통근이 아니고 월지 본기 즉 계절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음간은 세력에 따르니 월령을 얻어도 세력에 따라 종(從)할 수 있게 된다. 일간 辛金이 酉月에 태어나 계절을 얻어도 인성이 없고 식상이 많다면 종(從)할 수 있다. 양간은 뿌리 없는 천간의 인성만 있더라도 종(從)하지 않는다.
- 양간은 월령을 득(得)하면 종격이 성립하지 않는다.
- 양간은 월령을 잃더라도 허약한 인성이라도 있으면 종격이 안된다.
- 양간이 월령을 잃고 허약한 인성도 없으면 종격이다.
- 음간이 월령을 얻어도 통근하고 투출한 인성이 없으면 종격이다.
- 음간이 통근하여 투출한 인성 있으면 종격이 아니다.
이처럼 인성(印星)의 유무와 형태는 종격 판별의 중요한 포인트이다.
양간 음간을 막론하고 종(從)하려는 천간의 세력이 상극으로 구성되면 종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음간이 월령을 득(得) 못하고 통근한 인성도 없으면 식재관(食財官)으로 종(從)할 수 있으나 재성은 없고 식상과 관성만 투출하면 서로 상극이니 종(從) 없다. 그래서 종(從)이 되려면 천간이 식재(食財)/ 재관(財官)으로 되어야지 식관(食官)으로 되면 안된다.
신강의 종격에서 일간이 무근(無根)하면 종(從)없다.
일간이 뿌리없이 너무 약하면 인성의 조력도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오양개양병위최(五陽皆陽丙爲最) - 다섯개의 양간 중 가장 양의 성질이 강한 것이 丙火이다. 그래서 지지 어느 것에라도 丙火가 통근만하면 좀체 종(從)하는 법이 없다. 그러나 일간 丙火가 통근한 지지가 충(沖)으로 훼손될 때는 종(從)할 수 있다.
신강의 종격
신강의 종격에는 인성과 비겁으로 된 종왕격(從旺格) 종강격(從强格)이 있다. 인성보다 비겁 세력이 강하면 종왕격(從旺格), 비겁보다 인성의 세력이 강하면 종강격(從强格)이다. 종왕격에서는 용신이 비겁, 희신은 인성이고 종강격에서는 용신이 인성, 희신이 비겁이 된다. 종강, 종왕격에서는 식재관(食財官)이 통근하여 투출하면 안된다.
乙甲乙癸
寅亥卯卯 종왕격
통근하여 투출한 식재관(食財官) 없고 겁재가 인수 癸水보다 강하니 종왕격이다.
壬甲壬壬
申子寅子 종강격
천간이 일간과 편인으로만 구성되고 통근하였고 식재관(食財官)이 통근하여 투출하지 않았으니 종강격(從强格)이고 용신은 인수 壬水, 희신은 비겁이다.
신강의 종격인 종강격, 종왕격을 합쳐 종왕격(從旺格) 또는 강왕격(强旺格)이라 하기도 한다.
가종격(假從格)은 종(從)을 거스르는 글자가 있기는 하지만 뿌리를 내리지 못해 미약하여 종(從)을 거스르는 힘이 못될 때를 말한다. 가종격이 되면 격(格)의 질이 떨어져 명(命)의 그릇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신강의 종격은 일간, 비겁, 인성이 모두 통근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종격이 아닌 변격(變格)이 되기 쉽다.
신약의 종격
종아격(從兒格) - 식상과 재성에 종(從)
일간이 월령을 잃고, 인성 조력 없고, 식상 세력이 월지나 시지에 통근해 강할 때 식상으로 종(從)한다. 이때 용신은 식상이고, 희신은 재성(財星)이다.
辛辛辛壬
卯卯亥子 종아격
월령 잃고 인성 없고 비겁 있으나 뿌리가 없어 신약한데 상관만 뿌리 두고 강하게 투해 상관으로 종한 종아격(從兒格)이다. 용신은 상관 壬水, 희신은 재성(財星)이다.
종재격(從財格) - 식상과 재성에 종(從)
일간이 월령을 잃고, 인성 조력이 없고, 재성의 세력이 강해 재성으로 종(從)하면 종재격(從財格)이다. 용신은 재성, 희신은 식상이 된다.
甲癸壬丙
寅巳辰戌
癸水의 뿌리 辰土는 辰戌충으로 훼손되고 丙火의 세력이 강해 종재격(從財格)이다. 甲木도 강하다. 그러나 재성이 더 강하다. 용신은 丙火 희신은 甲木이다.
