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현대미술평론, 현대미술가평론, 현대미술작품평론 Modern Art Criticism [20]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 is a contemporary art critic who examines the aesthetic values, processes, and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nd approaches the meaning of a work with the theory of visual art. Picture-speaking language structure is a gaze reality image in which the image of abstract desire seems to be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concept of desire. Art critic Choi Chul-joo approaches the aesthetic value, process, and artistry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with the concept of desire abstract design along with contemporary art criticism. His criticism refers to the theory of visual art in which the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pproaches the meaning of a work in the language structure and criticizes the reality of the concept of desire./ Contemporary Art Review with Visual Art of the Story of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 & A modern art review that examines the aesthetic value, process, and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nd approaches the meaning of the work with the theory of visual art: Louis Choi Chul-joo, a woman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in a pond, 112X122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 디자인 개념은 낭만주의에서 추상으로 변모한 현대 추상 개념을 현대 미술 운동에서 출발하여 실제 이미지로 구현한 새로운 추상 미술 방법론이다.
하나의 개념 예술은 추상적이 아닌 선택자의 욕망이라는 개념으로 이중적 장소를 만들고, 이중적 장소에서 추상적 개념 예술을 추월하며, 선택자가 원하는 추상적으로 결핍된 욕망 구조를 주체로 하여 의미 실체로서 현실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설계한다.
욕망의 현실을 설계하는 도형의 개념적 미학은 미적 경험을 삶의 가치로서 객관적 현실로 추상화하려는 경험적 욕망의 결핍을 설계한 결과이며, 필요한 대상의 결핍을 충족시킴으로써 실제 이미지로부터 형성적 가치를 얻게 된다.
여기서 욕망의 대상은 불충분하며 경험적 의식 움직임을 통해 의미적 상관관계를 얻고자 하는 상대방의 욕망 개념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욕망의 구조물로서의 실제 이미지는 욕망의 개념으로 인해 현실 세계에서 그림자 이미지를 생략하고 빛의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관행에 부합하는 미적 가치를 가지며, 현실 주체의 구조와 현실의 본질에 안착한다. 빛의 가역적 그림자 속에서 개념을 귀납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이미지의 언어적 의미와 현실 현상을 명확하게 구현한다.
Louis Chul-joo Choi, a woman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in a pond-poster,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4
연못에 비친 조선시대 여인
관상 연못은 어울리는 식물과 물고기를 키웠다. 조선 여인은 동시대의 기록화에서 결혼과 생신 등에 그림으로 기록되었고 일상의 기록은 소설을 통해서 추상한 욕망을 자신의 일상을 화폭에 담았다.
추상한 욕망은 면과 색으로 한 개념미술에서 벗어나 주체로서 여인이 추상하는 결핍된 욕망 개념을 언어적 의미의 존재로 실재하는 이미지다.
현실이 원하는 이미지의 방향을 피사체로 하는 벡터는 상징 세계의 욕망 개념을 추상화하는 개념 예술의 방법이다. 이는 상징 세계의 모든 단계에서 현실로서 상징 세계에 결여된 주체로서의 존재 이미지와 욕망의 개념을 반복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욕망의 개념을 현실로 반복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실제 이미지가 원하는 이미지의 방향을 욕망의 비자발적 주체로 하는 벡터는 욕망의 개념을 벡터로 구성된 그림처럼 구조화한다. 욕망의 개념을 추상화하는 이전 단계에서 기존 욕망의 주체는 의식적 움직임을 통해 존재의 이미지가 현실로 추상화되는 불충분한 욕망의 개념을 반복적으로 드러냅니다.
따라서 추상적 욕망은 하나의 개념미술이 아니라 선택자의 욕망 개념으로 이중적 자리를 만들고 그 이중적 자리에서 추상적 개념미술을 추월해서 주체로서 선택자가 원하는 추상으로 결핍된 욕망 구조를 의미적 존재로서 실재를 의식적 반복해서 디자인한다.
조선시대 여인은 관상용 연못처럼 유교적 가족제도을 바탕으로 한 사회 활동을 제한 받았고 가사에 집중학고 신분 질서와 정절(貞節)을 모범적 덕목으로 삼았다.
조선 후기 화폐 경제가 발달에 따른 신분제도가 바뀌면서 신분 질서가 무너지고 서얼도 관직에 등용되고 성명을 적지 않은 백지 임명장인 공명첩(空名帖)으로 천민도 양반이 되면서 조선 여인은 연못 구조물로서 누정(樓亭)건축물에서 자유롭게 문화를 향유했다.
