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뇌종양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양성 뇌종양 환자는 2020년 4만 7675명에서 2022년 5만 5382명으로 증가했고, 악성 뇌종양 환자는 같은 기간 1만 1603명에서 1만 2140명으로 늘어났다.
중요한 기관인 '뇌'에 생긴 종양인 만큼 빠르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뇌종양을 의심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새벽'이면 심해지는 '두통'이다.
뇌종양은 두개골뿐 아니라 뇌 주변 신경, 뇌막, 뇌혈관, 두피 등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말한다.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뉘는데, 두 질환은 다른 특징을 보인다.
양성 뇌종양은 주로 뇌 바깥에서 발생하고 성장 속도가 느리다. 이 중 뇌수막종이 가장 많고 뇌하수체 종양이나 청신경초종도 흔히 발생한다.
악성 뇌종양은 빠르게 성장할 뿐 아니라 주위 조직으로 침투해 정상 뇌 조직을 파괴한다. 치료 난도가 높다.
특히 전이성 뇌종양은 다른 장기의 암이 뇌로 전이돼 발생하는 비율이 높다.
악성이든 양성이든 뇌종양이 있다면 두통 증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특히 새벽에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오후에 목덜미가 뻣뻣해지는 긴장성 두통과는 다른 양상이다.
장시간 누워 있으면 호흡량이 줄어들고 뇌혈관에 혈액이 몰리는데, 이때 종양이 뇌압을 높이기 때문이다.
고려대 안산병원 뇌종양센터 신경외과 김상대 교수는 “새벽에 반복적으로 두통이 심해지거나, 마비, 시력 저하,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종양을 의심하고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뇌종양 치료는 종양의 크기, 위치, 증상에 따라 달라진다. 작은 양성 종양은 방사선 치료로 치료할 수 있고, 크거나 악성 종양은 수술이 필요하다. 악성 종양은 수술 외에도 방사선과 항암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수술 중 신경 손상 위험이 크다면, 환자를 깨워 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확인하며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최근 뇌종양 치료는 주로 내시경 수술로 이뤄진다. 기존의 두개골을 여는 방식 대신, 코와 눈 주변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해 종양을 제거한다.
신경과 혈관을 보호하고 출혈과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흉터가 거의 남지 않고 회복이 빠르다. 특히 안와 내시경 수술은 눈 주변에 발생한 뇌종양을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 후 미세한 종양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큰 경우 방사선 수술이 병행될 수 있다. 방사선 수술은 절개 없이 고정밀 방사선으로 종양을 조준해 치료하는 것으로, 주변 건강한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고려대 안산병원 뇌종양센터 김명지 교수는 “감마나이프, 트루빔 STx, 사이버나이프 등 최신 방사선 수술이 뇌종양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치료 결정은 다학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게 좋다. 김상대 교수는 "뇌종양 치료는 환자 개개인에 맞춘 접근과 최신 수술 기술의 융합이 핵심"이라며 "종양의 위치와 크기,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학제 협진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