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중 고성능 메모리.제조장비 '공급제한 조치' 발표
삼성.하이닉스, 미기업에 주로 납품...정부 '동향 파악'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AI(인공지능) 서버에 들어가는 HBM(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 수출통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도 동향 파악에 나섰다.
정부는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업계 의견을 수렴해 우리 측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HBM은 대부분 미국 엔비디아, AMD 등에 납품해 업계에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관측한다.
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현지매체에서 나온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검토' 보도에 대한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다.
현지매체 등에 따르면 미국은 빠르면 달에 발표하는 대중 반도체 통제 조치에 HBM과 이를 생산하는 반도체 제조장비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메모리 제품이다.
주로 엔비디아, AMD 등이 민드는 AI가속기에 적용된다.
HBM은 1세대(HBM), 2세대(HBM2), 3세대(HBM2E), 4세대(HBM3), 5세대(HBM3E) 8단 제품이 공급된다.
이 조치가 시행되면 HBM2, HBM3, HBM3E 등과 현재 생산되는 최첨단 AI 메모리와 장비 등도 포함될 전망이다.
이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중국 기업에 HBM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 정부는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추가 제재는 FDPR(Foreign Direct Product Rule)를기반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FDPR는 해외 기업이 만든 제품이라고 해도 미국 기술이 사용됐다면 수출을 금지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반도체장비와 EDA(전자설계자동화)를 주로 사용해 반도체를 만들고 있어 수출통제를
적용할 수 있다.
업계에선 이 조치가 시행도 당분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HBM은 주로 최대 고객사인 미국 엔비디아, AMD 등의 AI가속기에 공급된다.
일부 저사양 HBM이 중국에 공급되지만 양이 극히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추가제재를 하더라도 중국의 기술개발을 막기 위한 '사전 차단' 조치란 관측이다.
AI반도체 시장에서 80%이상 점유율을 차지한 엔비디아가 현재 대부분 HBM 물량을 소화한다.
SK하이닉스는 HBM3과 HBM3E 8단을 엔비디아에 사실상 독점공급한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개발한 GPU(그래픽처리장치) 'H20'에 HBM3를 공급한다.
다만 미국이 H20 GPU 같은 저사양 AI가속기까지 수출통제 대상에 포함하면 국내 수출도 영향을 받을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올해 수출목표 7000억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반도체 수출목표를1350억달러로 상향했는데 이 목표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정부는 미국 정부의 동향을 파악한 후 업계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실관계 파악부터 우선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현재 HBM은 주로 미국 AI 서버향으로 수출하며
우리 업게에 불이익이 없도록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최민경 기자 / 윤세미 기자