종살격(從殺格) - 재성과 관성에 종(從)
일간이 월령을 잃고, 인성 조력이 없고, 관살의 세력이 강하고, 투출한 식상의 세력이 없을 경우, 관살로 종(從)한다. 용신은 관살, 희신은 재성이 된다.
辛丁癸丁
亥未丑卯
일간이 월령을 잃고, 통근한 인성 木이 없고, 비견 丁火의 뿌리는 丑未충으로 뿌리를 잃었다. 편관 癸水는 時支를 얻어 신약격으로 癸水에 종하는 종살격이다. 용신은 癸水, 희신은 재성이다.
종세격(從勢格) - 식상, 재성, 관성에 從
일간이 월령을 잃고, 인성 조력이 없고, 식재관(食財官)이 모두 통근하여 투출하면 종세격(從勢格)이라하고 식재관(食財官)을 모두 기뻐한다. 용신은 식재관(食財官)중 가장 강한 오행이 되고 나머지는 희신군이다. 인비(印比)/식재관(食財官) 조합에 벗어나지 않으니 별격(別格)은 아니다.
庚戊甲癸
申戌寅未
양간 戊土가 엄청 신약하다. 허약한 인성도 없고, 천간 식재관(食財官) 庚癸甲이 모두 지지 통근하여 투출한 종세격(從勢格)이다. 이 중 가장 강한 甲木이 용신이고, 희신은 식재(食財)이다.
별격(別格)
희용신이 인비(印比)/식재관(食財官) 조합이 아닌 비식(比食) 또는 인비식(印比食) 또는 관인(官印)을 기뻐하는 조합을 별격(別格)이라 한다. 화격(化格)도 인비식(印比食)을 기뻐하니 별격(別格)으로 포함된다.
록인격(祿刃格) : 건록격과 양인격
월령에 근기를 두어 록인격(祿刃格)이 성립할 때 식재(食財)를 기뻐하는 내격(內格) 경우와 비식(比食)을 기뻐하는 별격(別格)이 있다. 록인격에 내격(內格)과 별격(別格)의 구분은 재성의 유무(有無)이다. 록인격(祿刃格)에서 지지에 재성을 볼 때는 부억을 적용하여 식상과 재성을 기뻐한다. 그러나 재성이 없거나 훼손되었을 때는 비겁과 식상을 기뻐하는 별격(別格)이다.
甲甲丙甲
子子寅寅
甲木이 寅月에 태어나 록겁격으로 신강격에 천간이 비겁과 식상으로만 되어있다. 재성(財星)이 없으므로 별격(別格)을 적용하여 비겁과 식상을 기뻐한다.
戊戊戊辛
午申戌亥
戌月의 戊土가 록인격으로 천간이 비겁과 식상으로만 되어있고 지지에 재성 亥水가 있다. 재성이 있으니 내격(內格) 신강명으로 부억을 적용한다. 식재(食財)가 용신이다. 재성이 없다면 별격(別格)으로 되어 土金을 기뻐한다.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명식이 비식(比食)/비관(比官) 또는 비재(比財) 등 두 가지로만 되어 있을 때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이라하고 상생의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과 상극의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이 있다. 상생의 양신성상은 비식(比食)을 기뻐한다.
상생의 양신성상은 천간이 비식(比食)으로 구성되고 지지에 통근해야하며 지지에 재성이 없어야한다. 재성이 있으면 일반 내격(內格)으로 부억 또는 전왕법을 적용한다.
辛戊辛戊
酉戌酉戌
천간이 土金으로 비식(比食)으로 구성되고 지지에 통근하고 지지에 재성이 없어 상생의 양신성상격이다. 비식(比食)이 용신이다.
상극의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은 비관(比官)/ 비재(比財)로 구성되어 통관용신을 사용한다.
1. 비겁과 관살
신강일 경우 - 관성과 통관 인성이 희신 = 별격(別格)
신약일 경우 - 통관 인성과 비겁
金木木金
木金木金
비겁과 관성이 상극하고 있을 때 신강약을 판별하여 신강의 명식은 관성(官星)을 쓰고 이를 통관시키는 인성을 쓴다.
金木木金
金木金木
비겁과 관살로만 되어 있지만 신약하니 별격(別格)이 아니고 내격(內格) 신약으로 보아 인성과 비겁이 희용신이다.
2. 비겁과 재성
신강일 경우 - 희신군은 식상과 재성으로 내격(內格)의 부억법으로 본다.
신약일 경우 - 희신군은 비겁과 통관 식상
木金金木
金木金木
천간이 비겁과 재성으로 되고 일간이 강해 이때는 내격(內格) 부억으로 식재(食財)가 희용신
木金木金
木金木金
천간이 비겁과 재성이고 재성이 강한 신약격이니 비겁과 통관하는 식상이 희용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