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삼태(周公三笞)
주공의 세 차례의 매질이라는 뜻으로,
자식 교육의 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周 : 두루 주
公 : 공평할 공
三 :석 삼
笞 : 볼기칠 태
출전 : 설원(說苑) 건본편(建本篇)
주공(周公)은 주공단(周公旦)을 가리킨다.
주공은 유학의 최고 스승 공자(孔子)가
이상적인 성인으로 닮고 싶어 했다는 그 사람이다.
'오래도록 나는 꿈에 주공을 뵙지 못했구나
(久矣 吾不復夢見周公/ 구의 오불부몽견주공)' 하며
꿈에 나타나지 않아 쇠약해졌음을 한탄할 정도다.
그런 만큼 중국 주(周)나라의 기초를 확립하고
예악(禮樂)을 정비하고
주역(周易)을 완성했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노신 태공망(太公望)과 함께
형 무왕(武王)을 도와 주왕(紂王)을 멸하고,
형의 사후 어린 조카 성왕(成王)을 흔들려는 세력을
단호히 물리쳐 봉건제도(封建制度)를 굳건히 했다.
이 주공이 세 번 매질을 했다(三笞)는
성어는 엄한 자식교육을 비유한다.
가시나무 가지로 엉덩이를 치는 태형(笞刑)은
아니고 회초리를 때린다고 보더라도 가르침은 엄격하다.
전한(前漢)의 왕족이기도 했던 학자 유향(劉向)은
고대로부터의 지혜를 모아 위정자를
설득하기 위한 훈계독본 '설원(說苑)'을 남겼다.
건본(建本) 편에 주공의 교육 이야기가 나온다.
우선 앞부분을 보자.
'백금과 강숙봉은 조회서 성왕을 알현하고
(伯禽與康叔封朝於成王/ 백금여강숙봉조어성왕),
주공을 만났는데 세 번 만나도록 그때마다 매질을 당했다
(見周公三見而三笞/ 견주공삼견이삼태).'
백금은 주공의 맏아들,
강숙봉은 나이 어린 동생이라 한다.
강숙봉이 하얗게 질려 백금에게 주공이 만날 때마다
때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현자인
상자(商子)를 찾아 여쭈어보자고 했다.
처음 찾았을 때 남산(南山) 남쪽에 가서
교(橋)라는 나무를 보라고 했다.
가서 보니 가지들이 위로 쭉쭉 솟아 있었다.
돌아오자 이번엔 남산 북쪽의
재(梓)나무를 보고 오라고 했다.
재나무는 낮게 아래를 향하고 있었다.
상자가 높이 솟은 것은 아버지의 도,
아래를 향한 것은 자식의 길이라 일러 준다.
다음날 두 사람이 주공을 찾았을 때
마루에 올라 무릎을 꿇자
머리를 쓰다듬으며 흐뭇해했다.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져야 한다는
현인의 가르침을 높인 것이다.
주공 자신도 인재를 구하기 위해 몸을 낮춘 일은
토포악발(吐哺握髮)이란 고사로 남았다.
귀한 손님이 오면 식사하던 것을 뱉고
감던 머리카락을 쥔 채 맞았다는 것이다.
엄한 가르침을 받은 두 사람은 각각 봉지를 받고
제후국의 시조가 되어 교육이 잘 되었다는 것을 보였다.
오늘날의 교육에서 체벌은 금지되어 있다.
심한 매질은 부모라 해도 물론 사용해선 안 된다.
여러 본보기를 남긴 주공이라 해도
매로 가르치는 것은 본받지 말고
직접 엄하게 솔선수범(率先垂範)하여
더 잘 가르치는 방법이
오래 간다고 받아들이면 좋겠다.
-옮긴 글-
첫댓글 따스한 봄 기온속에서 일요일날을 잘 보내셨는지요 음악소리와.
교훈글을 읽으면서 머물다 갑니다 오늘의 날씨는 정오를 지나서 부터 봄 날씨로.
돌아오니 기분이 업되었습니다 남은 저녁시간도 웃음꽃이 피는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내세요..
백장 / 서재복 시인님 좋은글 "주공삼태(周公三笞)"와 아름다운 영상과 좋은 음악 즐감하고 갑니다.
오늘은 힘차고 신비로운 행복하고 즐거운 휴일 되세요....
자녀교육이 참 힘들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