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강신문=원주=박현진 기자] 9세 아동 5명 중 1명이 성조숙증 치료를 받고 있다는 충격적인 분석이 나왔다.
성조숙증 치료제가 ‘키 크는 약’으로 소문이 나면서 부모들이 성조숙증 진단을 받기 시작했고, 의원·한의원에서 수익 창출 목적으로 ‘성조숙증 진단’을 시행하면서 성조숙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이진수 위원장(내과 전문의)은 18일 강원도 원주 심평원 본원에서 열린 전문기자협의회 브리핑에서 △성조숙증 진료 △백내장 수술을 꼼꼼한 선별심사가 필요한 진료 항목으로 꼽았다.
성조숙증 진단 연령 기준은 △여아 8세 미만 △남아 9세 미만이다. 그런데 2005년 고시 개정으로 9세 미만까지 성조숙증 치료제 사용 시 1년간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가능해졌다.
이진수 위원장은 “약제 고시에 중추성사춘기조발증으로 진단 시 이 약(GnRH agonist 주사제)을 사용할 수 있게 됐지만 연령 표시가 안 돼, 건강보험이 정해놓은 투여 시작 상한 연령까지 검사와 진단을 하며 (성조숙증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심평원에서 성조숙증으로 치료를 받은 아동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여아는 16배 △남아는 83배 증가했다.
----------------------------------
대한민국에 갑자기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천재지변, 전염병 같은 특수한 일이 아니라면 발생하기 어려운 증가세다.
성조숙증 진단후 처방하는 약이 소위 '키 크는 약' 이라는 입소문이
이런 현상을 만들었을 것이다.
병원수익 창출과 부모의 '그 마음' 이 합쳐진 씁쓸한 결과가 아닐까.
우리나라 어쩌다 ‘성조숙증 천국’ 됐을까 – 현대건강신문 (hnews.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