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 한국의 탄생화 / 원추리

♧ 오늘의 기념일과 역사
* 여경의 날 (National Policewoman Day)
* 제헌국회,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결정 - 1948년
♧ 7월 1일. 한국의 탄생화
* 정열의 7월. 원추리 무리에게 흑심을 품는 마음으로 7월을 여는 꽃 : 1과 1속 13종
* 대표탄생화 : 원추리
* 주요탄생화 : 각시원추리, 왕원추리, 홑왕원추리, 스텔라원추리
※ 7월 1일 세계의 탄생화
Fig Marigold → 한국의 탄생화 미등록
(일부 자료에서 '단양쑥부쟁이'로 번역하고 있으나 한국특산인 '단양쑥부쟁이'와 다른 종으로 판단 됨)

올해 후반전의 시작일이고, 태양의 계절 7월 첫 날의 아침입니다. 한국의 탄생화와 함께 하시는 모든 부부들과 그 가족들에게 7월의 태양보다 더 뜨거운 정열과 사랑이 함께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7월을 여는 한국의 탄생화는백합과에 속하는 원추리속의 원추리 무리입니다. 가수 안치환은 이원규 시인의 시에 곡을 붙인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에서
[노고단 구름바다에 빠지려면
원추리 꽃무리에 흑심을 품지 않는
이슬의 눈으로 오시라]고 했는데요, 오늘의 꽃 원추리에게서 근심은 사라지고 희망을 기다리는 하루의 삶을 기대해 봅니다.
https://youtu.be/M29qkxFWYVY
원추리는 우리나라와 중국에 자리를 잡은 식물로 봄에 새순은 나물이나 된장국에 넣어 먹고, 큰 꽃도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고 합니다. 원추리의 잎과 꽃으로 무친 나물을 [넘나물]이라 합니다.
원추리는 여성들의 생리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답니다. 그러다보니 아들을 낳을 수 있는 나물로 알려져 득남초(得男草), 의남초(宜男草)라 했으며, 아들을 낳으면 근심이 사라지니 망우초(忘憂草)라고도 합니다. 지금이야 아들 딸 선호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지만 족보를 중시했던 예전에는 아들을 못낳으면 가문의 대가 끊긴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여성이 아들을 못낳으면 칠거지악으로 남자가 첩을 들이는 이유가 되거나 심지어 쫒겨나기도 했습니다. 아이가 어찌 생기는지 모르는 무지가 낳은 못된 관습들이었지요.
원추리의 종류로는 원추리, 왕원추리,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애기원추리, 골잎원추리, 노랑원추리 등이 있고 지역 특산으로는 태안원추리와 홍도원추리가 별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화단에 많이 심는 스텔라원추리(사계절원추리, 왜성원추리)는 원예종으로 개발한 종류입니다.

주요 원추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추리는 중국이 원산지로 꽃대 끝에 6~8 송이의 꽃을이 차례로 피어납니다. 꽃은 주황색으로 중심부는 노랗습니다. 왕원추리의 원종입니다.

2. 왕원추리는 조경용으로 많이 심는 종으로 꽃잎이 여러겹이어서 겹왕원추리라고도 합니다. 꽃은 주황색으로 안에 원추리보다 더 짙은 얼룩이 있습니다.

3. 홑왕원추리는 왕원추리와 같은데 꽃잎이 한 겹입니다.

4. 큰 원추리는 하나의 포에서 2~4개의 주황색 꽃이 차례로 핍니다.
5. 각시 원추리는 자생종으로 원추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고 입이 짧으며 꽃도 작습니다. 꽃은 노란색 바탕에 주황빛이 납니다. 6장의 꽃잎 중 3장은 크고 3장은 작은 특징이 있습니다.

6. 애기원추리는 작은 느낌이 드는데 각시원추리와 다른 점은 6장의 꽃잎 크기가 같다는 것입니다.
7. 골잎원추리는 꽃이 노란색이고 꽃 안쪽에는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습니다. 잎에는 깊은 골이 있습니다.
8. 들원추리는 원추리와 비슷하지만 잎이 2cm 이하로 원추리 보다 좁습니다. 한국에는 없고 일본, 중국, 대만에서 자랍니다.
9. 향원추리는 꽃대가 길고 꽃은 연노랑색입니다.
10. 노랑원추리는 꽃이 노란색 바탕에 연한 녹색을 뜁니다.
원추리는 [근심을 없애준다], [기다리는 마음], [지성] 등의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심과 걱정이 사라지고, 평화와 통일의 그 날을 기다리며 새 날을 맞이하기 위한 온 겨레의 지혜와 온 국민의 지성이 어우러지는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정열과 열정의 7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