그리고 욕망 대상의 주체로서 여인은 연못에 비친 모습의 성찰과 결핍된 욕망을 추상적 개념의 언어적 의미로 실재와 동일시 하여서 자아를 구성한다.
조선시대 연못에는 연못과 주변을 조망하기 위해 사방이 트인 대청마루인 누정건축물과 공작물로서 연못의 유수와 침식을 막아주는 호안(護岸)과 어울리는 식물을 설치했다.
호안된 연못의 실재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시간성에서 멈춘 현재에 존재하는 실재의 자리를 정해서 욕망 개념과의 상관물로서 실재 이미지를 순간적으로 포착하여서 디자인했다.
즉 그 실재 이미지를 음영으로 한 크기를 생략하고 빛으로 보이는 범위에서 실재가 하나의 단상으로서 자리에 조응된 미적 가치를 갖도록 그 자리를 풍습에 어울리는 피사체 실재의 색과 배경을 포지티브 필름에 옮겨진 피사체의 이미지처럼 동일한 연못을 디자인한다.
연못에서 비친 이미지는 유아로서 타자의 시선으로 본 여인을 언어적 이미지로 디자인하고서 여인과 동일한 자아를 의식운동을 통해서 생성한다.
이것은 여인이 연못 가운데 섬에 있는 것처럼 사회와 격리된 구성이다.
연못에 비친 여인은 사회에서 고립된 자신의 모습과 기억을 보고 타자의 욕망을 견주지 못한다. 따라서 사회성에서 분리된 여인은 욕망에 대한 존재를 유아적 거울반응에서 벗어 나고자 결핍된 욕망을 타인의 행위를 거울로 비추어 주체로서 여인은 결핍된 욕망을 지각할 수 있도록 욕망 개념을 실재로 묘사한다.
실재로서 주체는 무의식적 욕망 개념을 언어적 의미를 추상 구조로 한 특정 대상으로 현존하게 한다.
이렇게 특정 대상의 실재는 연못에 비친 타자의 행위와 결핍된 욕망과의 상관물로서의 실재를 보고서 주체로서 욕망 개념을 타자의 욕망에 맞추어 상관물을 실재화하여서 현존할 수밖에 없는 욕망이 원하는 대상을 찾고자 주체로서 욕망이 특정한 실재를 추상한다.
추상으로 실재화된 최철주 욕망 개념의 디자인은 뉴스만평으로 게재된 만평 이미지를 욕망의 배경인 "나팔꽃", "대나무숲"과 "연못"에 중첩하여서 욕망 개념을 실재 의미를 추상화한다.
이것은 의식적 언표행위로 한 주체로서의 인식과 무의식적 욕망 배경의 결핍에 따른 의미가 이중적 욕망 구조다.
이것은 하나의 의미로서 대상 공간과 접하지 않는 하나의 빈 공간에 현재와의 공유하고 있지만 그 공유된 자리에서 또 다른 대상과 접할 때 그 대상의 시간성을 충족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빛이 여러 대상과 접할 때 현존하는 대상과 과거의 대상이 동일한 자리에서 여려개의 시간성에 따른 빛의 자리를 만들고 현재의 공유된 장소에서 무의식과 의식이 교차점을 이룬다,
여기서 무의식과 의식의 교차점에서의 욕망 구조는 사건과 공연 이미지의 순간적 인상으로 그림에 담아서 일상적 욕망 배경의 추상을 조명한 개념을 언어적 의미를 이미지를 명확하게 실재화하고 그 개념을 귀납적으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조명한 욕망의 추상 이미지를 보편적 실재로 귀결한다.
기억은 시간의 빛이며, 욕망의 주체로서 욕망의 자아와 이미지가 존재하는 장소를 욕망과 욕망의 주체로 한 이미지를 설정하고, 욕망의 기억은 현재에 욕망의 주체의 자아와 실제 이미지가 현존하는 자리를 꾸민다. ./ 글. 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 (문화디자인박사)
Louis Chul-joo Choi, a woman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in a pond, 112X122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Abstract design concept is a new abstract art methodology that embodies modern abstract concepts transformed from Romanticism to Abstract as real images, starting from the modern art movement.
One conceptual art creates a dual place with the concept of the selector's desire rather than abstract, overtakes abstract conceptual art in the dual place, and repeatedly designs a reality image as a semantic entity with the abstractly deficient desire structure desired by the selector as the subject.
The conceptual aesthetics of figures that design the reality of desire are the result of designing a lack of empirical desire to abstract aesthetic experience into objective reality as a value of life, and formative value is obtained from real images by satisfying the lack of necessary objects.
