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뷰어 (molit.go.kr)
□ (위원회 심의결과) 총 8,685건 지자체 접수, 국토부 이관된 7,851건에 대하여 7,092건(90.3%) 처리 완료(9.20 기준) ☞ 가결 총 6,063건
【 피해자 신청건 위원회 처리현황 】 |
구분 | 위원회 처리건수 (9.20 기준) | |
가결 | 부결 | 적용제외등 |
전세사기피해자등 결정 | 7,092 | 6,063(85.5%) | 664(9.4%) | 365(5.1%) |
| 긴급한 경・공매 유예 | 734 | 709 | 25 | - |
ㅇ 그간 이의신청은 222건(9.20 기준)으로 인용 110건 및 기각 112건
□ (가결 현황) 그간 7,092건 중 전세사기피해자등 가결 총 6,063건*(85.5%)
* 이의신청 인용 110건 포함
ㅇ (사기 의심유형) 주요 사기유형 중 무자본 갭투기 또는 동시진행이 의심되는 건수는 2,536건으로 가결 6,063건 中 최다(41.8%)
* 무자본갭투기 : 高 전세가율로 다주택 매수 등 / 동시진행 : 단기간 다주택 매도・매수 등
【 주요 전세사기 유형별 결정건수(총 6,063건) 】 |
무자본갭투기 또는 동시진행 | 신탁사기 | 대항력 악용 | 기타(수사개시등) |
2,536건(41.8%) | 443건(7.3%) | 8건(0.1%) | 3,076건(50.7%) |
ㅇ (지역) 주로 수도권 집중(66.4%), 그외 부산(14.0%)・대전(7.4%)도 다수
연번 | 지역 | 건수 | 연번 | 지역 | 건수 |
1 | 인천 | 1,540 (25.4%) | 10 | 충남 | 74 |
2 | 서울 | 1,442 (23.8%) | 11 | 전북 | 73 |
3 | 경기 | 1,046 (17.2%) | 12 | 강원 | 68 |
4 | 부산 | 847 (14.0%) | 13 | 울산 | 41 |
5 | 대전 | 446 (7.4%) | 14 | 세종 | 39 |
6 | 대구 | 141 | 15 | 제주 | 37 |
7 | 경남 | 81 | 16 | 광주 | 19 |
8 | 경북 | 80 | 17 | 충북 | 10 |
9 | 전남 | 79 | | | |
ㅇ (주택 유형) 주로 다세대주택(32.2%)・오피스텔(26.2%)・아파트・연립(21.8%)에 다수 거주하고 있으며, 다가구(11.3%)에도 상당수
다세대 | 오피스텔 | 아파트・연립 | 다가구 | 근린 생활시설 | 다중 생활시설 | 단독 | 기타 (사무실 등) |
1,954 (32.2%) | 1,588 (26.2%) | 1,322 (21.8%) | 686 (11.3%) | 281 (4.6%) | 137 (2.3%) | 40 (0.6%) | 55 (1%) |
* 단위 : 건 |
ㅇ (연령) 주로 40세 미만 청년층에 피해자 다수 분포(69.7%)
20세 미만 | 20세 이상 30세 미만 | 30세 이상 40세 미만 | 40세 이상 50세 미만 | 50세 이상 60세 미만 | 60세 이상 70세 미만 | 70세 이상 |
- | 1,306 (21.5%) | 2,921 (48.2%) | 1,031 (17.0%) | 500 (8.2%) | 218 (3.6%) | 87 (1.4%) |
* 단위 : 건 |
ㅇ (임차보증금) 보증금 1억원 이하 소액 구간에 최다 분포(49.3%)
1억원 이하 | 1억원 초과 2억원 이하 | 2억원 초과 3억원 이하 | 3억원 초과 4억원 이하 | 4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2,987건 (49.3%) | 1,859건 (30.7%) | 1,034건 (17.1%) | 163건 (2.7%) | 20건 (0.3%) |
* 단위 : 건 |
ㅇ (임차인 유형) 선순위 임차인은 2,588건(42.7%), 후순위 임차인은 3,032건(50.0%), 신탁사기로 대항력 없는 임차인은 443건(7.3%)
ㅇ (내·외국인) 6,063건 중 내국인 5,955건(98.2%), 외국인 108건(1.8%)
□ (부결・적용제외 현황) 7,092건 중 부결 및 적용제외 총 1,029건(14.5%)
ㅇ (부결) 요건 미충족, 이의신청 기각 포함 총 664건
- (요건 미충족) 552건은 피해자요건(1~4호) 미충족으로 부결
- (이의신청 기각) 112건은 부결 및 피해자등(2조4호다목) 기존 결정 유지
ㅇ (적용제외) 365건은 보증보험 가입 등으로 전액 회수가 가능하거나, 경·공매 완료 후 2년이 경과되는 등 적용제외 대상
구분 | 사유 | 건수(비율) |
부결 | 요건 미충족 | 1호 | 대항력 미확보(전입신고・확정일자 등) | 21(3.8%) |
2・4호 | 보증금 상한액 초과, 보증금 미반환 의도 미충족 | 1(0.2%) |
3・4호 | 다수피해 발생, 보증금 미반환 의도 등 미충족 | 275(49.8%) |
4호 | 보증금 미반환 의도 미충족 | 255(46.2%) |
소계 | - | 552(100.0%) |
이의신청 기각 | 기존 결정 유지 | 112 |
적용제외 | 보증보험으로 전액 회수 가능 | 67(18.4%) |
최우선 변제로 전액 회수 가능 | 6(1.6%) |
경매 등 통해 자력 회수 가능 | 235(64.4%) |
기타(경·공매 완료 2년 경과 등) | 57(15.6%) |
소계 | - | 365(100.0%) |
합계 | 1,029 |
□ (지원 현황) 그간 약 6천명 피해자에 대해 경·공매 유예 및 대행, 저리 전세·대환대출, 연체정보 등록 유예 등 약 2천건 지원
ㅇ 경·공매 유예로 현재 주거이전 관련 실적은 적으나, 향후 경·공매 본격화 시 우선매수권, 공공임대주택 입주 실적 등도 증가 전망
【 특별법 시행 이후 주요 지원방안 실적 】 (9.20 기준)
유형 | 지원방안 | 실적 |
건수 | 금액 |
법적 절차 지원 | 긴급 경·공매 유예 | 709건 | |
경·공매 대행 서비스 | 203건 | - |
조세채권 안분 | 85건 | - |
기존 전세대출 관련 | 대환대출* | 391건 | 593억원 |
신용정보 등록 유예 | 107건 | 97.59억원 |
분할상환 | 24건 | 20.42억원 |
신규 주택 이전 관련 | 저리대출* | 83건 | 118억원 |
최우선변제금 미지급자 무이자 대출 | 2건 | 1억원 |
주택 매입 지원 | 특례보금자리론 | 12건 | 33.8억원 |
디딤돌대출 | 6건 | 10억원 |
취득세 감면(8.20 기준) | 16건 | 2,600만원 |
재산세 감면(8.20 기준) | 4건 | 14만원 |
임대주택 지원 | 우선매수권 양도 후 공공임대 신청 | 82건 | - |
긴급주거 지원*(임시거처 제공) | 76건 | - |
생계비 지원 | 긴급복지 지원* | 205건 | 1.87억원 |
저소득층 신용대출 | 5건 | 3,700만원 |
합계 | 2,010건 | - |
* 특별법상 피해자 및 HUG 전세피해확인서 발급자를 모두 포함한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