Here, the object of desire is insufficient and follows the other's concept of desire to obtain semantic correlation through empirical consciousness movements.
Therefore, the actual image as a structure of desire has an aesthetic value that conforms to the conventional practice by omitting shadow images from the real world and placing them in the range of light due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settles in the structure of the real subject and the essence of reality. By inductively illuminating the concept in the reversible shadow of light, it clearly embodies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image and the real phenomenon.
A Woman in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in a Pond
Appropriate plants and fish were artificially cultivated in the ornamental pond. According to modern records, a woman in Joseon records her marriage and birthday with painting, and everyday records capture abstract desires in everyday life-like paintings through novels.
Abstract desire is an image in which the concept of insufficient desire that a woman abstracts as a subject away from the concept of flatness and color art exists as a reality of linguistic meaning.
The vector using the direction of the image desired by reality as the subject is a method of conceptual art that abstracts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symbolic world. This is to repeatedly reveal the concept of existence image as a subject and desire lacking in the symbolic world as reality at all stages of the symbolic world.
In order to repeatedly reveal the concept of desire as a reality, a vector with the direction of the image desired by the real image as the involuntary subject of desire structures the concept of desire like a picture composed of the vector. In the previous stage of abstracting the concept of desire, the subject of existing desire repeatedly reveals the concept of insufficient desire in which the image of existence is abstracted as reality through conscious movement.
Therefore, abstract desire is not a conceptual art, but a double place with the concept of the selector's desire, overtaking abstract conceptual art in that double place and consciously repeatedly designing reality as a semantic entity for the abstractly deficient desire structure desired by the selector as a subject.
Women in the Joseon Dynasty, like the ornamental pond, used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Confucian family system as an exemplary virtue of protecting social order and purity (貞節) by focusing on house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monetary economy developed, the status system changed, the status order collapsed, Seoryul was appointed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Cheonmin became a Yangban with a blank appointment letter, Gong Myung-cheop (帖), so Joseon women enjoyed culture freely inside the pavilion (樓亭) building as a pond building.
In addition, as the subject of desire, the woman constitutes the self by equating the reflection in the pond and the lack of desire with reality in the linguistic meaning of an abstract concept.
During the Joseon Dynasty, ponds were installed as structures to prevent water flow and erosion in the pond to see the pond and its surroundings, such as Jeongja Building (護岸), an open-ended daecheong-maru, and plants matching the lake.
The real image of the pond was designed by instantaneously capturing the real image as a correlation with the concept of desire by determining the current real place that has temporarily stopped in the shade of reversible light.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real image is omitted, and the color and background of the real object matching the custom are designed as the same pond as the image of the subject transferred to the positive film so that the real object has an aesthetic value adjusted to the place as a single image within the range of light.
The image reflected in the pond is designed as a linguistic image of a woma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nother as an infant, and the same self as the woman is created through consciousness movements.
It's an isolated composition from society as if a woman were on an island in the middle of a pond.
The woman in the pond cannot compare the desires of others by seeing her appearance and memories isolated from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escape the existence of desire in an infant's mirror response, a woman who is separated from sociality describes the concept of desire in reality and explains the concept of desire in reality so that she can recognize the absence of desire as a subject by using the actions of others as a mirror.
As a reality, the subject makes the concept of unconscious desire exist as a specific object with an abstract structure of linguistic meaning.
In this way, the reality of a specific object is abstracted by looking at reality 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ctions of the other reflected in the pond and the lack of desire, and realizing the concept of desire as a subject in order to find an object that a desire that is bound to exist wants
The design of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which has been realized as an abstract, abstracts the actual meaning of the concept of desire by superimposing the news cartoon image published as a news desire image with the background of desire, "Morning glory," "Bamboo Forest," and "Pond."
This is a conscious expression act, and the meaning of the recognition as a subject and the lack of unconscious desire background is a dual desire structure.
In a sense, it is shared with the present in one empty spac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object space, but it satisfies the temporality of the objec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object in a shared place,
Therefore, when light comes into contact with multiple objects, existing and past objects form a place of light according to various timeliness in the same place, and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intersect in the current shared place,
Here, the structure of desire where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intersect is captured by the instantaneous impression of events and action images, the concept of abstractly illuminating the background of everyday desire is clearly embodied, and the abstract image of desire that illuminates the concept in inductively reversible shades of light results in universal reality.
Memory is the light of time, and as the subject of desire, an image with the ego of desire and the place where the image exists as the subject of desire and desire is set up, and the memory of desire creates a place where the ego of the subject of desire and the real image exist in the present. Writing. Choi Chul-joo, a contemporary art critic (Doctor of Cultur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